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에 관한 연구 - 문헌 및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rban Flower Landscape Type Classification - Focused on Literature and Expert FGI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5, 2020년, pp.42 - 58  

윤덕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 조경학과) ,  김건우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경관생태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화훼경관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로서 연구결과, 첫째, 문헌과 사례를 통하여 화훼경관의 개념이 정리되기 위해서는 개념의 핵심 어휘와 문장에 공간적 요소, 형태적 요소, 자연적 요소, 인공적 요소라는 4가지 요소가 포함되어야 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발견하였으며, 이 네 가지 요소를 통섭하는 화훼경관 개념을 새롭게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화훼경관 통합 이론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화훼경관이 도시경관의 한 장르로 그리고 도시경관의 단위로 정의되고 전문영역으로서 체계 구축을 위해 도시경관이라는 커다란 범주 안에서 도시경관의 개념과 특성, 기능을 고찰하고, 그 안에서 화훼경관과의 위계화 범주를 새롭게 정리하여 화훼경관의 도시경관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유형화를 통한 수요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자료 제시를 위해 화훼분야는 물론, 도시계획, 도시생태 분야까지 확장하여 관련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유형화 요소 41개를 추출하였고 군집화 과정을 통해 4개의 핵심 유형화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4개의 요소를 분류 준거로 전문가 FGI에서 의견과 검증의 과정을 거쳐 중분류 9개, 소분류 30개 유형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유형 적용과정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유효한 유형의 추가 설정과 2단계 분류 위계를 3단계 위계로 확장하여, 보다 세분화된 적용 유형의 개발과 정리를 한다면 유형의 체계를 보다 발전시키는 좋은 연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urban flower landscap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rough literature and cas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four elements of place element, form element, natural element, artificial element, should be included in the sentence and key express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첫째, 화훼경관이 도시경관의 한 장르로 그리고 도시경관의 단위로 왜 정의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를 밝혀 전문영역으로서 체계 구축, 둘째,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를 통한 화훼경관 통합 이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전문가 FGI 가이드라인에서 제시되었던 선행 연구자료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였고,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 요소 도출을 위해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는 물론 범위를 확장하여 화훼장식, 화예 디자인, 정원 식재, 비오톱, 도시경관, 도시 계획, 토지이용 등 다양한 인접 분야까지 넓혀 진행하였다. 또연관된 유형화 요소 도출을 위해 학위논문, 학술지, 연구보고, 단행본, 정책 지침, 법규자료 등을 고르게 배분하여 어느 한 부문에 편중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국내와 해외자료, 그리고 석사학위 논문과 박사학위 논문을 안배하여 총 40편의 연구자료에서 화훼경관 유형화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이런 현상하에서 본 연구의 배경은 첫째, 도시경관으로서 화훼경관의 시대적 역할이 증대되고 있고, 둘째, 화훼경관 관련 이론의 부족, 셋째, 화훼경관 유형화 정립의 필요성 대두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양하게 존재하는 화훼경관의 양상들을 타당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는 유형화 작업과 그 과정을 통해 유형의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첫째, 화훼경관이 도시경관의 한 장르로 그리고 도시경관의 단위로 왜 정의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를 밝혀 전문영역으로서 체계 구축, 둘째, 도시 화훼경관 유형화를 통한 화훼경관 통합 이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최초 목적은 첫째, 화훼경관 개념의 재구성을 통해 통합 이론의 기초자료 제공, 둘째, 화훼경관이 도시경관의한 장르로 그리고 도시경관의 단위로 왜 정의되고 연구할 필요가 있는지를 밝혀 전문영역으로서 체계 구축, 셋째, 도시 화훼 경관 유형화를 통한 수요자들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화훼경관 유형의 선택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런던 도심의 일상에서 화훼가 친숙한 도시 활동의 구성요소이자 도시의 얼굴인 이유는 무엇인가? 런던은 시대적, 환경적 여건에 의해 일찍부터 정원문화가 발전한 정원 선진국이다. 따라서 런던 도심의 일상에서 화훼는 친숙한 도시 활동의 구성요소이자 도시의 얼굴이다.
본 논문에서 FGI를 위한 표적 집단 선정은 어떤 사람을 중심으로 구성 하였는가? 표적 집단 선정은 화훼 관련 조경설계 및 계획 분야, 화훼, 정원 관련 연구자, 화훼 전문 시공 분야, 공사감독(발주처) 분야 등 화훼 조경실무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화훼장식물이란 무엇인가? 화훼경관에 대한 개념은 화훼분야에서 불리는 여러 개념과 도시경관 분야에서 통칭되는 여러 개념 사이에서 많은 용어들을 동원하고 조합하여 가장 적합한 개념을 가공하고 만들어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Kang(2001)은 ‘주된 소재를 꽃으로 하여 때와 장소, 또는 목적에 따라서 생각이나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점, 선, 면, 공간, 색, 재질, 운동감 등의 요소를 조합하여 하나의 미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것이며 여기에는 디자이너가 가지고 있는 사상과 미적 감각이 반영된다’고 하였고, Son(2004)은 ‘화훼장식물이란 관상 화훼식물을 주 소재로 한 인간의 창의력과 표현 능력을 활용하여 공간의 기능과 미적 효율성을 높여주는 장식물을 제작하거나 설치 및 유지 관리하는 기술’ 이라고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 H. E. and S. W. Kim(2013) A study on the flower decorations for improvement of urban public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Knowledge 28: 203-212. 

