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구법천문도 채색 안료 비교 및 제작시기 추정
Comparison of Pigments and Estimation of Production Period in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Folding Screen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5, 2020년, pp.351 - 367  

오준석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황민영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  야마토 아스카 (일본국 토쿄예술대학 대학원 미술연구과 보존수복일본화연구실) ,  아라이 케이 (일본국 토쿄예술대학 대학원 미술연구과 보존수복일본화연구실) ,  이새롬 (국립민속박물관 보존과학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구법천문도 3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천문도(병)』,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 『황도남북양총성도』)에 대한 채색 안료 분석 및 이를 통한 제작시기를 추정하였다. 『천문도(병)』에서는 조선에서 널리 사용되어오던 석청(남동광), 청화(쪽), 석록(공작석), 하엽(아타카마이트), 주, 석간주(산화철), 연지(코치닐), 등황, 석자황, 연분, 활석 등과 같은 전통적인 유·무기질 안료들이 사용되었다.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와 『황도남북양총성도』에서는 19세기 중엽 이후 유럽에서 유입된 합성 무기안료인 양록(에메랄드 그린)과 양청(울트라마린 블루)가 사용되었다.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에서는 녹색과 청색에 합성 무기안료만 사용되었지만, 『황도남북양총성도』에서는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하엽과 청화도 함께 사용되었다. 신구법천문도의 성도와 도설 연구와 연계하여 안료 분석결과로부터 추정한 제작시기는, 조선시대 전통안료만으로 채색된 『천문도(병)』 18세기 중엽 이후로 추정되며, 『황도남북양총성도』와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은 19세기 중엽 서양의 녹색과 청색 안료가 도입된 후 제작되었다. 그리고 전통안료와 서양의 합성안료가 함께 사용된 『황도남북양총성도』가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 보다 제작시기가 빠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igments of three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folding screens(『Celestial Chart(Folding Screen)』 and 『Old and New Celestial Charts, Eight-Panel Folding Screen』 of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nd 『Koudou-Nanboku-Ryousouseizu』 of National Diet Librar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도설과 성도, 표현 기법, 색상에서의 차이를 보여 제작시기가 다른 것으로 추정되는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신구법천문도 2점(『천문도(병)』, 『신구법천문도 8폭 병풍』)과 일본 국회도서관 소장 『황도남북양총성도』를 대상으로 칠정도, 황도남북양총성도, 천상열차분야도 황도십이궁십이국분야를 양국의 연구자들이 X선형광분광기 등을 이용하여 각각 채색재료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와 선행연구인 신구법천문도의 성도와 도설 연구와 연계하여 제작시기를 추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S.H., 2013, Origin of the Korean screen planisphere with both old and new star-charts. Gogung Munhwa, 6, 8-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AMEO, 2020a, Emerald greem, http://cameo.mfa.org/wiki/Emerald_green (September 23, 2020) 

  3. CAMEO, 2020b, Ultramarine blue, synthetic, http://cameo.mfa.org/wiki/Ultramarine_blue,_synthetic (September 23, 2020) 

  4. Chung, D.H., 2012, A study of the techniques used in royal portrai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octo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84-211. 

  5. Cosentino, A., 2014, FORS spectral database of historical pigments in different binders. e-conservation, 2, 57-68. 

  6. Eastaugh, N., Walsh, V., Chaplin, T., and, Siddall, R., 2004, Pigment compendium: optical microscopy of historical pigments. Oxford, Elsevier Butterworth-Heinemann, London, 194-197. 

  7. Han, Y.H., 2007, Reinvestigation onto Cheonsang' yeolchabun'yajido. Gogung Munhwa, 1, 1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 Auction, 2017, Past auctions and results, Auction 2017.10, http://www.k-auction.com/Auction/WorkList.aspx?auc_num104&page_no16&l_modeL&n_modeA&s_type&s_str&oflot_num&ota (May 12, 2020) (in Korean) 

  9. Lee, M.H., 2001, Production of an astronomical chart during the Yeonjo period and their attitude to receive western astronomical Chart: focused on New and old Style astronomical Chart possessed by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The Review of Folk Life and Culture, 3, 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ona, M. and Winter, J., 2001, Fiber optics reflectance spectroscopy: a unique tool for the investigation of Japanese paintings. Studies in Conservation, 46(3), 153-162. 

  11.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1995, Eight-panel folding screen of astronomical map-Research report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35. (in Korean) 

  12. National Diet Library, 2020, Koudou-Nanboku-Ryousouseizu, https://dl.ndl.go.jp/info:ndljp/pid/1286159 (May 12, 2020) (in Japanese) 

  13. Needham, J., Lu, G.-D., Combridge, J.H., and Major, J.S., 1986, A Korean astronomical screen of the eighteenth century, the hall of heavenly records: Korean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clocks 1380-1780.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3-179. 

  14. Moon, S.Y., 2005, Analysis of the pigment and textile of the 'Seokpa San Jang' tablet.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2, 127-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oon, S.Y., 2010, A study of pigments applied on paintings since the mid-Joseon Dynasty. Doctor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4-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Oh, J.S., 2010, Pigment analysis of Shamanist Paintings of Bokgaedang [Shrine]. The Review of Folk Life and Culture, 26, 103-112. (in Korean) 

  17. Oh, J.S., Choi, J.E., and Choi, Y.H, 2015, Study on the Copper-Arsenic green pigments used on Shamanic Paintings in the 19-20th century.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193-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Oh, J.S., Lee, S.R. and Hwang, M.S., 2020, Review on copper trihydroxychloride as green pigment composed of copper and chlorine. Munhwajae, 53(2), 64-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egg, R.A., 2019, The star charts of ignatius Kogler (1680-1746) in the Korean Court. Journal of Jesuit Studies, 6, 44-56. 

  20. Ro, J.H., 2017, Pigment analysis and period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paintings of Cheongnyong-sa temple, Buddhist art research series No. 7, royal temples of the Joseon dynasty 2. Cheongnyong-sa Temple at Anseong, National Museum of Korea, Seoul, 147-168. (in Korean) 

  21. Shin, H.O., 2007, The study on the color pigment materials of Chosun dynasty. Master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The Veritable Records of King Gojong, 1874, vol 11, Year 11, Month 5, Day 5 (in Chinese characters) 

  23. Wikipedia, 2020, Limb darkening, https://en.wikipedia.org/wiki/Limb_darkening (August 24,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