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과 플랫폼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이용한 이종 센서 영상에서의 객체기반 건물 변화탐지
Object-based Building Change Detection Using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of Sun and Platform in the Multi-sensor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5 pt.2, 2020년, pp.989 - 1006  

정세정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박주언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  이원희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한유경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물탐지 기반의 건물 변화 모니터링은 발사예정인 차세대 중형위성 1, 2호와 같은 고해상도 다시기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인공 구조물 모니터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지표면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며, 이들 주변에 존재하는 그림자 또는 나무 등에 의해 정확한 건물탐지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영상 촬영 당시의 플랫폼의 방위각(Azimuth angle)과 고도각(Elevation angle)에 따라 생기는 기복 변위로 인해 건물 변화탐지 수행 시 다수의 변화 오탐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 변화탐지 결과 향상을 위해 다시기 영상 취득 당시의 태양의 방위각과 그에 따른 그림자의 주방향(Main direction)을 이용한 객체기반 건물탐지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플랫폼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이용한 건물 변화탐지를 수행하였다. 고해상도 영상에 객체 분할 기법을 적용한 후, Shadow intensity를 통해 그림자 객체만을 분류하였으며, 건물 후보군 탐지를 위해 각 객체의 Rectangular fit, GLCM(Gray-Level Co-occurrence Matrix) homogeneity 그리고 면적(Area)과 같은 특징(Feature) 정보들을 이용하였다. 그 후, 건물 후보군으로 탐지된 객체들의 중심과 태양의 방위각에 따른 건물 그림자 사이의 방향과 거리를 이용하여 최종 건물을 탐지하였다. 각 영상에서 탐지된 건물 객체 간 변화탐지를 위해 객체들 간의 단순 중첩, 플랫폼의 고도각에 따른 객체의 크기 비교, 그리고 플랫폼의 방위각에 따른 객체 간의 방향 비교 총 3가지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밀집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KOMPSAT-3와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의 이종 센서에서 취득된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특징 정보를 이용해 탐지한 건물탐지 결과의 F1-score는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각각 0.488 그리고 0.696인 반면, 그림자를 고려한 건물탐지 결과의 F1-score는 0.876 그리고 0.867로 그림자를 고려한 건물탐지 기법의 정확도가 더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림자를 이용한 건물탐지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3가지의 건물 변화탐지 제안기법 중 플랫폼의 방위각에 따른 객체 간의 방향을 고려한 방법의 F1-score가 0.891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ilding change monitoring based on building dete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in terms of monitoring artificial structures using high-resolution multi-temporal images such as CAS500-1 and 2, which are scheduled to be launched. However, not only the various shapes and sizes of buildings ...

주제어

표/그림 (2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영상 사이의 건물 변화탐지를 위해 탐지된 건물 객체들 중 변화된 건물을 찾는 3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객체들 간의 단순 중첩만을 고려한 방법으로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각각 탐지된 건물 객체에 대해 서로 중첩되는 건물이 있을 경우 이들을 변화하지 않은 건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객체기반으로 탐지된 건물에 대한 변화탐지를 수행하기 위해 두 영상에서 변화된 건물 객체만을 분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3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단순 중첩만을 이용한 방법으로 두 영상에서 탐지된 건물 객체가 서로 중첩될 경우 이들을 같은 건물로 판단하였으며 최종 변화건물 객체에서 제외하였다.
  • 7). 본 연구에서는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촬영된 건물이 동일한 건물일 경우, 건물과 그림자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정사영상인 무인항공기 영상에서 탐지된 건물 객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KOMPSAT-3 영상 건물 객체의 주 방향으로의 일정 거리 내에 무인항공기 영상의 건물과 동일한 KOMPSAT3 영상의 건물이 위치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어서 건물탐지를 위해 플랫폼의 고도각을 고려했으며 같은 건물을 촬영할 때, 플랫폼의 고도각이 낮을수록 건물의 크기는 커지게 되므로 KOMPSAT-3 영상에서의 건물 객체가 무인항공기 영상에서의 건물 객체보다 클 경우 이들을 변화하지 않은 건물로 판단하였다.
  • 고해상도 영상에서 대부분의 건물과 그림자는 필연적으로 인접한 관계를 보이며 같은 영상 내에서는 건물을 중심으로 모든 그림자는 같은 방향에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이용해 건물 후보군들 중 최종 건물을 탐지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태양과 플랫폼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이용한 객체기반 건물 변화탐지를 제안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제안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변화탐지에 앞서 각 영상에서의 건물탐지를 위해 DSM과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 없이 영상의 분광 및 공간적 특성만을 이용해 객체를 탐지할 수 있도록 특징 정보만을 이용해 건물 후보군을 탐지하였으며 이후, 태양의 방위각에 따른 그림자의 위치를 활용하여 최종 건물을 탐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영상인 KOMPSAT-3 영상과 무인항공기 정사영상을 이용한 객체탐지를 위해 DSM 등과 같은 추가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영상에 대한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특징 정보를 이용한 건물탐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고해상도 영상에 객체기반 분할 영상을 생성한 후, 객체의 특징 정보를 계산해 건물 후보군 탐지를 수행하였으며 정확한 건물탐지를 위해 태양의 방위각과 그에 따른 건물의 그림자 정보를 활용하였다.
  • 대부분의 건물들은 육면체 모양이며, 이로 인해 위성이나 무인항공기로 건물을 촬영할 경우 사격형의 형태를 띄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형태적 특성을 이용해 건물 후보군을 탐지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용한 Rectangular fit 특징 정보는 분할 객체의 기하학적 특징이 객체와 비슷한 크기와 비율을 가진 직사각형과 얼마나 가까운지 서술하며 객체가 직사각형에 가까울수록 1, 그렇지 않을수록 0에 가까운 값이 할당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shehhi, R., P.R. Marpu, W.L. Woon, and M. Dalla Mura, 2017, Simultaneous extraction of roads and buildings in remote sensing imagery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30: 139-149. 

