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접경지역 발전 전략
Promoting Strategies for the Border Region in Post-COVID Era 원문보기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23 no.3, 2020년, pp.229 - 246  

이병민 (건국대학교 문과대학 문화콘텐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글로벌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데, 특히 접경지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외면 받아오던 지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남북한 접경지역의 경우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화해와 협력, 공존을 위한 공간으로서 새로운 인식 및 개념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망을 통해 자국우선주의, 새로운 국가경쟁력의 기준 변화, 지역가치사슬의 변화, 4차산업혁명시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등 변화특성에 따라 SWOT 분석 등 상황별 발전방향을 분석, 제시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완충지역의 활용, 회복탄력성의 마련을 위한 비정치적 협력의 확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현실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의 영향과 대응전략을 마련해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obal environment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Coronavirus outbreak, especially in areas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such as border areas. In particular, In the post-COVID era, the border area between the two Koreas requires a new perception and conceptualization as a space for re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4; 강민조 외, 2018).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경제지리학 관점을 가지고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접경지역의 발전방향을 가정해보고, 가능한 전략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초유의 사태에 대해 현재 상황과 전망의 다양한 예측을 통해 관련 이슈들을 뽑아보고, 상황별 분석에 따라 발전 방향을 상정해보려는 시론적인 연구이다. 접경지역과 관련하여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상정하고, 동향과 전망의 특성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내용은 자국 우선주의 상황 변화에 따른 완충지로서의 접경지역의 기회 증가, 전통적 국가경쟁력 기준의 변화와 회복력의 중요성 증가에 따른 상생구조의 마련 필요성 강조, 글로벌가치사슬의 변화에 따른 지역가치사슬의 강조와 리쇼어링 기회 등을 활용하기 위한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의 기획, 특별법 등 지원의 필요성 증가와 함께 비대면서비스 수요 급증과 디지털 경제 발전에 따른 비정치적인 부문의 협력 우선 등이다.
  • 이제까지 접경지역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거시적인 정치적 상황에 초점을 맞추거나, 단위지역 토대 평화적 교류협력 등 선언적 내용들이 많아, 포스트코로나 시대 실효성을 거두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에서 강조한 바와 같이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경제지리학적 관점을 가지고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 접경지역의 발전방향을 가정해보고, 가능한 전략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시론적인 차원의 논문으로 앞으로도 많은 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나, 그럼에도 접경지역이라는 경제지리학적 대상에 대해 미래지향적 시나리오를 접목하여 함의점을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자평한다.
  • 불확실 요소 등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각각 헤드라인과 이야기를 만든다. 여기서는 긍정적 경우와 부정적 경우를 함께 상정하고 접경지역에 미치는 영향과 결과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핵심이슈의 선정, 관련 이슈의 도출, 시나리오 작성, 대응전략의 수립, 모니터링의 단계를 거쳐야 할 것이다.
  • 이때, 분석에 따라, 완충지역의 활용, 회복탄력성의 마련을 위한 비정치적 협력의 확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 등 현실적인 접근을 제안하고, 시나리오 작성을 통해 긍정적인 경우와 부정적인 경우의 영향과 대응전략을 마련해 보았다. 이제까지 접경지역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있었지만, 거시적인 정치적 상황에 초점을 맞추거나, 단위지역 토대 평화적 교류협력 등 선언적 내용들이 많아, 포스트코로나 시대 실효성을 거두기는 어려운 측면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 실제, 비대면 구매와 관련하여 위생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면서,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현상들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2)
  • 첫째, 자국우선주의가 강조되는 국제상황속에서 산업 협력과 관련된 완충지역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접경지역의 발전 방안은 다양하게 거론되어 왔지만 국내외 다양한 고려 사항이 많아 추진 계획을 구체화하기는 어렵다.

