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권 4개 용수댐(대곡댐, 사연댐, 대암댐, 선암댐)의 어류상과 블루길(Lepomis macrochirus)의 개체군 특성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Ichthyofauna and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 4 Water Dams(Daegok Dam, Sayeon Dam, Daeam Dam, Seonam Dam) in Ulsan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5, 2020년, pp.402 - 412  

장창열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진홍 ((주)엔탑엔지니어링) ,  신영섭 ((주)엔탑엔지니어링) ,  이학준 ((주)엔탑엔지니어링) ,  김봉석 ((주)엔탑엔지니어링) ,  김정화 ((주)엔탑엔지니어링) ,  배양섭 (인천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산권 4개 용수댐에서 서식하고 있는 어류상과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블루길에 대한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울산권 4개 용수댐 및 주변지류에 서식하는 어류를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연구를 실시한 결과, 총 9과 28종 1937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한국고유종은 6종(고유화율 21.4%), 외래종 4종, 생태계교란 생물 2종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어류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종 및 아우점종을 확인한 결과, 우점종은 블루길, 아우점종은 치리로 확인되었다. 블루길 개체군의 연령구조를 조사한 결과, 울산권 4개 용수댐은 만 1~2년생의 개체군이 많이 확인되었으며, 개체군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단계로 판단된다. 또한, 블루길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식 및 비만도를 분석한 결과, 울산권 4개 용수댐의 전장-체장 관계식은 회귀계수 b값이 3.0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블루길 개체군이 서식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만도는 기울기 값이 양의 값을 보이며, 성장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울산권 4개 용수댐에 서식하는 블루길 개체군의 동향 예측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sh and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designated as ecologically disturbing fish, living in four water dams in the Ulsan area and to provide basic data. The survey of fish living in 4 water dams and surrounding tributaries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댐 축조 후 많은 시간이 경과한 후 수환경 및 생태적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일부 종은 번성하고 일부 종은 감소하는 등의 끊임없이 변화를 가지게 된다(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17). 본 연구가 진행된 울산권 4개 용수댐의 경우, 울산지역의 용수수요 충족과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신규 취수원 개발 및 용수 공급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 블루길은 배스와 함께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으며, 하천 상류역을 제외한 저수지, 댐호 하천 하류역 등에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권 4개 용수댐에서 블루길 개체군의 크기 및 서식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조사연구는 울산권 4개 용수댐과 주변하천의 담수어류 생태계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및 미래의 변화양상을 고찰, 평가·예측함으로서 용수댐 및 주변지역의 담수어류 생태계를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 울산권 4개 용수댐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댐이 축조되기 전과 후에 대한 연구 및 논문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시행한 생태환경조사가 울산권 4개 용수댐에 대한 최초 자료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 위치한 용수댐의 생태에 대한 정확히 확인된 조사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되며, 용수댐 내에 어떠한 담수생태계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는 울산권 4개 용수댐과 주변하천의 담수어류 생태계현황을 파악하고 현재 및 미래의 변화양상을 고찰, 평가·예측함으로서 용수댐 및 주변지역의 담수어류 생태계를 조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종 떡붕어, 이스라엘잉어, 블루길, 배스 중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종은 무엇인가? 8)에서 확인되었다. 확인된 외래종 중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블루길, 배스 2종이 출현하였다. 블루길과 배스의 서식실태는 울산권 4개 용수댐 전역에 확산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배스는 대곡천(St.
담수세계에 서식하는 동물 중 어류의 무슨 특징 때문에 인공호를 조성하게 되면 어류의 조성이 변하게 되는가? 담수수계에 서식하는 동물 중 어류는 이동성이 매우 크며, 서식환경의 변화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동물군 중 하나이다. 인공호를 조성함으로써 하천이 호소로 변화하고 하천에 서식하고 있던 유수성 어류들은 점차 감소하는 대신 정수성 어류들이 급증하게 된다.
울산권 4개 용수댐 및 주변지류에서 확인된 어종 중 한국고유종 6종은 무엇인가? 울산권 4개 용수댐 및 주변지류에서 확인된 어종은 총 9과 28종 1,937개체이며(Table 2),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고유종의 경우, 조사지역의 생물상을 특정 짓는 경우가 많다(Jeon, 1980). 본 연구에서 조사된 한국고유종은 참몰개(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긴몰개(S. gracliils majimae), 참갈겨니(Zacco koreanus), 꺽지(Coreoperca herzi), 얼록동사리 (Odontobutis interrupta), 동사리(O. platycephala) 등 총 6종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어류의 고유화율은 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nderson, R.O. and R.M. Neumann(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B.R. Murphy and D.W. Willis(Eds.), Fisheries Society, Benthesda, Maryland, pp. 447-482. 

  2. Byeon, H.K., W.O. Lee and D.S. Kim(2004) The Ichthyofauna and Community of Fish in Lake Yeongcheon. Korea J. Ichthyol. 16(3): 234-240. 

  3. Carl, B.S. and B.M. Peter(1990) Methods for fish biology. American Fisheries Society, Maryland, USA, 684pp. 

  4. Jeon, S.R.(198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Doctoral Thesis, Chungang Univ. 14-49pp. 

  5. Jeong, M.G.(1977) The Fishes of Korea. Iljiksa. 

  6. Kawanabe, H. and N. Mizuno(1989) Freshwater fishes of Japan. Yama-Kei Pub. Co., Japan, 719pp. 

  7. Kim, I.S. and J.Y. Park(2002) Korean freshwater fish. Academic Books. 

  8. Kim, I.S.(1997) Korean Animals and Plants Illustrations(Vol. 37 vol Animals(Freshwater fish)). The Ministry of Education. 

  9. Kim, I.S., Y. Choi, C.R. Lee, Y.J. Lee, B.J. Kim and J.H. Kim(2005). Primary color Korean fish Picture book. Kohak Company. 

  10.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4) Research on specific Exotic species management plan-Bluegill, Bas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2017). Survey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4 water Dam in Ulsan area reservoir and surrounding area.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2. LeCern, E.D.(1951)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and seasonal cycle in gonad weight and condition in the perch(Perca fluciatilis). The Journal of Animal Ecology. 20: 201-219. 

  13. Lee, C.L. and Y.H. Kim(2002)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in Jinyang Lake on the Nam River. Korean J. Ichthyol. 14(3): 173-182. 

  14. Margalef, R.(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15. McNaughton, S.J.(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144-168. 

  16. Nelson, J.S.(2006) Fishes of the world(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17. Pielou, E.C.(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131-144. 

  18. Seo, J.W.(2005) Fish Faun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rk Chub(Zacco temminchkii) Population in the Mid-Upper Region of Gam Stream. Th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8(2): 196-206. 

  19. Shannon, C.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77pp. 

  20. Son, Y.M. and H.B. Song(2006) Geumgang(River) Freshwater fish. Jisung Company. 

  21. Song, H.B.(2002)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of Reproductive and vegatation. The Korea Journal of Ichthyology. 128pp. 

  22. Song, H.B., M.S. Byeon, D.W. Kang, C.R. Jang, J.S. Moon and H.K. Park(2012) Population Structure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 Lakes of the Han River System, Korea. Korea J. of Ichthyology 24(4): 278-286. 

  23. Yang, H.J. and B.S. Chae(1997a) Ecological Study on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 in the Andong Da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2): 135-143. 

  24. Yang, H.J. and B.S. Chae(1997b) The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Fish Community around the Namgang Dam Reservoi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5(2): 175-183. 

  25. Yang, H.J.(1999)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due to introduction of exotic species.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60: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