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우리나라 불확실성 지수의 작성
New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es for South Kore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3 no.5, 2020년, pp.639 - 653  

이긍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조주희 (한국개발연구원 데이터분석팀) ,  조진경 (한국개발연구원 데이터분석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VID-19 대유행, 미·중 무역분쟁, 글로벌 금융위기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경제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제불확실성은 경제 전반의 성장을 지연·제약하고 있어 정책 수행과 경제분석에서 경제불확실성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Baker 등 (2016) 등은 주요 언론사의 기사의 키워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의 경제불확실성(economic policy uncertainty) 지수를 산출하여 공개하고 있다. 그런데 Baker 등의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는 키워드 선정, 기사 수집 방법, 대상 언론사의 선정 등에 있어 우리나라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를 수정·보완하여 작성하고, 그 유용성을 거시경제 통계와의 관련성, 예측력과 경제분석 측면에서 비교·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ker et al.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4, 1593-1636, 2016) developed a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index for South Korea in the same way as the U.S. EPU Index. However, the South Korean EPU index of Baker et al. (2016) has limitations as it did not fully reflect South Korean situatio...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제불확실성은 직접 관측될 수 없어서 순수 불확실성과 위험을 사전적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순수 불확실성과 위험을 혼용하거나 위험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고 있다. Bloom (2014)은 경제불확실성을 순수 불확실성과 위험을 혼합하여 정의했고, Jurado 등 (2015)은 경제불확실성을 여러 경제변수의 예측할 수 없는 조건부 변동성의 공통부문으로 정의했다.
  • 둘째, IMF의 금융 스트레스 지수와 같이 금융 관련 변수를 모형 또는 주성분 분석 등을 통해 결합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셋째, 경제 전망 불확실성을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는 것이다. 넷째, 주요 언론사의 경제, 정책과 불확실성 관련 단어군을 포함한 기사 건수를 기반으로 구하는 경제불확실성(Economic Policy Uncertainty; EPU) 지수가 있다.
  • 이 절에서는 EPU 지수를 이용하여 분기 GDP 로그 차분, 분기 민간소비 로그 차분과 총고정자본형성 로그 차분의 예측모형을 만들고, 실제 상황을 감안하여 EPU 지수가 당기 예측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점검하였다. 아울러 분기 상품수출과 상품수입 로그 차분의 예측모형을 동일하게 만들고, 이의 예측에 EPU 지수가 유용한 지 살펴보았다. GDP 예측모형으로는 식 (4.
  • 이 논문에서는 Baker 등이 개발한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의 단어군 키워드에 변화를 주고, 언론사의 범위를 확대하여 새로운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 지수를 만든다. 아울러 작성된 우리나라 EPU 지수들을 우리나라 경제통계와 비교하고, 예측력 분석과 VAR 모형을 이용한 정책효과분석 등을 통해 새로 작성된 우리나라 EPU 지수의 유용성을 점검한다.
  • 이 논문에서는 네 번째 방식으로 우리나라 경제불확실성을 우리나라 언론사의 기사를 바탕으로 측정한 지수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aker 등 (2016)은 언론사의 기사를 바탕으로 미국의 경제불확실성 지수(이하 EPU 지수)를 월별로 작성하고, 이를 우리나라를 포함한 각국에 적용하여 각국의 EPU 지수를 만들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rbatli, E. C., Davis, S., Ito, A., Miake, N., and Saito, I. (2017). Policy uncertainty in Japan (IMF Working Papers), 17/128,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 Baker, S. R., Bloom, N., and Davis, S. (2016). Measuring economic policy uncertainty,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4, 1593-1636. 

  3. Bloom, N. (2014). Fluctuations in uncertainty,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8, 153-175. 

  4. Cho, S. B. (2017). Economic policy uncertainty and corporate investment in Korea, Journal of Finance & Knowledge Studies, 15, 3-28. 

  5.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https://www.policyuncertainty.com/ 

  6. Huang, Y. and Luk, P. (2020). Measuring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 China, China Economic Review, 59, 1-18. 

  7. Jurado, K., Ludvigson, S. C., and Ng, S. (2015). Measuring uncertainty, American Economic Review, 105, 1177-1216. 

  8. Kim, N. H. and Lee, K. Y. (2018). The impact of domestic economic policy uncertainty on macro and financial variables?, Journal of Korean Economy Studies, 36, 77-112. 

  9. Knight, F. (1921). Risk, Uncertainty and Profit, Signalman Publishing. 

  10. Korea EPU Index. http://eiec.kdi.re.kr/issue/epuList.do 

  11. Lee, H. C. and Chung, W. S. (2016). Measuring macroeconomic uncertainty, Monthly Bulletin, 2016, 16-34, Bank of Korea. 

  12. Luk, P., Cheng, M., Ng, P., and Wong, K. (2018). Economic policy uncertainty spillovers in small open economies: the case of Hong Kong, Pacific Economic Review, 2018, 21-46. 

  13. Pesaran, H. H. and Shin, Y. (1998).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is in a linear multivariate models, Economics Letters, 58, 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