가설 설정

  • 11) 물론, 남북한 관계 개선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움은 남아있다. 업종으로는 그린뉴딜을 지향하는 첨단산업, 부품산업, 물류, 에너지 특화발전지구, MICE산업, 서비스사이언스 등 4차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여 양국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대상이 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기존의 보고서 등에서 제기되어 온 통일경제특구의 조성 및 운영으로 이어질 수 있다(강원도, 2017; 강민조 외, 2018).
  • 4) 실제, 투명한 정보의 공개와 신뢰자산, 기술력, 글로벌 경제지형의 변화 등에 따라 산업발전과 기업유치에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는 한국의 경우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타난다.5) 이를 기회로 활용한다면, 회복탄력성 제고의 기회로 접경지역의 발전전략을 고민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반도의 상황이 복잡한 구도의 변화와 함께 당분간 다극 체제가 될 수도 있다는 전망을 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이는 분단체제의 공간 형성 논리가 이념적 토대인 ‘분단국가주의’로부터 출발하였고, 분단체제를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남북 양국간의 적대성의 재생산이 DMZ와 접경지역이라는 구체적인 공간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타자로부터 야기된 위기와 위협의 강조가 코로나 바이러스로 말미암아 더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게 하는 원인이 된다. ‘우리’와 직접적인 경쟁 관계에 있는 다른 국가들에게는 적대적인, 합착된 스케일의 정체성을 형성시킨다는 점에서 분단국가주의는 코로나 바이러스와 관련된 접경지역의 정체성과 미래 발전방향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치게 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국가 간의 경쟁은 어떤 양상을 띄게 될 것으로 예견되는가? 국가 간의 경쟁 가운데, 자국의 이익이 최우선으로 대두되면서, 자국 우선주의 특성이 더 강화되고 다국적인 체계가 발전하리라고 예견해 볼 수 있다. 소위 ‘자국우선주의’ 전략을 통해 협력보다는 각국의 우선순위를 고려하게 되고, 한반도 접경지역과 남북간의 경제협력의 경우에도 이러한 시각이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의 경제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지역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며 나타나는 상황들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세계의 경제가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국가의 역할은 축소되고, 지역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반(反) 세계화의 경향이 더욱 거세지고, 인적 이동 차단으로 ‘지역화’의 경향성이 더욱 두드러지는 상황을 낳고 있다. 한편으로는 글로벌가치사슬의 연결망이 유기적으로 변화하면서 세계화에 대응하여 지역화 추세가 더 탄력을 받으면서, 인류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연대와 교역확대의 중요성도 동시에 커졌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민조 외, 2018,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균형개발을 위한 종합 발전구상과 실천방안 연구 I, 국토연구원. 

  2. 강원도, 2017, 강원비전 2040. 

  3. 관계부처 합동, 2020, 한국판 뉴딜종합계획- 선도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으로 대전환 - (2020. 7. 14). 

  4. 김갑삼.최민섭, 2019, "통일대비 남북 접경지역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지 17(1), pp.285-304. 

  5. 김갑식, 2012, "시나리오 기법에 기초한 북한의 변화와 한국의 전략," 현대북한연구 15(1), pp.124-156. 

  6. 김정완.박영민.정재운, 2018, "접경지역 남북 교류거점의 입지와 개발방향," 평화학연구 19(4), pp.99-120. 

  7. 김지나, 2018, "사회생태적 회복탄력성의 관점을 통해 본 DMZ 접경지역의 커뮤니티 기반 관광," 국토연구, pp.113-133, 국토연구원. 

  8. 김택희.박용식.최충익, 2019, "통일경제특구 지정을 통한 강원 접경지역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2019.10), pp.572-594. 

  9. 류주한, 2020, "리쇼어링은 탈출구가 아닌 '재편모델' 유연하게 '넥스트 쇼어링'을 준비하자," 동아비즈니스리뷰 303호 (2020년 8월 Issue 2). 

  10. 박민철, 2017, "분단체제의 공간성: DMZ와 접경지역의 로컬리티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28(3), pp.123-160. 

  11. 박배균.백일순, 2019, "한반도 접경지역에서 나타나는 안보-경제 연계와 영토화와 탈영토화의 지정-지경학," 대한지리학회지 54(2), pp.199-228. 

  12. 박삼옥.이원호.이현주.김상빈.정은진, 2005, 사회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 소외성과 낙후성의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3. 박삼옥.이현주.구양미, 2004, "접경지역 기업의 연계 및 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227-244. 

  14. 박은주, 2018, "한반도 신경제구상 및 접경지역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동북아논총 23(4), pp.49-64. 

  15. 박정수,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비대면 서비스 모델과 정책과제," 산업연구원 산업경제이슈 제83호. 

  16. 서울연구원,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경제전략, 포스트코로나 대응 서울연구원 정책제안 토론회 (2020. 5. 12). 

  17. 신동호, 2017,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70-83. 

  18. 이병민, 2013, "소셜 네트워크 리소스(Social Network Resource)의 적용과 활용 - 공간적 의미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6(1), pp.50-70. 

