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체 제작한 자기공명영상 고주파 차폐체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tility of Self Produced MRI Radiofrequency Shielding Material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89 - 94  

이진회 (건양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보우 (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기공명영상 고주파를 차단할 수 있는 금속물질 중 자장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여 차폐체를 제작하였다. Phantom 실험 결과 over-sampling 기법을 적용한 경우 적용 전보다 aliasing artifact가 약 94% 감소하였고, 알루미늄 차폐체를 적용한 경우도 적용 전 보다 약 92% 감소하였다. 그리고 scan time도 over-sampling 기법의 경우 적용 전보다 약 3배이상 증가한 반면, 알루미늄 차폐체의 경우는 적용 전과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차폐체도 기존의 흡수재 및 차폐체들과 마찬가지로 scan time의 증가 없이 aliasing artifact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better shielding method to over sampling technique. The new method uses aluminum foil for RF shielding. As a result of the phantom test, when the over-sampling technique was applied, the aliasing artifact was reduced by about 94% compared to before the application, and the cas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장 균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RF를 차단시킬 수 있는 물질 중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여 자체 제작한 RF 차폐체가 기존 방법의 단점인 검사시간의 증가와 영상의 질 저하 없이 aliasing artifact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RF 흡수재 및 차폐체의 단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차폐체를 제작하여 aliasing artifact를 제거하는데 있어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RF 흡수재 및 차폐체들은 RF pulse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artifact 발생을 억제한다.
  •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aliasing artifact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자체 제작한 알루미늄 차폐체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phantom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background 4개의 부위를 선택한 후 ROI를 설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한 결과, aliasing artifact 감소 기법을 사용하지 않은 T1과 T2 영상 모두에서 FOV를 벋어난 곳에 구조물이 있는 반대방향의 background(Point 3) 신호강도가 나머지 3곳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나 aliasing artifact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전자파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특성을 가진 흡수재나 차폐체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RF가 인체와 반응하지 않으면 영상의 신호도 생성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RF와 인체와의 상호작용을 사전에 차단하여 artifact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의 방법들 보다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19). Textbook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Seoul : Chung Ku Publisher 

  2. J. C. Sharp, S. B. King, Q. Deng, V. Volotovskyy & B. Tomanek. (2013). Highresolution MRI encoding using radiofrequency phase gradients. NMR in Biomedicine, 26(11), 1602-1607. DOI : 10.1002/nbm.3023 

  3. J. H. Kim. (2010). Introduction to high field streng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Korean Medical Assoc, 53(12), 1055-1058. DOI : 10.5124/jkma.2010.53.12.1055 

  4. E. H. Goo. (2016). Assesment Of Image Quality in the Abdomi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mparison with 1.5 T and 3.0 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10(5), 367-373. DOI : 10.7742/jksr.2016.10.5.367 

  5. M. A. Bernstein, K. F. King & X. J. Zhou. (2004). Handbook of MRI Pulse Sequences. Burlington USA : Elsevier Academic Press. 

  6. L. M. White & K. A. Buckwalter. (2002). Technical Considerations: CT and MR Imaging in the Postoperative Orthopedic Patient. Semin Musculoskelet Radiol, 6(1), 005-018. DOI : 10.1055/s-2002-23160 

  7. G. Iannucci, L. Minicucci, M. Rodegher, M. P. Sormani, G. Comi & M. Filippi. (1999). Correlations between clinical and MRI involvement in multiple sclerosis: assessment using T1, T2 and MT histogram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 83-91. DOI : 10.15207/JKCS.2010.1.1.083 

  8. K. Katarzyna & B. F. Monika. (2015). Artifac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Polish Journal of Radiology, 80, 93-106. DOI : 10.12659/PJR.892628 

  9. S. J. Ko. (2010). Metal Artifact Caused by Magnetic Field Strength and Sequence on T1WI-MRI.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9), 302-308. DOI: 10.5392/JKCA.2010.10.9.302 

  10. H. H. Hu, A. J. Madhuranthakam, D. G. Kruger, J. F. Glockner & S. J. Riederer. (2005). Variable Field of View for Spatial Resolution Improvement in Continuously Moving Tabl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gn Reson Med, 54(1), 146-151. DOI : 10.1002/mrm.20509 

  11. W. J. Choi & D. H. Kim. (2019). Reduction of Artifac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Diamagnetic Subst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13(4), 581-588. DOI : 10.7742/jksr.2019.13.4.581 

  12. L. Chen, L. Bao, J. Li, S. Cai & C. Cai, Z. Chen. (2013). An aliasing artifacts reducing approach with random undersampling for spatiotemporally encoded single-shot MRI. Journal of Magnetic Resonance, 237, 115-124. DOI : 10.1016/j.jmr.2013.10.005 

  13. S. B. Lee & G. R. Choi. (2012). Evaluation of UTE Signal Acquisition Efficacy in Molecular MR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6(4), 305-311. DOI : 10.7742/jksr.2012.6.4.305 

  14. L. Kang, K. W. Choi, H. B. Lee, S. Na, S. W. Yang & D K. Seo. (2017). An Effectiveness of Radio Frequcncy(RF) Shielding Fibers and Customized RF Protective Clothing Applied to the Whole Body in Partial Area Imaging Working as a RF Absorb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R Technology, 27(2), 45-57. DOI : 10.31159/ksmrt.2017.27.2.45 

  15. A. H. Brian, W. W. Pauline, B. P. Kim, M. P. John, M. K. Kevin & E. G. Garry. (2011). Metal-Induced Artifacts in MRI. American Journal of Roentgenology, 197(3), 547-555. DOI : 10.2214/AJR.11.7364 

  16. L. Wenmiao, B. P. Kim, E. G. Garry, M. P. John & A. H. Brian. (2009). SEMAC: Slice encoding for metal artifact correction in MRI.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62(1), 66-76. DOI : 10.1002/mrm.21967 

  17. G. P. James. (1995). Spatial Encoding and Reconstruction in MRI with Quadratic Phase Profiles.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33(1), 24-33. DOI : 10.1002/mrm.1910330105 

  18. Health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7(3), 95-109. DOI: 10.12811/kshsm.2013.7.3.0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