  2. Attarzadeh, R. and M. Momeni, 2018, Object-based rule sets and its transferability for building extraction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46(2): 169-178. 

  3. Benarchid, O., N. Raissouni, S. El Adib, A. Abbous, A. Azyat, N.B. Achhab, M. Lahraoua, and A. Chahboun, 2013. Building extraction using object-based classification and shadow information in very high resolution multispectral images, a case study: Tetuan, Morocco, Canadian Journal on Image Processing and Computer Vision, 4(1): 1-8. 

  4. Choi, K. A, and I. P. Lee, 2008. Automatic change detection of urban areas using 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6(4), 341-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u, S., Y. Zhang, Z. Zou, S. Xu, X. He, and S. Chen, 2017. Automatic building extraction from LiDAR data fusion of point and grid-based featur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30: 294-307. 

  6. Gao, X., W. Wang, Y. Yang, and G. Li, 2018. Building extraction from RGB VHR images using shifted shadow algorithm, IEEE Access, 6: 22034-22045. 

  7. Ghanea, M., P. Moallem, and M. Momeni, 2016. Building extraction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in urban areas: recent methods and strategies against significant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7(21): 5234-5248. 

  8. Haralick, R. M., K. Shanmugam, and I.H. Dinstein, 1973. Textural features for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6: 610-621. 

  9. Hu, L., J. Zheng, and F. Gao, 2011. A building extraction method using shadow in high resolution multispectral images, Proc. of 2011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Vancouver, BC, Jul. 24-29, pp. 1862-1865. 

  10. Huang, X. and L. Zhang, 2011. A multidirectional and multiscale morphological index for automatic building extraction from multispectral GeoEye-1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7(7): 721-732. 

  11. Jung, S., T. Kim, W. H. Lee, and Y. K. Han, 2019.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using Various Pixel-based Change Detection Results and Registration No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7(6): 481-4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andis, J. R. and G. G. Koch,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159-174. 

  13. Lee, T. and T. Kim, 2013. Automatic building height extraction by volumetric shadow analysis of monoscopic ima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4 (16): 5834-5850. 

  14. Liasis, G. and S. tavrou, 2016. Satellite images analysis for shadow detection and building height estima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19: 437-450. 

  15. Liu, Y., B. Fan, L. Wang, J. Bai, S. Xiang, and C. Pan, 2018. Semantic labeling in very high resolution images via a self-cascad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45: 78-95. 

  16. Luo, H., C. Liu, C. Wu, and X. Guo, 2018. Urban change detection based on dempster-shafer theory for multitemporal very-high-resolution imagery, Remote Sensing, 10(7): 980. 

  17. Mongus, D., N. Lukac, and B. Zalik, 2014. Ground and building extraction from LiDAR data based on differential morphological profiles and locally fitted surface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93: 145-156. 

  18. Noronha, S. and R. Nevatia, 2001. Detection and modeling of buildings from multiple aerial images, IEEE Transactions on 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23(5): 501-518. 

  19. Park, H., J. Choi, W. Park, and H. Park, 2018. Modified S2CVA algorithm using cross-sharpened images for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Sustainability, 10(9): 3301. 

  20. Sadeq, H. A. and D. M. Salih, 2020. The use of pixel-based algorithm for automatic change detection of 3D Building from Aerial and Satellite Imagery: Erbil city as a case study, Zanco Journal of Pure and Applied Sciences, 32(2): 24-38. 

  21. Saha, S., F. Bovolo, and L. Bruzzone, 2020. Building Change Detection in VHR SAR Images via Unsupervised Deep Transcoding,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2020: 1-13. 

  22. Sheen, D., 1992. A generalized Green's theorem, Applied Mathematics Letters, 5(4): 95-98. 

  23. Suliman, A. and Y. Zhang, 2015. Development of line-of-sight digital surface model for co-registering off-nadir VHR satellite imagery with elevation data,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8(5): 1913-1923. 

  24. Tong, H., T. Maxwell, Y. Zhang, and V. Dey, 2012. A supervised and fuzzy-based approach to determine optimal multi-resolution image segmentation parameter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8(10): 1029-1044. 

  25. Wang, X., S. Liu, P. Du, H. Liang, J. Xia, and Y. Li, 2018.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in urban areas from high spatial resolution images based on multiple features and ensemble learning, Remote Sensing, 10(2): 276. 

  26. Xiao, P., X. Zhang, D. Wang, M. Yuan, X. Feng, and M. Kelly, 2016. Change detection of built-up land: A framework of combining pixel-based detection and object-based recognition,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19: 402-414. 

  27. Zarea, A. and A. Mohammadzadeh, 2015. A novel building and tree detection method from LiDAR data and aerial image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9(5): 1864-1875. 

  28. Zhou, G. and H. Sha, 2020. Building Shadow Detection on Ghost Images, Remote Sensing, 12(4): 6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