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종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Gobioninae)의 난발생, 자치어 형태 발달 및 자연산란장 연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s, Characteristics of Spawning Sites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Gobioninae) in the Jo-jong Stream,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3, 2020년, pp.166 - 181  

송하윤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김승용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김경무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곽영호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  전형주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초록

조종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의 초기생활사와 자연산란장 연구를 2020년 5월에 수행하였다. 수정란의 크기는 2.05~2.23 mm (평균, 2.13 mm)로 유구는 없었다. 수온 20±1℃에서 수정 후 약 98시간이 경과하여 부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자어의 전장은 5.03~5.68 mm (평균, 5.31 mm)로 입과 항문은 열리지 않았다. 부화 4일 후 전장은 6.95~7.89 mm (평균, 7.51 mm)로 자어의 머리와 체측면에서 막대 모양의 cupulae가 관찰되었다. 부화 후 7일의 전장은 8.39~9.29 mm (평균 8.78 mm)로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cupulae는 명확하게 관찰되었다. 부화 후 29일에는 전장은 14.16~17.04 mm (평균, 14.99 mm)로 모든 지느러미의 기조수가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8일의 전장은 18.21~23.74 mm (평균, 19.42 mm)로 비늘은 미병부부터 발달이 시작되었다. 부화 후 73일에는 전장 26.82~33.33 mm (평균, 30.28 mm)로 외부 형태적 특징은 성어와 유사하였다. 쉬리의 자연산란장은 조약돌(64~16 mm)과 자갈(16~2 mm)이 바닥에 깔려있었으며, 수심 6~18 cm, 바닥부분의 유속은 0.43~0.73 m/sec인 지역이었다. 수정란은 난괴(egg mass) 또는 개별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조약돌과 자갈 아래의 작은 간극에 위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gg development,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site characters of Korean endemic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 were investigated at the part of Jo-jong stream in Korea from May 2020. The fertilized eggs were 2.05~2.23 mm (mean, 2.13 mm) in diameter and had no oil globule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쉬리속 어류의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고자 조종천에 서식하는 쉬리 개체군을 대상으로 난발생과 자치어 외부형태 발달을 포함하는 초기 생활사 연구와 함께 자연산란장의 위치, 수정란의 형태 등 번식생태학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쉬리속 어류란 무엇인가? 쉬리속 어류 (genus Coreoleuciscus)는 잉어과 (Cyprinidae), 모래무지아과 (Gobioniniae)에 속하는 일차 담수어로 (Kim et al., 2005) Mori (1935)에 의해 쉬리 C.
자치어의 형태발달을 포함하는 어류의 초기 생활사와 산란 생태에 대한 연구가 지닌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17b)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보고된 쉬리의 산란 및 초기생활 사에 대한 선행 연구는 자연산란장 특징 (Song, 1977)과 난발생 및 자치어발달 (Han et al., 2018; Park et al., 2019) 과정만 기록하여 자어의 감각기관 (cupulae)의 발달 등 유사종과의 계통 및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자료의 한계가 있었다.
어류의 초기 생활사와 산란 생태에 대한 연구는 무엇을 규명하였는가? 자치어의 형태발달을 포함하는 어류의 초기 생활사와 산란 생태에 대한 연구는 종 분화 (Frost, 1965; Goto, 1983; Snorra son and Skulason, 2004)를 포함하여 유사종과의 계통 및 분류학적 유연관계를 규명 (Blaxter, 1974; Balon, 1985, Kim et al., 2014, S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ek, Y.G. 1978. On the life history of Microphysogobio yaluensis (Mori). Korean J. Limnol., 11: 43-50. 

  2. Balon, E.K. 1975. Reproductive guilds of fishes: A proposal and definition. J. Fish. Res., 32: 821-864. 

  3. Balon, E.K. 1985. Early life history of fishes: New developmental,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Dr. W. Junk publisher, Dordrecht, Netherlands, 280pp. 

