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제 부평리유적 출토 슬래그 분석을 통한 제철 과정 연구
A Study of the Iron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Slags Excavated from Bupyeong-ri, Inj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2, 2020년, pp.143 - 151  

배채린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인제 부평리유적 4-2지구 통일신라시대 제철유적에서 출토된 슬래그 5점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당시의 제철공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인제 부평리유적출토 슬래그의 전철량은 3.65~23.78%로 고대 제철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전철량보다 상당히 낮았다. 조재량 또한 65.92~88.96%로 매우 높아 철과 슬래그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철의 회수율이 상당히 좋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합물 분석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는 크리스토발라이트가 검출되었으며 FAS 상태도와 FCS 상태도에 분석된 데이터를 대입하여 추정한 노 내 온도 또한 1600℃ 이상으로 나타나 탄소를 포함한 철이 완전히 용융되어 주철을 생산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조업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철편에서는 백주철 조직이 관찰되고 백주철 조직에서 철-탄소-인의 3원계 공정인 스테다이트가 함께 관찰되었다. 이는 제철부산물이 생성될 당시 주조 공정을 위한 간접제련이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인제 부평리유적은 철광석을 용해하여 선철을 생산한 간접제련유적인 것을 추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article, we have analyzed five slags excavated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iron smelting site, i.e., location 4-2 of the Inje Bupyeong-ri site, to investigate the iron smelting process. The total Fe content of the slag excavated from the Inje Bupyeong-ri site ranged between 3.65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 분석된 인제 부평지구 하천환경정비사업 구간 내 통일신라 생활유적 출토 제철 부산물을 분석 결과를 재검토하고 해당 시료를 보완 분석하여 해당 유적에서 수행 된 제철과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J., Lee, I.S., Kim, S.C. and Do, J.M., 1989, Study on the slags excavated from Deokcheon-ri, Naenammyeon, Wolseong-gun, Gyeongsangbuk-do: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glass or slag. Munhwajae, 22, 142-151. (in Korean) 

  2. Dankook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Buried Cultural Heritage, 2005, Pocheon Banwolsanseong east wall maintenance area excavation report, Analysis of iron slag excavated from Pocheon Banwolsanseong. Appendix, 133-140. (in Korean) 

  3. Kim, D.H., 2007, The stor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teel and steel technology that developed modern civilization. Trends in Metals & Materials Engineering, 20(4), 68-77. (in Korean) 

  4. Kim, D.W., 2013,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teristics of hydrothermal alteration in the Yangyang iron deposit.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ukgang Institute for Archaeology, 2016, Inje Bupyeong-ri site: Inje Bupyeong-ri site in river environment maintenance project area excavation report. 2, 388-400. (in Korean) 

  6. Lee, S.D., 2017, Material characteristics of smelting slags produced by reproduction experiment of ancient iron smelting: According to Ca content.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57-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im, J.Y., 2011, Study on iron-manufacture method through analysis of slag and ironware excavated from Byeokje, Goyang.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Park, J.G. and Lee, H.Y., 2003, Petrochemistry of the Hongcheon Fe-REE ore deposit in the Hongcheon area,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2(3), 135-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Park, S.T., 2004, Metallurgical study of iron slag excavated form Mulgum-Up and Jisa-Dong Area. Ph.D.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 (in Korean) 

  10. Park, S.T. and Choi C.O., 2004, The analysis of slag exacavated from Jisa a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6, 6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Rho, T.C., 2000, A historic study on the ancient merallurgical technology in Korea. Hakyounmunhwasa, Seoul, 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cott, D.A. and Eggert G., 2009, Iron and steel in artcorrosion, colorants, conservation. Archetype Publications Ltd., London, 1-196. 

  13. Yoon, D.S., 1986, On the slag produced in early iron metallurgy. The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25, 380-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