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계 :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ocial Welfar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1, 2020년, pp.210 - 217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해 회복탄력성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예방적 차원의 개입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 4학년 전공 재학생 118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여 유의표집을 실시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에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내적 대처자원으로서 회복탄력성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과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예방차원의 적극적인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help to seeking a preventive intervention plan for lowering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in social welfare students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by examining how resilience work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quality of their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by carrying 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K대학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필요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예방차원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 및 필요성을 반영하기 위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예방차원의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 J. Lee et al. (2011).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Social Worker Education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Syste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2. S. I. Nam, M. J. Kim, K. H. Choi, E. K. Bae & Y. E. Son. (2018). Social Welfare Field Training and Research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Qualification Syste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Social Workers Association 

  3. H. J. Lee. (2016). Factors Affect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ocial Welfare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4. K. W. Ko, & C. Y. Nam. (2012). A Study on the Perceived Level of Stress of College Students with Part-time Work Experienc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4(2), 149-168. 

  5. J. K. Kim. (2014). A Review Study on Nursing Students' Stress for Improvement of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47-59. DOI : 10.5977/jkasne.2014.20.1.47 

  6.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90629/96239079/1 

  7. J. A. Lee & J. Y. Won. (2017). Young Man's First Job and Potential Economic Activity. Employment Trend Brief. 2,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8. E. H. Park & Y. T. Lee. (2013).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go-Resilience on Jobs seeking Stress. Studies on Korean Youth. 24(4), 5-30. 

  9.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7). 2017 Employment Statistics Yearbook for Graduat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10. W. J. Baek. 2009.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Life on Suicide Ideation in the Alderly. Doctoral'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Graduate School, Gyeogsan. 

  11. M. H. Choi, J. H. Kim, E. S. Nam, Y. M. Lee, J. H. Hwang, M. K. Lee, S. J. Yun & H. J. Park. (2015). Factors Affecting Job-Seeking Stress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2), 122-131. DOI : 105807/kjohn.2015.24.2.122 

  12. Y. M. Baek. (2017). The Moderating Effects of Flo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5), 490-496. DOI : 10.5762/KAIS.2017.18.5.490 

  13. D. H. Moon. (2019). The Influence on Readiness for Employment and Job-seeking Stress of Senior Nursing Students' Quality of Life.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4), 783-797. DOI : 10.22251/j1cci.2019.19.14.783 

  14. C. A. Olsson, L. Bond, J. M. Burns, D. A. Vella-Brodrick & S. M. Sawyer. (2003).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6(1), 1-11. DOI : 10.1016/S0140-1971(02)00118-5 

  15. M. Ruter.(199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rty, 147, 598-611. DOI : 10.1192/bjp.147.6.598 

  16. B. Benard. (1993). Fostering Resiliency in Kids. Educational Leadership, 51(3), 44-48. 

  17. P. H. Kim & Y. R. Lee. (2016).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ocial Worker who Experienced Traumatic Ev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545-552. DOI : 10.14400/JDC.2016.14.9.545 

  18. S. Y. Kim & S. H. (2009). Research on Employment Stress and Countermeasures of the Graduators-to-be Who Majored In Social Work Korea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9, 23-51. 

  19. I. H. Yun. (2016). Majoring in Social Work Majors Satisfaction, Career Adaptability, Career identity, Employability, Ego-Resilience Research on the Effect of Careers Stress : Focusing on the latent mean Analysis by Gend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6), 308-314. DOI : 10.5762/KAIS.2016.17.6.308 

  20. M. S. Lee.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GRI REVIEW, 19(3), 159-182. 

  21. Y. J. Bae. (2016).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on Career Indecision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in Daegu, Gyeongbuk: The Mediating Effects of Anxiety.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32(2), 217-242. DOI : 10.18859/ssrr.2016.05.32.2.217 

  22. S. Y. Choi. (2017). Effects of Intrinsic-Extrinsic Work Value and Job Seeking Stres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ocial Work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787-796. DOI : 10.14257/ajmahs.2017.10.71 

  23. S. G. Min. C. I. Lee. K. I. Kim. S. Y. Suh & D. K. Kim.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24. S. W. Hwang. (1998). A Study on Employment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5. Y. R. Kang. (2006). The Influence of Jobs seeking Stress on Their Career Maturity Dance Majoring Student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6. W. Y. Shin, M. J. Kim & J. H. Kim.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131. 

  27. B. Y. Park & O. S. Shim. (2016).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and Gerneral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811-830. DOI : 10.22251/jlcci.2016.16.11.811 

  28. M. W. Jeoun. (2014).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9. J. E. Na. (2020). Factors Influencing Undergraduates' Quality of Life: Moder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Latent Growth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and Environment, 18(1), 25-32. 

  30. M. S. Kim. (2018). Research on Job Seeking Stress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Social Welfare Students: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social Resourc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42, 85-104. DOI : 10.31409/KJSWE.2018.42.85 

  31.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ress. 

  32. G. H. Shin. (2017). A Study on Resilience Type of the Juvenile Deliquents. Forum For Youth Culture, 51, 99-127. DOI: 10.17854/ffyc.2017.07.51.99 

  33. D. S. Son & O. H. Moon.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the Resilience of Social Welfere Majors in Colleg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tare Education, 12, 48-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