  2. Bang, J. S. and B. E. Yang(2009)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landscape type for urban landscape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37(2): 78-89. 

  3. Cho, Y. Y.(2012) Effect of Installing Flower Sculpture for Space Decoration.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4. Forest Service(2009) The Second Basic Plan for Arboretum Promotion (2009-2013). p. 33. 

  5. Forest Service(2015) Arboretum Creation and Promotion Act Article 4(Division of Arboretum and Garden). 

  6. Forest Service(2016) The First Basic Plan for Garden Promotion. Report by Forest Service. 

  7. Forest Service(2019) Easy Garden Guidelines. pp. 10-11. 

  8. Ham, E. J. (2020) Analysis of Flowerscape Typology Images and Preferences for the Arboretum.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9. Hong, I. K. (2007) A Study of Portfolio Design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Floral Art Work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orea. 

  10. Hwang, J. H. (2003) Characteristics of urban landscape type in Cheongju.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2(2): 281-294. 

  11. International Plant Name Code(1972) Classification of Plants. Chapter 6 Article 75. 

  12. Jang, Y. S.(2007) Influential Factors of FAD.D upon Spatial Environment. Ph. D. Dissert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13. Jones, A.(2018) The Garden Source. London: Eight Books. 

  14. Jun, H. J (2009) Flower Design Yeon as a Space Directing. Master's Degree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15. Jung, E. J. (2013) A Study on the Effects and Role of Environmental Sculptures in Urban Space. Master's Degree Thesis. Gyeonggi University Korea. 

  16. Jung, S. Y.(2016) A Study on the Trend of Planting Design of Garden Works at the 2015 Garden Expo. Master's Degree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17. Kang, G. O.(2001) Study on Modeling of European Floral Design. Master's Degree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Korea. 

  18. Kang, H. K.(2011)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s Floral Design Trends.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Korea. 

  19. Kim, D. H., D. S. Kim, S. H. Joo and S. R. Oho(2005)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on urban land use patterns. Korea Research Institute 33(4): 1-10. 

  20. Kim, H. S. (2011) Classification Biotope Type and Evaluation Value of Individual Biotop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Ph. D.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Korea. 

  21. Kim, O. K.(2008) A Study of the Outdoor Floral Sculptur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Urban Landscape.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 

  22. Kim, Y. J.(2012)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Evaluation Criteria of Public Floral Design.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3. Kim. H. J. (2007) A Study on Directing Floral Design By Perspective Trait. Master's Degree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4. Korea Communications University Press(2015) Horticulture and Crop Science 2. p. 245. 

  25. Lee, H. K. (2008) Visual Valuation of Indoor Plants and Typologica Classification to Indoor Garden by Interior Design Style. Master's Degree Thesis. University of Seoul. 

  26. Lim, S. B.(2014) Landscape Analysis Theor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69-71. 

  27. Makin, A. D.(2019) Symmetry Preference in Shapes, Faces, Flowers and Landscapes. PeerInc. 

  2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0) City Park and Green Land Act Article 15(Subdivision and Scale of City Park). 

  2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5) The First Basic Plan for Landscape Policy(2015-2019). p. 37-38. 

  30. Park, E. Y.(2020) Concept of Gardening (A Lecture Material, 2020 Semester 1. pp. 23-24. 

  31. Park, M. O.(2019)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s for wetland gardens based on the village wetlan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5(2): 121-130. 

  32. Park, T. H.(2004) A Study of the Visual Impacts of Environmental Sculptures.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 

  33. Pi, J. H.(2015) Coastal Dune Typology and Management Plan by Ecological Structure Analysi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Korea. 

  34. Rapoport, A.(1997) Human Aspects of Urban Form. Oxford: Pergamon Press. 

  35. Seoul Basic Landscape Plan(2013-2020) Seoul city landscape management plan. Landscape Type Classification Standard. pp. 36-49. 

  36. Seoul Development Institute(1993) Seoul City Landscape Management Plan. 

  37. Shim, E. J.(2010) A study on users' spatial images and perceptions of Gwanghwamun plaz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6(3): 275-285. 

  38. Shin, J C. and J. H. Shin(2003) Design Guidelines for Urban Landscape Improve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39. Shin, K. S.(2018) A Study on the Space Typology of Threedimensional Greenery System of Buildings for Environment Friendly Space Composition.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40. Shin, Y. N.(2015) A Study of the Open Space Typology and Multi-Functionalit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Green Space Resources. Master's Degree Thesis. Seoul University Korea. 

  41. Son, K. H.(2004) Floral and Plant Design for Beautiful Living Spaces. Seoul: Chung-ang Saenghwalsa. Part 1, Chapter 2. 

  42. Son, K. H.(2015) Scope of the Garden Industry, Types of Business, and Revitalization Plans. 2015.4.24 (G) Garden Culture Forum Symposium. 

  43. Suh, J. H., O. K. Kim and H. S. Yeo(2008)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the display type of outdoor floral sculpture.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1(3): 11-26. 

  44. Won, H. Y.(2018) Typology and 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Design Diversification.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Korea. 

  45. Yoon, D. K. and K. W. Kim(2019) Preference analysis of urban flower decorations by ty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5(2): 82-92. 

  46. Yoon, D. K.(2016) Analysis of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s to the Urban Flower Decorations.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47. Yoon, S. E. (2006). Introduction to Flower Design. Seoul: Gimundang. pp. 11-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