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과정 기록
A Recording of the Transition Process to the Open Access Publishing in JKSARM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20 no.4, 2020년, pp.205 - 227  

정경희 (한성대학교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record of the transitioning of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to open access. To understand this process,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of the conflict over the copyright among commercial journal aggregators, scholarly societies and public sector a...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7)

  1. Cha, MiKyeon, Min, Yoonkyung, Lim, Kwangsuop, Pyo, Soon-Hee, Jee, Hyun, & Ahn, Hayoung (2019). A study on the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open access to publicly funded research papers. KISTI. 

  2. Chung, Yeon-Kyoung (2012). A Study of Interdisciplinarity 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7-27.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2.007 

  3. Hess, S. & Ostrom, E. (2010). Introduction: an overview of the knowledge commons. In Ostrom, E & Hess, S (Eds), Understanding knowledge as a commons: from theory to practice (pp. 23-62). Seoul: Timebooks. 

  4. Joung, KyoungHee & Kim, Gyuhwan (2017).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s to copyright policies for korean KCI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4(2), 159-180. https://doi.org/10.3743/KOSIM.2017.34.2.159 

  5. Joung, KyoungHee (2010). An analysis of income models for open access in Korean scholarly journal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3): 137-154. https://doi.org/10.4275/KSLIS.2010.44.3.137 

  6. Joung, KyoungHee, Lee, Jae Youn, Chung, EunKyung, & Choi, Sanghee (2020). A study on implementing the NRF open access policy in the open science environment. NRF. 

  7. Kim, Heesop & Kang, Bora (2017).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brary research trends in korea, 34(3), 49-66. https://doi.org/10.3743/KOSIM.2017.34.3.049 

  8. Ostrom, E. & Hess, S. (2010).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knowledge commons. In Ostrom, E & Hess, S (Eds), Understanding knowledge as a commons: from theory to practice (pp. 88-139). Seoul: Timebooks. 

  9. Yoon, Jongsoo, Lee, Eunwoo, Joung, KyoungHee, Kim, Ilkwon, & Choi, Hana (2020). A study on establishing open access policy on NRF. NRF. 

  10. Yoon, Jongsoo, Lee, Eunwoo, Kim, Ilkwon, & Choi, Hana (2019). A study on regulations and the actual management of copyright of academic journals. NRF-2018-66 

  11. Boyle, J. (2003). The second enclosure mov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ublic DOMAIN. Retrieved October 15. 2020, from https://scholarship.law.duke.edu/cgi/viewcontent.cgi?article1273&contextlcp 

  12. Hess, S. & Ostrom, E. (2010). 공유자원으로서의 지식. 엘리너 오스트롬, 샬럿 헤스 (편), 지식의 공유: 폐쇄성을 넘어 '자원으로서의 지식'을 나누다 (pp. 23-62). 서울: 타임북스. 

  13. Lawson, S. A. (2018). Open Access Policy in the UK: From Neoliberalism to the Commons. 

  14. Ostrom, E. & Hess, S. (2010). 지식공유에 대한 분석 프레임워크. 엘리너 오스트롬, 샬럿 헤스 (편), 지식의 공유: 폐쇄성을 넘어 '자원으로서의 지식'을 나누다 (pp. 88-139). 서울: 타임북스. 

  15. Packer, A. L. et al., Eds. (2014). 15 Years of open access: an analytic study of open access and scholarly communication. Paris: UNESCO, 2014. http://dx.doi.org/10.7476/9789230012373. 

  16. Rainer K. (2011). Ethical Foundations of Knowledge as a Commons.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23-40. 

  17. Suber, P. (2004). Creating an intellectual commons through open access, Understanding Knowledge as a Commons: From Theory to Practice (Charlotte Hess and Elinor Ostrom 2006). A revised version of an article first presented at the Workshop on Scholarly Communication as a Commons, Bloomington, Indiana, April 1,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