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다배소 처리된 탈질 폐촉매로부터 황산침출과 가수분해 침전반응에 의한 TiO2의 회수
Titanium Dioxide Recovery from Soda-roasted Spent SCR Catalysts through Sulphuric Acid Leaching and Hydrolysis Precipitation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9 no.5, 2020년, pp.48 - 54  

김승현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친빅하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이재령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다배소 처리한 탈질폐촉매의 수침출 잔사로부터 TiO2 회수를 위하여 황산침출과 가수분해 반응을 실시하였다. Ti 성분의 황산침출은 70 ℃, 3 시간, 교반속도 500 rpm, 슬러리 농도 100 g/L로 고정하여 실시하였고, 황산농도는 4~8 M로 변화시키며 진행하였다. 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침전회수는 가수분해반응을 이용하였으며, 실험조건은 100 ℃, 반응시간 2 시간으로 고정하였고, Ti 성분의 침전율은 침출액과 증류수의 혼합비와 침전반응 Seed 혼입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Ti의 침출율은 6 M에서 최대 95.2 %까지 도달 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Si의 침출율은 황산농도 증가에 반비례하여 급격히 감소하여 91.7 %에서 8 M 조건에서는 3.0 %까지 억제되었다. 침출액을 이용한 가수분해는 부성분인 Si의 함량이 가장 낮은 8 M 침출액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침출액의 혼합비에 의한 Ti의 침전회수율은 반응시간에 비례하였고 혼합비에 반비례하였다. 또한, 침전반응의 가속화를 위해 TiO2(#325~#400 mesh, 0.2 g) seed를 첨가하였을 경우에 모든 혼합조건에서 침전회수율이 상승하였으며, 혼합비(침출액:증류수) 1:9~3:7 구간에서 98.8~99.8 %의 침전율이 달성되었다. 회수된 TiO2의 순도는 침출액 혼합비 1:9~3:7 구간에서 혼합비가 낮을수록 증가하여 최대 99.46 %까지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lphuric acid (H2SO4) leaching and hydrolysis were experimented for the recovery of titanum dioxide (TiO2) from the water-leached residue followed by soda-roasting spent SCR catalysts. Sulphuric acid leaching of Ti was carried out with leachate concentration (4~8 M) and the others were fixed (temp....

