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한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적 제언
Direction and Practical Proposal for Christian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Christian Spirituality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63, 2020년, pp.347 - 376  

김은주 (서울신학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생태 위기 앞에서 요구되고 있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항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실천을 제언하는 글이다. 환경파괴와 생태계의 문제는 인류의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그로 인하여 지금까지 인류가 당연히 여기고 있던 물질문명의 발전에 의문을 던지게 되었고 생태 위기의 근원에 자리하고 있는 인간의 의식과 사고의 변화가 불가피하게 되었다. 문명의 위기는 새로운 영성을 요구하며 생태 위기 앞에서 요구되는 영성은 생명 친화적인 영성이어야 한다. 1970년대 이후 등장한 생태 위기에 대한 담론들은 생태 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제공해준다. '내재성', '상호 관련성', '치유와 해방', '지속성'이라는 생태 영성의 개념들은 위의 다양한 담론들의 논의들을 이해하고 집약할 수 있는 개념들이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본 논문은 하나님과 인간, 몸의 영역으로 나누어 기독교적 생태 영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만물 위에 군림하시는 초월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만물이 출현하도록 자신을 비우시고 만물의 고통을 함께 나누시며 만물을 유지하시고 그 안에 거하시는 하나님 이해를 통하여 소박한 삶을 위한 자기 비움의 실천적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묵상과 환대는 소박한 삶을 위하여 내면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실천적 기독교교육의 자리가 될 수 있다. 몸을 경시하는 이분법적 사고와 내세지향적인 시각에서 몸의 영성을 강조하는 생태학적 기독교 영성을 통하여 통전적인 앎의 자리로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거기에서 성만찬은 몸의 영성을 회복하는 통전적인 교육과 생태학적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자리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기독교교육은 이성만이 아니라 통전적으로 그리스도를 알아나가며 생태계와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Christian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Christian spirituality required in front of the ecological crisi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ecosystem problems are recognized as a serious crisis that can threaten human survival. As a result, the developme...

주제어

참고문헌 (38)

  1. 김균진 (2005). 구원의 영성과 창조의 영성. 신학논단, 39, 135-212. 

  2. 김대식 (2012). 영성, 우매한 세계에 대한 저항. 서울: 모시는 사람들. 

  3. 노상우 (2007).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교육철학, 39, 57-79. 

  4. 문순홍 (2006). 생태학의 담론. 서울: 아르케. 

  5. 박상언 (1998). 몸.죽음 그리고 그리스도교의 타계관. 종교연구, 16, 275-298. 

  6. 손원영 (2009). 영성학과 기독교교육학의 대화. 한국기독교신학논총, 61, 289-312. 

  7. 양금희 (2014). 의례이론과 의례적 인식론을 통해서 본 예전의 기독교교육적 의미, 기독교교육논총, 37, 83-114. 

  8. 위키백과 (2020). 지구의 날.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A%B5%AC%EC%9D%98_%EB%82%A0에서 인출. 

  9. 윤응진 (2004). 생태학적 기독교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한국기독교신학논총, 31, 477-501. 

  10. 이관표 (2018). 현대신학의 케노시스 이해로 보는 하나님과 인간: 케노시스 이론을 통한 신-이해와 인간-이해의 재구성. 한국조직신학논총, 51, 45-79. 

  11. 이정배 외 14인(편) (2006). 현대 생태신학자의 신학과 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2. 이정배 (2010). 생태영성과 기독교의 재주체화. 서울: 동연. 

  13. 이향명 (2011). 현 단계 생태담론들에 대한 고찰과 기독교생태교육의 방향. 신학사상, 154, 239-268. 

  14. 조명래 외(편) (2010). 기후 붕괴시대, 아주 불편한 진실 조금 불편한 삶. 서울: 동연. 

  15. 최창국 (2008). 몸과 기독교교육: 통전적 교육을 위한 유기체적 인식. 성경과 신학, 45, 142-181. 

  16. 한면희 (2007). 미래세대와 생태윤리. 서울: 철학과 현실사. 

  17. Ayres, A. J. (2002). Bausteine der kindlichen entwicklung. Berlin: Springer. 

  18. Beckwith, I. (2010). 포스트모던시대의 어린이 사역. 정일오.최형걸 역. 서울: 도서출판 대서. (원저 2004 출판) 

  19. Clapp, R. (2006). 사람을 위한 영성. 홍병룡 역. 서울: IVP. (원저 2004 출판) 

  20. Diamond, I. & Orenstein, G. P. (편) (1996). 다시 꾸며보는 세상: 생태여성주의의 대두. 정현경. 황혜숙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1996 출판) 

  21. Foster, R. J. (1995). 영적 성장을 위한 제자훈련. 편집부 역. 서울: 보이스사, (원저 1990 출판) 

  22. Fromm, E. (2013). 소유냐 존재냐. 차경아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저 1976 출판) (원저 1976 출판) 

  23. Gore, A. A. (2006). 불편한 진실. 김명남 역. 서울: 좋은생각. (원저 2006 출판) 

  24. Grethlein, Ch. (2010). Kinder in der kirche. Go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25. Grethlein, Ch. (2014). 교회의 아이들. 김상구.김은주 역. 서울: CLC. (원저 2010 출판) 

  26. Link, Ch. (1991). 피조물의 권리에 대한 신학적 관점 기독교사상, 35, 52-162. 

  27. Lynas, M. (2009). 6도의 악몽. 이한중 역. 서울: 세종서적. 

  28. McFague, S. (2006). 어머니.연인.친구. 정애성 역 서울: 뜰밖. (원저 1987 출판) 

  29. McFague, S. (2008). 기후 변화와 신학의 재구성. 김준우 역. 경기: 한국기독교연구소. (원저 2008 출판) 

  30. Moltmann, J. (2007). 창조 안에 계신 하느님. 김균진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원저 1987 출판) 

  31. Nouwen, H. J. M. (1999). 상처 입은 치유자. 최원준 역. 서울: 두란노. (원저 1972 출판) 

  32. Pohlmann, H. G. (1994). 교의학. 이신건 역 서울:한국신학연구소. (원저 1980 출판) 

  33. Polkinghorne, J. et al(Eds.). (2015). 케노시스 창조이론. 서울: 새물결플러스. (원저 2014 출판) 

  34. Ruether, R. R. (1980). 새 여성 새 세계. 손승희 역. 서울: 현대사상사. (원저 1975 출판) 

  35. Ruether, R. R. (2006). 가이아와 하느님. 전현식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저 1992 출판) 

  36. Westerhoff III, J. (1991. 453권). 목회에 대한 교육적 접근/기독교적 양육으로써 성만찬. 현성주 역. 활천. 97-102. 

  37. Wright, N. G. & Kill, D. (2003). 생태학적 치유 기독교적 전망. 박경미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원저 1993 출판) 

  38. YTN 사이언스 홈페이지 (2020. 4. 23). 다큐S프라임, 코로나19, 지구의 경고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1213&s_hcd&key202004241019285551&page2에서 인출.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