  19. 이상준, 2020, 뉴노멀과 남북접경지역의 과제, 제5회 접경 지역포럼 발표 자료(2020. 8. 8). 

  20. 이영민.이종희 역, 2013, 문화.장소.흔적, 한울아카데미. ( Anderson, J., 2017, Understanding Cultural Geography: Places and Traces, 1st edition, Routledge). 

  21. 이원호.박삼옥, 2004,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이해-소외성의 형성과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 171-201. 

  22. 이정철, 2013, DMZ 담론(2013): 개념사와 새 패러다임의 모색, 춘천: 강원발전연구원. 

  23. 이정훈 외, 2019,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경기북구 접경지역 발전 전략, 경기연구원. 

  24. 이현주.이승헌, 2004, "경기도 접경지역의 경제구조변화와 기업의 입지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7(2), pp.203-225. 

  25. 일자리위원회.관계부처 합동, 2019, 일자리창출과 제조업 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2019.11.19). 

  26. 임을출, 2018.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 DMZ.접경지역 평화 벨트 조성 방안," 접경지역통일연구 2(2), pp.9-31. 

  27. 임을출, 2020, 북한의 2020 정면돌파전략과 접경지역에서의 남북협력 전망, 제3회 접경지역포럼 발표 자료 (2020. 2. 15). 

  28. 임현.한종민.정민진, 2009, 미래예측을 위한 시나리오 분석 및 시스템 구축방안,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슈페이퍼 2009-09. 

  29. 중소기업연구소, 2020. 6.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중소기업의 리쇼어링 활성화 방안 연구. 

  30. 중소기업중앙회, 2020. 6, 중소기업 '리쇼어링' 관련 의견 조사 결과보고서. 

  31. 지상현.이승욱.박배균, 2019, "한반도 경제와 접경지역에 대한 포스트 영토주의 접근의 함의," 공간과 사회 29(1), pp.206-234. 

  32. 최영석 역, 2019, 모빌리티 정의, 앨피 모빌리티 인문학 총서9,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Sheller, M., 2018, Mobility Justice The Politics of Movement in an Age of Extremes, Verso). 

  33. 최인수.전대욱, 2020, "코로나 19 위기극복과 사회경제적 회복력(Resilience)의 측면에서 본 신뢰문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1-15. 

  34. 하수정.남기찬.민성희.전성제.박종순, 2014,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회복력 진단과 활용 방안연구, 국토연구원. 

  35. 하홍규 역, 2019, 모바일 장의 발자취: 모빌리티 연구 10년, 앨피 모빌리티 인문학 총서 6,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연구원. ( Faulconbridge, J. and Hui, A., 2017, Traces of a Mobile Field: Ten Years of Mobilities Research, 1st Edition, Routledge). 

  3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2020, 포스트코로나시대의 미래전망 및 유망기술, KISTEP 미래예측 브리프(2020-01). 

  37. 해외문화홍보원, 2020, 해외언론이 본 한국 코로나19 방역 100일 (2020. 4. 30). 

  38. 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변경 수립 및 사업 추진 (2019. 2.8). 

  39. 행정안전부, 2011,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 한반도 중심의 생태평화벨트 육성 (2011.7.27.). 

  40. 허동숙.이병민, 2019, "산업과 문화의 협력: 스마트 전문화를 통한 지역 혁신성장 전략 모색," 국토지리학회지 53(1), pp.101-117. 

  41.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미래전략연구센터, 2020, 2030 카이스트 미래경고, 김영사. 

  42. Martin, R., Sunley, P., Gardiner, B. and Tyler, P., 2016, "How regions react to recessions: resilience and the role of economic structure," Regional Studies 50(4), pp.561-585. 

  43. Park, S. O., 2015, Dynamics of Economic Spaces in the Global Knowledge-based Economy: Theory and East Asian Cases, London: Routledge. 

  44. "코로나 이후 한국은 '첨단제품 세계공장'이 된다" (중앙일보, 2020. 4. 20). https://news.joins.com/article/23758189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 

  45.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19가지 '뉴 트렌드'... (문화일보, 2020. 5.4).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0050401031442000001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 

  46. Korea urged to promote manufacturing reshoring, (Korea Times, 2020. 5. 7). https://www.koreatimes.co.kr/www/biz/2020/05/488_289105.html (최종열람일: 2020년 8월 25일).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