  4. Blaxter, J.H.S. 1974. The early life history of fish. Spring-Verlag, Berlin, Germany, 765pp. 

  5. Chae, B.S., H.B. Song and J.Y. Park. 2019. A field guide to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Seoul, Korea, 355pp. 

  6. Charles, B.K., W.B. William, R.K. Seth, U. Bonnie and F.S. Thomas. 1995. Stages of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zebrafish. Dev. Dyn., 203: 253-310. https://doi.org/10.1002/aja.1002030302. 

  7. Choi, K.C., S.S. Choi and Y.P. Hong. 1990. On the micro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ninae)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2: 36-76. 

  8.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9. Frost, W.E. 1965. Breeding habits of Windermere charr, Salvelinus willughbii (Gunther), and their bearing on speciation of these fish. Proc. R. Soc. Lond. B. Biol. Sci., 163: 232-284. https://doi.org/10.1098/rspb.1965.0070. 

  10. Goto, A. 1983. Spawning habits and reproductive isolating mechanism of two closely related river-sculpins, Cottus amblystomopsis and C. nozawae. Japanese J. Ichthyol., 30: 168-175. 

  11. Han, K.H., G.W. Nam, T.S. Yu and S.H. Lee. 2018.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from Korea. Bull. Fish. Sci. Inst. Chon-nam Natl. Univ., 26: 60-63. 

  12. Han, K.H., S.H. Lee, W.I. Seo, D.J. Yoo, D.S. Jin, S.H. Oh and C.C. Kim. 2001. The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false dace, Pseudorasbora parva. J. Inst. Sci. Yosu Natl. Univ., 3: 67-76. 

  13. Iwai, T. 1967.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lateral line cupulae in teleost larvae. In: Cahn, P. (ed.), Lateral line detectors. IU Press, Bloomington, U.S.A., pp. 27-44. 

  14. Iwai, T. 1972. On the free neuromasts of some teleost larva. Japan J. Ichthyol., 19: 307-311. 

  15. Kim, C.H., W.S. Choi, D.H. Kim and J.M. Beak. 2014.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majusculus (Acheilognathinae). Korean J. Ichthyol., 26: 17-24. 

  16.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615pp. 

  17. Kim J.K., J.H. Ryu, S. Kim, D.W. Lee, K.H. Choi, T.Y. Oh, K.S. Hwang, J.N. Kim, H.J. Kwun, H.S. Ji and J.N. Oh 2011. An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Korea.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pp. 6-19. 

  18. Kim, K.M., H.J. Jeon and H.Y. Song. 2019.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Gnathopogon strigatus (Gobioninae). Korean J. Ichthyol., 31: 131-140. 

  19. Ko, M.H., H.R. Kim, S.Y. Park and I.C. Bang. 2017.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natural monument species Hemibarbus mylodon (Pisces: Cyprin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29: 101-108. 

  20. Ko, M.H., K.S. Park and I.C. Bang. 2012.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slender shinn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Pisces: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24: 48-55. 

  21. Lee, S.H., K.H. Han and D.S. Hwang. 2002. The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Pungtungia herzi. J. Inst. Sci. Yosu Natl. Univ., 4: 115-126. 

  22. Lee, S.H., K.H. Han, S.M. Yun, D.S. Hwang, D.J. Yu, C.R. Lee, I.S. Kim and Y.M. Son. 2004. Early life history and spawning behavior of Pseudopungtungia nigra. Korean J. Ichthyol., 16: 309-316. 

  23. Mori, T. 1935. Stud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in Korea. Bull. Bioerogr. Soc. Jap., 7: 35-61. 

  24. Mogdans, J. 2019. Sensory ecology of the fish lateral-line system: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daptations for the perception of hydrodynamic stimuli. J. Fish Biol., 95: 53-72. https://doi.org/10.1111/jfb.13966. 

  25. Mukai, Y. and H. Kobayashi. 1991.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cupulae of free neuromasts along the growth of larvae in cyprinid fish. Nippon Suisan Gakk., 57: 1339-1346. 