Keyword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질 폐촉매로부터 W, V 회수를 위해 소다배소(Na2CO3) 후 수침출을 실시한 잔사로부터, TiO2를 회수하기 위해 황산을 이용한 산침출과 침출액의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실시하여 TiO2 성분의 회수율과 회수된 TiO2에 대한 순도 및 형상을 평가하였다.
  • 수침출 잔사로부터 Ti 성분의 침출은 황산을 이용하여 온도 70 ℃, 교반속도 500 rpm, 침출시간 3 시간, 슬러리 농도 100 g/L 조건으로 황산 농도를 4~8 M 구간에서 변화시키면서 진행하였다. 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회수를 위하여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 수침출 잔사로부터 Ti 성분의 침출은 황산을 이용하여 온도 70 ℃, 교반속도 500 rpm, 침출시간 3 시간, 슬러리 농도 100 g/L 조건으로 황산 농도를 4~8 M 구간에서 변화시키면서 진행하였다. 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회수를 위하여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가수분해 침전반응은 침출액과 증류수를 부피비로 1:9~5:5로 변화시키면서 혼합액 100 ml를 준비한 후, 100 ℃, 교반속도 300 rpm 조건으로 침전반응을 유도하였다.
  • 가수분해 침전반응은 침출액과 증류수를 부피비로 1:9~5:5로 변화시키면서 혼합액 100 ml를 준비한 후, 100 ℃, 교반속도 300 rpm 조건으로 침전반응을 유도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TiO2 결정생성 촉진을 위한 Seed (Titanium(IV) oxide, Anatase 98%, DAEJUNG) 첨가 유무에 따른 Ti 의 침전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수분해 실험 후 필터(aspirator, Qualitative filter paper, Whatman)를 사용하여 고액 분리를 실시하였다.
  • 또한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TiO2 결정생성 촉진을 위한 Seed (Titanium(IV) oxide, Anatase 98%, DAEJUNG) 첨가 유무에 따른 Ti 의 침전율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수분해 실험 후 필터(aspirator, Qualitative filter paper, Whatman)를 사용하여 고액 분리를 실시하였다. 분리된 고상의 침전물은 증류수로 3회 반복하여 세척한 후, 105 ℃, 24 시간 건조 후 전기로 (Electric furnace, Kanathal Super, Korea Furnace Development Co.
  • 황산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위해 8 M 침출액과 증류수를 부피비로 1:9, 2:8, 3:7, 4:6,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100 ml를 각각 준비하였다. 준비된 혼합용액을 100 ℃에서 교반속도 300 rpm조건에서 0~2 시간까지 반응을 진행한 후, 고-액 분리하여 액 중 잔류 Ti 성분을 정량분석하여 가수분해 침전회수율을 측정하였다(Fig.
  • 황산침출액으로부터 Ti 성분의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위해 8 M 침출액과 증류수를 부피비로 1:9, 2:8, 3:7, 4:6,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100 ml를 각각 준비하였다. 준비된 혼합용액을 100 ℃에서 교반속도 300 rpm조건에서 0~2 시간까지 반응을 진행한 후, 고-액 분리하여 액 중 잔류 Ti 성분을 정량분석하여 가수분해 침전회수율을 측정하였다(Fig. 4). 액 중 Ti 농도가 낮을수록 회수율 상승 속도가 빠르게 나타났으며, 혼합비 4:6, 5:5에서는 2 시간까지 회수율이 최대 20 % 정도로 낮게 측정되었다.
  • 또한, Ti 농도가 높을수록 침전회수율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침전반응 시 단량체의 핵생성에 많은 양의 활성화 에너지가 요구되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따라서 고농도 Ti 함유 용액의 침전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Ti seed를 첨가하여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seed는 고순도 TiO2 분말을 #325~#400 입도로 사분(sieving)하여 각각의 100 ml 혼합용액에 0.
  • 따라서 고농도 Ti 함유 용액의 침전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Ti seed를 첨가하여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사용한 seed는 고순도 TiO2 분말을 #325~#400 입도로 사분(sieving)하여 각각의 100 ml 혼합용액에 0.2 g 첨가하여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 침전 회수된 TiO2는 결정수의 제거와 결정성 향상을 위해 650, 850 ℃로 각각 1 시간 열처리하여 성상을 조사 하였다. 침전물의 XRD 분석 결과(Fig.
  • 탈질폐촉매로부터 W, V 성분을 회수한 수침출 잔사로부터 Ti 성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황산침출과 침출액의 가수분해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 액 중 원소 농도분석은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기(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OPTIMA 7300 DV, Perkinelmer,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침출율은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잔사의 원소함량은 chemical digestion method를 이용하여 완전용해 후 분석하였다. 고상의 성상은 고분해능 X-선 회절기(HRXRD,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X`pert-Pro MPD, PANalytical, Netherlan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성은 X선 형광분석기(XRF, X-ray Fluorescence, S2 ranger, Bruker, USA)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침전법으로 회수한 TiO2의 형상학적 분석은 고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 (UHR-SEM, Ultra 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Japan)으로 확인하였다.
  • 고상의 성상은 고분해능 X-선 회절기(HRXRD,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X`pert-Pro MPD, PANalytical, Netherlan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성은 X선 형광분석기(XRF, X-ray Fluorescence, S2 ranger, Bruker, USA)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침전법으로 회수한 TiO2의 형상학적 분석은 고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 (UHR-SEM, Ultra 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Japan)으로 확인하였다.
  • 탈질 폐촉매와 W, V를 회수한 수침출 잔사에 대한 조성을 XRF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Table 1). 수침출에 의해 W, V 성분의 대부분이 제거되었으며, Na2O 성분의 증가로 인해 TiO2 성분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 침출 실험은 수침출잔사에 대해 슬러리 농도(100 g/L), 침출온도(70 ℃), 침출시간(3 hrs), 교반속도(500 rpm)를고정하였으며, 황산 농도의 변화에 따른 Ti, Si의 침출율을 관찰하기 위해 농도를 4, 5, 6, 7, 8 M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Fig. 3).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원료는 탈질폐촉매로부터 W, V을 회수하기 위해 소다배소처리 후, 수침출을 진행한 수 침출 잔사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삼천포발전소에서 발생한 폐촉매를 대상으로 탄산나트륨(Na2CO3, Junsei Chemicals, 99 %, Japan)과 폐촉매를 질량비로 2:1로 혼합 후 1000 ℃, 1 시간 배소처리 하였고, 소다배소된 폐촉매를 Rod mill을 이용하여 분쇄 후 sieving을 통해 325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준비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원료는 탈질폐촉매로부터 W, V을 회수하기 위해 소다배소처리 후, 수침출을 진행한 수 침출 잔사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삼천포발전소에서 발생한 폐촉매를 대상으로 탄산나트륨(Na2CO3, Junsei Chemicals, 99 %, Japan)과 폐촉매를 질량비로 2:1로 혼합 후 1000 ℃, 1 시간 배소처리 하였고, 소다배소된 폐촉매를 Rod mill을 이용하여 분쇄 후 sieving을 통해 325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시료에 대한 수침출은 온도 70 ℃, 교반속도 500 rpm, 고액비 100 g/L 의 조건으로 1 시간 수침출 후, 고액 분리하였다.
  • Ti 회수를 위한 침출액은, 침출율이 최대인 황산 6 M 의 경우 액 중 다량의 Si 성분이 존재하고 이는 가수분해 침전반응에 의해 Ti 성분과 공침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서 회수된 TiO2의 순도를 저감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침출율은 다소 낮지만 액 중 Si 성분이 극히 낮게 존재하는 황산 8 M 침출액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는 고액 분리 후 여과 액의 원소 함량, WB는 고액 분리 후 침출잔사의 원소 함량을 나타낸다. 잔사의 원소함량은 chemical digestion method를 이용하여 완전용해 후 분석하였다. 고상의 성상은 고분해능 X-선 회절기(HRXRD,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ometer, X`pert-Pro MPD, PANalytical, Netherlan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조성은 X선 형광분석기(XRF, X-ray Fluorescence, S2 ranger, Bruker, USA)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J. W., Ye, B., Lee, M.,et al., 2019 : Adsorption / Desorption Performance and NOx Removal Efficiency of BaO Loaded V 2 O 5 -WO 3 /TiO 2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57(4), pp.270-277. 

