$\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관협력 기반 재난현장 영상정보 수집 및 활용체계 구축: 2019년 한반도 태풍 내습 시 실전활동 사례 중심
Establishment of a Process for Collecting Video Scripts on a Disaster Site based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cus on 2019 Practical Activities during Typhoon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4, 2020년, pp.1167 - 1177  

이소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이준우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  조시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에 있어서 민간 역량의 적극 활용과 현장상황 파악을 위한 신속한 영상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민관협력 기반 현장영상 수집 및 활용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2019년 태풍 내습 시 민관협력체계 실전가동 경험을 토대로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지속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초동대응단계에서 민관협력을 통한 신속한 현장영상 수집과 공유 및 활용체계를 구축하였다는 점, 자발적 민간 참여를 통해 풍부한 인적자원 확보와 전문성을 공조할 수 있는 민관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재난관리 조직의 긍정적 인식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개발 진행단계의 실험적 시범운영 사례로 성과의 현행화 및 실용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지속적인 체계운영을 위해서는 조직기반, 운영체계, 교육·훈련, 업무의 정책화 등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the process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video scripts of disaster site based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It is for the purpose of actively utilizing private capabilities in disaster management, and quickly sharing video scripts to identify field conditions. Based o...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9년 민관협력 기반 태풍상황 모니터링 체계의 실전경험을 통해 향후 공고한 협력기반 구축과 지속적인 체계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민간단체의 조직화와 민간 주도적인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 이에 본 연구는 민간 역량의 적극 활용에 기반 한 재난현장 상황인지를 위한 신속한 영상정보 수집 및 활용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2019년 태풍 내습 시 이의 실전활동 경험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향후 지속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 있어서의 민관협력 체계는 재난현장의 주민과 지역 전문가의 협력을 통한 즉시적 영상정보 수집과 공유체계화를 목적으로 한다. 이렇게 수집된 영상정보와 함께 기상관측 등 상황정보 콘텐츠를 기 개발된 지도기반 시스템(스마트 재난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중앙과 지자체 상황실에 제공함으로써 태풍 내습 시 종합적인 상황판단과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에 있어서 민간 역량의 적극 활용과 현장상황 파악을 위한 신속한 영상정보 공유를 목적으로 민관협력 기반 현장영상 수집 및 활용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2019년 태풍 내습 시 민관협력 체계 실전가동 경험을 토대로 그 성과와 지속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민간 역량의 적극 활용에 기반 한 재난현장 상황인지를 위한 신속한 영상정보 수집 및 활용 체계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2019년 태풍 내습 시 이의 실전활동 경험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향후 지속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그러나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영상은 고정된 위치적 제약으로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특정 이벤트의 자동감지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간 협력을 통한 재난지역의 영상정보 수집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민간은 영상촬영 및 제보의 주체로서 원활한 영상정보 수급을 위해 다음 세 가지 사항에 중점을 두었다.

가설 설정

  • 시·공간적 제약 없이 현장 영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시 가용 가능한 인력풀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영상촬영 매체의 다양성 확보이다. 보편화된 스마트폰 이외 드론은 광역적 범위의 재난현장을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용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Djalante, R., C. Holley and F. Thomalla, 2011. Adaptive governance and managing resilience to natural hazard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Science, 2(4): 1-14. 

  2. Goodchild, M. F. and J. A. Glennon, 2010. Crowdsourcing geographic information for disaster response - a research frontier,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Earth, 3(3): 231-241. 

  3. HOT, Humanitarian open street map team's URL, www.hotosm.org/impact-areas/disaster-response/, Accessed on Sep. 27, 2020. 

  4. Hyun, S. H., 2015. Problems of Kore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its efficienc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Security and Safety, 10(1): 39-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ang, Y. H., 2008. Establishment of local crisis management governance - utilization of private sectors by the analysis of typhoon 'Nari',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0(4): 1085-1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te, S., P. Leysia, L. H. Amanda, and V. Sarah, 2010. Chatter on the red - what hazards threat reveals about the social life of microblogged information, Proc. of the 2010 ACM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pp. 241-250. 

  7. Kim, E. S., J. B. Jung, J. S. Ham, and H. G. Ahn, 2009. A study on the paradigm of national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plan,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pp. 1-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D. G., 2017. Trends on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using big data, East Sea Regional Barometer, 26: 14-18 (in Korean only). 

  9. Lee, J. K., I. H. Bae, and C. S. Kim, 2012. A design of prototype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based on disaster sit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5(1): 101-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 K. and C. S. Kim, 2012. An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5(1): 108-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S. H. and J. Y. Park, 2019. Improvement direction on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comprehensive disaster response, Water for Futur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6): 16-21 (in Korean only). 

  12. Lee, S. H. and M. S. Kim, 2019. Establishment of a disaster response support system based on public-private partnerships - focused on cooperation with a private institution using drone, Crisisonomy, 15(11):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OIS, 2019. Report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states of the regional self-defense foundation in 2019, Report (open material) of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n Korean only). 

  14. NDMI, 2018. The research on how to analyzing urgent mapping to support earthquake response site, Research Report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p. 1-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NDMI, 2019a. Development on an analysis and display process of disaster on-site information, Research Report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p. 1-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NDMI, 2019b. Development of mapping system design and function focused on the disaster scene management support, Research Report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p. 1-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IED,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Earth Science and Disaster Resilience, Japan. NIED-Crisis response site's URL, www.crs.bosai.go.jp, Accessed on Sep. 27, 2020. 

  18. Norheim, H. and P. Meier, 2010. Crowdsourcing for crisis mapping in Haiti, Innovations: Technology, Governance, Globalization, 5(4): 81-89. 

  19. Oh, J. H., 2018. A study on the public-private governance on risk management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ing on the role of private experts in the early warning system, Crisisonomy, 14(1): 57-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papesios, N., C. Ellul, A. Shakir, and G. Hart, 2019. Exploring the use of crowdsourced geographic information in defence - chang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 21(1): 133-160. 

  21. Rheem, S. K. and N. K. Lee, 2015. Activating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in disaster management, Crisisonomy, 11(1): 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Rho, J. C., 2008. Initial response system of the Hebei Spirit oil spill and the limit of disaster managem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Eco', 12(1): 43-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Ro, C. H. and C. H. Song, 1998. Policy operations to utilize the private sectors in urban emergency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1: 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ung, K. W. and S. H. Han, 2008. Analysis and implications on volunteer activity system of disaster relief,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8(5): 93-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USHAHIDI, Crisis mapping Haiti's URL, www.ushahidi.com/blog/2010/04/14/crisis-mapping-haiti-some-final-reflections, Accessed on Sep. 27, 2020. 

  26. Won, S. Y., 2013.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Korea model collaborative governance system, Research report of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pp. 1-1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on, M. O. and C. H. Song, 2003. The role and function of NGO in disaster management, Planning and Policy, 258: 66-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Zook, M., M. Graham, T. Shelton, and S. Gorman, 2010.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crowdsourcing disaster relief - a case study of the Haitian earthquake, World Medical & Health Policy, 2(2): 7-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