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소터널 철도차량 화원 설계 및 임계속도 측정연구
Design of Fire Source for Railway Vehicles and Measurement of Critical Velocity in Reduced-Scale Tunnel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4 no.4, 2020년, pp.59 - 68  

박원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안전연구팀) ,  황선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안전연구팀) ,  김창용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안전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축소모형을 이용한 철도터널의 화재안전성 평가 실험시 필요한 축소모형 철도차량의 화재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철도터널 축소모형 실험시 활용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재부력을 위하여서는 메탄올 화원을 이용하였으며, 연기 가시화를 위하여서는 스모크카트리지를 활용하여 철도차량 화재를 모사하였다. 지하철 철도차량의 열방출률의 모사를 위하여 다양한 메탄올 연료 팬에 대하여 콘칼로리미터(ISO 5660) 및 저울을 이용하여 열방출률을 측정하였다. 설계된 축소모형 철도차량 화원을 이용하여 축소모형 철도터널에서의 임계속도를 측정하였다. 화재 임계속도는 축소모형 터널 상부에서의 온도 및 레이져를 이용한 가시화 측정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uthors designed a reduced-scale railway vehicle fire, which was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fire safety of railway tunnels using a reduced model.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methods used in conventional reduced-scale railway tunnel tests, the authors simulated the fi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축소모형을 이용한 터널 화재 실험 시에 연기가 발생하는 헵탄 및 가솔린 등의 액체연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터널 내부가 오염될 우려가 있으므로, 반복적인 실험을 수행하기에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완전연소로 연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메탄올을 사용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화재 열을 모사하였다. 신형 전동차의 최대 열방출률은 20 MW이며, 프라우드상사(9)로 축소모형에 적용되는 최대 열방출률은 아래의 식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축소모형을 이용한 철도 터널의 화재 안전성 평가에 필요한 철도 차량의 화재에 대한 설계를 수행하였다. 기존의 철도 터널 축소모형 실험 시 활용된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화재 부력적용한 메탄올 화원과 스모크 카트리지를 이용한 연기 가시화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Technical Standard of Railway Facility" (2019). 

  2.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anual of Fire-Safety Analysis Method in Railway Tunnel" (2014). 

  3. D. H. Kim, W. -H. Park, "Experiment by Using Reduced Scale Models for the Fire Safety of a Rescue Station in Very Long Tunnel in Korea",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21, No. 3-4, p. 303 (2006). 

  4.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Daegok-Sosa Double Track Railway Underground Station and Tunnel Fire Model Test" (2018). 

  5. Y. Yao, Y. Z. Li, H. Ingason and X. Cheng, "The Characteristics of Under-ventilated Pool Fires in both Model and Medium-scale Tunnel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 87, pp. 27-40 (2019). 

  6. S. Zhao, Y. Z. Li, M. Kumm, H. Ingason and F. Liu, "Re-direction of Smoke Flow in Inclined Tunnel Fires",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pp. 113-127 (2019). 

  7. G. Heskestad, "Physical Modeling of Fire", Journal of Fire & Flammability, Vol, 6, pp. 253-273 (1975). 

  8. J. G. Quintiere, "Scaling Applications in Fire Research", Fire Safety Journal, Vol, 15, pp. 3-29 (1989). 

  9. R. J. Bettis, S. F. Jagger and Y. Wu, "Interim Validation of Tunnel Fire Consequence Models:Summary of Phase 2 Tests", Health and Safety Executive (1993). 

  10. Y. Oka and G. T. Atkinson, "Control of Smoke Flow in Tunnel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25, pp. 305-322 (1995). 

  11. Y. Wu and M. Z. A. Bakar, "Control of Smoke Flow in Tunnel Fires using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s - A Study of the Critical Velocity", Fire Safety Journal, Vol. 35, pp. 363-390 (2000). 

  12. H. Ingason, "Model Scale Railcar Fire Tests", Fire Safety Journal, Vol 42, No. 4, pp. 271-282 (2007). 

  13. Y. Z. Li, B. Lei and H. Ingason, "Study of Critical Velocity and Backlayering Length in Longitudinally Ventilated Tunnel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45, pp. 361-370 (2010). 

  14. Y. Z. Li, B. Lei and H. Ingason, "The Maximum Temperature of Buoyancy-driven Smoke Flow Beneath the Ceiling in Tunnel Fires", Fire Safety Journal, Vol. 46, No. 4, pp. 204-210 (2011). 

  15. Y. Z. Li and H. Ingason, "The Maximum Ceiling Gas Temperature in a Large Tunnel Fire", Fire Safety, Journal Vol. 48, pp. 38-48 (2012). 

  16. Y. Z. Li, B. Lei and H. Ingason,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Critical Velocity for Smoke Control in a Tunnel Cross-Passage", Fire Technology, Vol. 49, No. 2, pp. 435-449 (2013). 

  17. Y. Z. Li, B. Lei and H. Ingason, "Scale Modeling and Numerical Simulation of Smoke Control for Rescue Stations in Long Railway Tunnels", Journal of Fire Protection Engineering, Vol. 22, No. 2, pp. 101-131 (2012). 

  18. A. Lonnermark, J. Lindstrom and Y. Z. Li, "Model-scale Metro Car Fire Tests", SP Report 2011-33. SP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of Sweden (2011). 

  19. A. Lonnermark, J. Lindstrom, Y. Z. Li, A. Claesson, M. Kumm and H. Ingason, "Full-scale Fire Tests with a Commuter Train in a Tunnel", SP Report 2012-05, SP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of Sweden (2012). 

  20. SFPE Engineering Guide, "Piloted Ignition of Solid Materials Under Radiant Exposure",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Bethesda, Maryland, January (2002). 

  21. B. Z. Dlugogorski and M. Wilson, "Effect of Lip Height on Properties of Small Scale Pool Fire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 AOFST 2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