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3, 2020년, pp.371 - 387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박환준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복원연구5팀) ,  이경의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6속 364종 7아종 33변종으로 총 40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운봉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신갈나무 - 소나무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운봉산에서 새로이 확인된 식물은 193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40분류군이며, 귀화율 9.9%로 나타났다. 운봉산은 다양한 식물들과 지형 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화강암, 현무암 애추, 건조한 능선, 계곡, 웅덩이, 습지,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of Korea. From the results of eight field surveys undertaken from March to October 2017, we identified 404 total taxa, representing 364 species, seven subspecies, and 33 varieties, which were placed in 256 gener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3기 현무암지대 중에서 고성군 토성면에 위치하는 운봉산의 관속식물 조사를 통하여 종조성의 특징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밝히고 지형 및 지질과의 상관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조사된 관속식물의 분류군은? 본 연구는 현무암지대 운봉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7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1과 256속 364종 7아종 33변종으로 총 40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운봉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신갈나무 - 소나무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 운봉산은 다양한 식물들과 지형 요소들이 주요 경관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지 내의 화강암, 현무암 애추, 건조한 능선, 계곡, 웅덩이, 습지, 하천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종조성과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반도의 지형 및 지질의 특성은? 2019a). 한반도는 백두산(천지), 한라산(백록담), 용암 대지(한탄강), 해안 단구(동해안), 해안 절벽(백령도), 해안 사구(신두리), 카르스트(삼척, 정선 등), 곡류(동강), 삼각주(낙동강), 갯벌(서해안), 고층 습원(용늪) 등의 특이한 지형뿐 아니라 선캄브리아시대의 지층에서부터 고생대와 중생대를 거쳐 신생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상의 지질과 더불어 다양한 암석이 함께 분포한다(Lee and Sunwoo 2010). 최근 특이 지형 및 지질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중요성이 부각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hang KS, DC Son, DH Lee, K Choi and SH Oh. 2017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3. Choi SK, CY Lee and BM Kim. 2009. Vegetation of Mt. Unbongsan. In: Excavation Investigation of Ecosystem and Landscape Excellent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4. Chung DH and GY Chung. 2015.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Dioscorea L. (Dioscoreaceae) in Korea. Korean J. Pl. Taxon. 45:380-390. 

  5.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a.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264-288. 

  6.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7. GPNG. 2020. http://www.koreadmz.kr. Gangwon Peace National Geopark. accessed on 06 July 2020. 

  8. Im HT. 2017. Tribe 2. Cardueae Cass. In: Flora of Korea. Vol. 6c-1. Asteridae: Asteraceae (1).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9. Kim CH, MO Moon, JK Ahn, IC Hwang, SH Lee, SS Choi, JH Lee, HM Bum, CG Kim and JY Cha. 2018b.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10. Kim JH and SA Park. 2018.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J. Korean Soc. Environ. Res. Tech. 21:27-53. 

  11. Kim JH, HJ Park, GH Nam, KU Lee and JS Kim. 2019a. Floristic study of Mt. Jaamsan in the Gyeongsang supergroup,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7:229-248. 

  12. Kim JH, JH An, BY Lee and JS Kim. 2019b. Bryophyte flora of algific slope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Environ. Biol. 37:508-525. 

  13. Kim JS, HD Jang, JH Kim and BY Lee. 2019c. Division Pteridophyta, Division Pinophyta, Division Magnoliophyta. In: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ed.). Designzip. Seoul. 

  14. Kim JS, JH Kim and JH Kim. 2018a.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I: 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Dolbegae. Paju, Korea. 

  15. Kim JS, JM Chung, JH Kim, W Lee, BY Lee and JH Pak. 2016.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6:213-246. 

  16. Kim JS, JM Chung, SY Kim, JH Kim and BY Lee. 2014.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4:208-221. 

  17.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Seoul. 

  18. Kim JY. 2011. A study on landforms in Gosung, Gangwon province. J. Korean Geomorphol. Assoc. 18:65-81. 

  19. Kim TY and JS Kim. 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20. KMA. 2017.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ccessed on 20 December 2017. 

  21. Koh JS and SH Yun. 2005. Petrology on the late Miocene basalts in Geseong-gun, Gangwon province. J. Korean Earth Sci. Soc. 26:78-92. 

  22. Kong WS. 2007.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Geobook. Seoul. 

  23. Kong WS and JH Lim. 2008. Disjunctive distribution of Vaccinium vitis-idaea and thermal condition. J. Korean Geogr. Soc. 43:495-510. 

  24. Kwon HS, JE Ryu, CW Seo, JY Kim, JH Tho, MH Suh and CH Park. 2012.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J. Korean Environ. Res. Tech. 15:17-27. 

  25. Lee BJ and C Sunwoo. 2010. Petr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in Korea. Cir publishing. Seoul. 

  26. Lee CS and KH Lee. 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ed. 2). Geobook. Seoul. 

  27. Lee SJ, MJ Lee, KR Kang, SY Kim, KY Oh and DE Han. 2015.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Geology and Plants of Baekdudaegan Ridgelin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28.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29.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1, 2. Hyangmunsa. Seoul. 

  30. Lee WT and YJ Yim. 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Korea. 

  31. Lee WT. 1996a. Lineamenta Florae Korea. Academy Press. Seoul. 

  32.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33. Lee YM, SH Park, SY Jung, JC Yang and KS Chang. 2011. Flora of vascular plants on Goseong-gun. J. Korean Nat. 4:21-33. 

  34. ME. 2012. The Biodiversit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35. NIBR.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Red Data Book 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6. NIBR. 2016. Botanical Research of Biodiversity Hot-spot in Korea (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7. NIBR. 2017. Plant Diversity Research by the Regional Parataxonomist (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8. NIBR. 2018. Plant Diversity Research by the Regional Parataxonomist (III).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9. NIBR. 2019. Plant Diversity Research by the Regional Parataxonomist (IV).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40. Oh BU, DG Jo, SC Ko, HT Im, WK Paik, GY Chung, CY Yoon, KO Yoo, CG Jang and S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Korean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 (Gangwon-do).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41. Paik WK and CM Shin. 2009. Flora of Mt. Unbongsan. In: Excavation Investigation of Ecosystem and Landscape Excellent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42. Pak JH and JY Yang. 2017. Tribe 1. Cichorieae Lam. & DC. In: Flora of Korea. Vol. 6c-1. Asteridae: Asteraceae (1).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e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43. Park MS. 2012. A systematic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Asteraceae) in Korea. Ph.D.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Korea. 

  4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45. Son DC, ES Kang, SY Jung, DK Kim, SR Lee and SH Oh. 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Korea Forest Service. Pocheon, Korea. 

  46. Song I and S Park. 2019.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historic sites and urban park of Gyeongju-si,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7:144-154. 

  47. Song KY. 2009. Geology of Mt. Unbongsan. In: Excavation Investigation of Ecosystem and Landscape Excellent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48.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77-88. 

  49. Yoon KH and NJ Kim. 2015. The role and meaning of Geo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Geoparks Appointment. J. Tour. Stud. 27:5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