  2. Choi, I. H., Cho, Y. C., Moon, G., et al., 2020 : Recent Developments in the Recycling of Spent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in South Korea, Catalyst, 10(2), p.182. 

  3. Ahn, J. G., Ahn, J. W., 2008 : The Optimum Condition Analysis of Vanadium Solvent Extraction by Alamine336 from the Synthetic Vanadium Sulfate Solution.,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46(12), pp.823-829. 

  4. Kim, H. R., Lee, J. Y., & Kim, J. S., 2012 : Leaching of Vanadium and Tungsten from spent SCR catalysts for De-NOx by Soda Reasting And Water Lea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21(6), pp.65-73. 

  5. Choi, I. H., Moon, G., Lee, J. Y., et al., 2018 : Extraction of tungsten and vanadium from spent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catalyst for stationary application by pressure leaching proces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97, pp.163-169. 

  6. Choi, S. O., Cho, J. H., Lim, S. H., et al., 2012 :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Rutile TiO 2 Powder by the Sulfuric Acid Method,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50(7), pp.523-530. 

  7. Faizul, C. P., Abdullah, C., & Fazlul, B., 2013 : Review of Extraction of Silica from Agricultural Wastes using Acid Leaching Treatment., Advanced Materials Research, 626, pp.997-1000. 

  8. Reck, E., Richards, M., 1999 : TiO 2 manufacture and life cycle analysis, Pigment & Resin Technology, 28(3), pp. 149-157. 

  9. Grzmil, B. U., Grela, D., & Kic, B., 2008 : Hydrolysis of titanium sulphate compounds. Chemical Papers, 62(1), pp. 18-25. 

  10. Nguyen, T. H., Lee, M. S., 2019 : A review on the recovery of titanium dioxide from ilmenite ores by direct leaching technologies., Mineral Processing and Extractive Metallurgy Review, 40(4), pp.231-247. 

  11. Bavykin, D. V., Dubovitskaya, V. P., Vorontsov, A. V., et al., 2007 : Effect of TiO s O 4 hydrothermal hydrolysis conditions on TiO 2 morphology and gas-phase oxidative activity, Research on Chemical Intermediates, 33(3-5), pp.449-464.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