  26. Nakajima, J. and N. Onikura. 2015. Larval and juvenile development of pike gudgeon, Pseudogobio esocinus (Cyprinidae: Gobioninae). Ichthyol. Res., 62: 268-273. https://doi.org/10.1007/s10228-014-0436-5. 

  27. Nakamura, M. 1969. Cyprinid fishes of Japan.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cyprinid fishes of Japan. Spec. Publ. Res. Inst. Nat. Resource, 4: 1-455. 

  28. Park, J.M., S.J. Cho, H.I. Jo and K.H. Han. 2019.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larvae and juvenile in Korean shin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from the Uncheon-Stream of Korea. Dev. Repord., 23: 161-170. https://doi.org/10.12717/DR.2019.23.2.161. 

  29. Park, K.S., Y.P. Hong, U.K. Moon, S.S. Choi and K.K. An. 2005. The egg development of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n J. Limnol., 38: 73-82. 

  30. Roberts, W.M., J. Howard and A.J. Hudspeth. 1988. Hair cells: Transduction, tuning and transmission in the inner ear. Ann. Rev. Cell Dev. Biol., 4: 63-92. 

  31. Snorrason, S.S. and S. Skulason. 2004. Adaptive speciation in northern freshwater fishes. In: Dieckmann, U., M. Doebeli, J.A.J. Metz and D. Tautz (eds.), Adaptive speciation.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U.K., pp. 210-228. 

  32. Song, H.B. and O.K. Kwon. 1993. Ecology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Cyprinidae) in Hongcheon River. Korean J. Limnol., 26: 235-244. 

  33. Song, H.B. 2000. Population Ecology of fat minnow, Rhynchocypris kumgangensis (Cyprin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12: 101-110. 

  34. Song, H.B. and Y.M. Son. 2002. Maturity and reproductive ecology of the minnow, Phoxinus phoxinus (Cyprinidae) in upper South Han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14: 262-268. 

  35. Song, H.B. and G.M. Park. 2006. A molecular genetic variation among intra-populations ok Korean shiner,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18: 78-86. 

  36. Song, H.H. 1977. Studies on the spawning and early development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Mori. J. Sci. Edu., 3: 49-60. 

  37. Song, H.Y. and I.C. Bang. 2009. Genetic variation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s from four major river in Korea as assessed by RAPD-PCR. Korean J. Ichthyol., 21: 129-133. 

  38. Song, H.Y., K.Y. Kim, M.G. Yoon, Y.K. Nam. D.S. Kim and I.C. Bang. 2010. Genetic variation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population (Teleostei; Cypriniformes) from four major river drainage systems in South Korea as assessed by AFLP markers. Gene & Genomics, 32: 199-205. 

  39. Song, H.Y. and I.C. Bang. 2015. Coreoleuciscus aeruginos (Teleostei: Cypriniformes: Cyprinidae), a new species from the Seomjin and Nakdong river, Korea. Zootaxa, 3931: 140-150. 

  40. Song, H.Y., J.H. Kim, I.Y. Seo and I.C. Bang. 2017a. Species and hybrid identification of genus Coreoleuciscus species in Hwangji Stream, Nakdong River basin in Korea. Korean J. Ichthyol., 29: 1-12. 

  41. Song, H.Y., M.H. Ko, I.Y. Seo. S.J. Moon and I.C. Bang. 2017b.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Squalidus multimaculatus (Gobioninae). Korean J. Ichthyol., 29: 52-61. 

  42. Song, H.Y., K.M. Kim, A.R. Shin, J.S. Lee, H.W. Park and W.O. Lee. 2017c. Analysis of gonadosomatic index (GSI) and sexual dimorphism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in age groups. Korean J. Ichthyol., 29:176-189. 

  43. Takeshita, N. and S. Kimura. 1998. Habitat change with growth of the yearlings of the cyprinid fish Hemibarbus barbus in the Chikugo River. J. Natl. Fish. Univ., 47: 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