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급성장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홍수재해 위험성 분석
Flooding Risk under Climate Change of Fast Growing Cities in Vietnam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3 no.2, 2020년, pp.1 - 9  

김소윤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  이병재 (국토연구원 글로벌개발협력센터) ,  이종소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베트남의 도시들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성이 높은 상황인데, 빠르게 도시지역이 확장됨에 따라 홍수위험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확장강도지수를 활용하여 지난 10년간(2007년-2017년) 베트남 국가차원에서의 도시확장 추세를 확인한 후, 기후변화 영향이 크고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으로서 후에시를 선정하여 홍수발생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홍강델타, 메콩델타, 해안지역의 주요 도시 주변으로 확장되었으며, 후에시의 경우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일수록 예상침수면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에 홍수재해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재해취약성분석 제도 등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은 베트남 급성장지역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etnamese cities have a high risk of flooding under climate change due to thei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ituation, the urban area is expanding with rapid growth of urban population. However, the risk of flooding is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impermeable areas and insufficient 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확장지역의 홍수발생가능성 확인은 방재적 관점에서 베트남의 도시계획적 재해예방 지원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우선지역 선정 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베트남의 급성장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도시확장으로 인해 홍수재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을 대상으로 도시확장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시확장강도지수(UEII, Urban Expansion Intensity Index)를 계산한 결과 과거 10년간(2007년-2017년) 베트남의 46%의 도시들이 확장하였고 홍강델타와 메콩델타, 중앙 해안지역의 도시들이 빠른속도로 확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베트남의 도시확장 패턴을 살펴보고 도시확장지역에 대한 홍수 발생가능성을 확인해본다. 도시확장지역의 홍수발생가능성 확인은 방재적 관점에서 베트남의 도시계획적 재해예방 지원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우선지역 선정 시 활용될 수 있다.
  • 또한 안번정(An Van Duong) 신도시 등 실제 계획지역들이 계획과정에서 방재대책과의 연계 부족으로 인해 재해에 취약한 저지대 방향으로 개발 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결론에서는 베트남의 도시계획에 적용 가능한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위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베트남의 도시확장 패턴을 살펴보고 도시확장지역에 대한 홍수 발생가능성을 확인해본다. 도시확장지역의 홍수발생가능성 확인은 방재적 관점에서 베트남의 도시계획적 재해예방 지원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우선지역 선정 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베트남의 급성장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트남의 도시인구 비율은 어떻게 예측되는가? 이런 상황에서 베트남의 빠른 속도의 도시화 과정은 기후변화 재해피해의 위험을 심각하게 가중시키고 있다. 베트남은 1986년 도이머이(Doi Moi)정책 이후 급속도로 경제성장을 이루었고 이에 따라 도시인구가 증가하며 2018년 기준 36%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2020년까지 45%, 2030까지 50%로 도시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ADB, 2013). 빠른 속도로 도시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시가 확장되면서 재해위험 지역이 개발되고 도시기반시설의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베트남에서 한 해 발생하는 태풍은 약 몇 차례인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베트남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 국가 중 하나이다. 태풍, 홍수, 산사태, 해수침입, 가뭄, 지진 등 다양한 자연재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태풍과 홍수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태풍은 매년 약 7차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자연재해로 인해 240명이 사망하고 대규모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베트남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베트남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 이유는 지리적인 특징이 크게 작용한다. 3,200 km에 달하는 긴 해안선에 28개의 성(省)이 위치하고 주요 중심도시의 50%를 포함하고 있어 태풍, 해수면 상승 등 재해발생 시 영향을 크게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북부지역과 중앙고원지역에 높은 산맥이 발달해 있어 해안변과 홍강델타, 메콩델타와 같은 저지대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들이 발달하면서 홍수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베트남의 빠른 속도의 도시화 과정은 기후변화 재해피해의 위험을 심각하게 가중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B. (2013). Viet Nam: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Assessment. Manila, Philippines: Asian Development Bank. 

  2. Bangalore, M., Smith, A., and Veldkamp, T. (2017). Exposure to Floods, Climate Change, and Poverty in Vietnam. The World Bank. 

  3. Chang, H. J., Lee, H. J., and Lee, H. S. (2019). Regionalization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 to Simulate Runoff Induced by Typhoons. Korea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12(4): 63-72. 

  4. Choi, C. I. (2004). A Empirical Study on the Urban Flood Vulnerability by Urbanization Using Panel Data : In Case of Kyonggi Province.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42: 17-37. 

  5. Dutta, D., Khatun, F., and Herath, S. (2005). Analysis of flood vulnerability of urban buildings and population in Hanoi, Vietnam. Seisan Kenkyu. 57(4): 338-342. 

  6. Duy, P. N., Chapman, L., Tight, M., Linh, P. N., and Thuong, L. V. (2018). Increasing Vulnerability to Floods in New Development Areas: Evidence from Ho Chi Minh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e Change Strategies and Management. 

  7. Eckstein, D., Kunzel, V., Schafer, L., and Winges, M. (2019). Global Climate Risk Index 2020. Germanwatch. 

  8. Ha, G. J. and Jung, J. C. (2017). The Impact of Urbanization and Precipitation on Flood damag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2(4): 237-252. 

  9. Kang, S. J. (2016). Analysis of Developed Area Expansion and Fragmentation Changes - Focused on the Gangwon Region. Urban Design. 17(6): 5-16. 

  10. Kang, S. J. and Kwon, T. J. (2017). Spatial Relations of the Urban Expansion Intensity and Flooded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7(4): 759-764. 

  11. Lee, B. J. and Kim, S. Y. (2019). Roles of Urban Planning to Prevent Climate Change Disaster in Vietnam. Crisisonomy. 15(10): 61-73. 

  12. Lee, H. Y. (2014).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nd Challenges to Address Climate Change.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53: 95-101. 

  13. Lee, J. W., Yoon, C. R., and Yu, Y. M. (2011). A Study on Geographical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Risk Management in Vietnam on Viewpoint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5(2): 265-278. 

  14. Lee, S. E., Lee, B. J., Lee, J. S., and Kim, S. Y. (2018). Development of the Urban Flooding Risk Prevention System II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15. Nhu, O. L., Thuy, N. T. T., Wilderspin, I., and Coulier, M. (2011). A Preliminary Analysis of Flood and Storm Disaster Data in Vietnam.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16. Razafindrabe, B. H., Kada, R., Arima, M., and Inoue, S. (2014). Analyzing Flood Risk and Related Impacts to Urban Communities in Central Vietnam.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19(2): 177-198. 

  17. Ryu, Ji Eun, Hwang, Jin Hoo, Lee, Jun Hee, Chung, Hye In, Lee, Kyung Il, Choi, Yu Young, Joo, Yong Eon, Sung, Min Jun, Jang, Rae Ik, Sung, Hyun Chan, Jeon, Seong Woo, and Kang, Jin Young (2017).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According to Urban Expansion Pattern and Morphological Featur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 835-854. 

  18. Shin, S. Y. and Park, C. Y. (2014).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Characteristics and Flood Damage Areas : The Case of Seoul.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1: 3-20. 

  19. Tran, P., Friend, R., MacClune, K., and Henceroth, J. (2016). Building Urban Climate Resilience: Experiences from Vulnerability Assessment in Hue City, Viet Nam. I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isaster Risk Reduc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Disaster Risk Reduction. 57-69. 

  20. VUPDA (2018). Basic Data Construction for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Vietnam Urban Flooding Prevention Aid System. Hanoi, Vietnam: Vietnam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Association. 

  21. World Bank (2012). Vietnam Urban Briefs : Disaster Risks in the Urban Environment. World Bank: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