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첨성대 이름의 의미 해석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Name "Cheomseongdae"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4, 2020년, pp.2 - 31  

장활식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첨성대의 본질에 관한 현재의 가장 보편적인 가설은 천문관측대설이다. 천문관측대설의 근거는 주장하는 학자들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근거는 '첨성대'라는 이름이며, 이에 대한 타당한 비판은 지금까지 제기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를 밝히고, '첨성대'가 천문관측대설의 타당한 근거인지를 살펴보았다. 천문관련설은 '첨성대'를 주로 '첨+성+대'로 해석했다. '볼 첨(瞻)'자와 '별 성(星)'자와 '대 대(臺)'자의 조합인 '첨성대'는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한다고 주장해 왔다. 한편 종교관련설의 경우, '별 성'은 '하늘 천(天)'을 의미하며, 첨성대에서 바라 본 '하늘'은 불교의 천상세계인 도리천이었다고 주장해 왔다. 본 연구는 『삼국유사』(1289±) 이전의 중국 기록에서 '첨성'의 용례들을 살펴보았다. '첨성'에 내포된 의미는 매우 다양하게 드러났다. '첨성+대'는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천문을 관측한 대'를 뜻할 수도 있고,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를 뜻할 수도 있었다. 또한 '첨성'이 힌두교, 유교, 불교, 천주교, 도교와 같은 다양한 종교적 배경으로 실행되었음을 알 수가 있었고, 불교의 '첨성'의 경우는 적어도 외도(外道)의 '첨성', 법도(法道)의 '첨성', 세속(世俗)의 '첨성'으로 나눠질 수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서술의 맥락에 따라서 '첨성+대'에 내포된 의미는 상당히 달라질 수가 있는 것이다. 『삼국유사』에 서술된 첨성대의 본질은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를 위한 묘탑(廟塔)으로 드러났다. 선덕여왕의 도리천 장례와 문무왕대의 사천왕사 건립은 신종원(1996)의 견해대로 밀교 승려 안함(안홍)에 의해 예언되었고, 『삼국유사』가 인용한 『별기』는 안함(안홍)의 참서(예언서)로 드러났다. 선덕여왕릉과 첨성대의 배치가 동지일출선에 정확하게 맞춰져 있음은 첨성대가 선덕여왕 유혼의 도리천 상생 통로였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첨성대는 도리천으로 통하는 삼도보계(三道寶階)와 같은 '천국의 계단'를 가진 불탑이었고, '첨성대'는 『삼국유사』 왕력편의 '점성대'와 마찬가지로 '도리천을 우러러 본 대'라는 의미로 파악되었다. '첨성대'라는 이름은 천문관측대설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오히려 천문관련설을 총체적으로 부정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근거로 새롭게 평가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mSeongDae (瞻星臺) is a stone structure built in Gyeongju, the former Silla Dynasty capital,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632~647AD). There exist dozens of hypotheses regarding its original purpose. Depending on to whom you ask, the answer could be a celestial observator...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7)

  1. 강봉진, 1982, 瞻星臺의 機能에 대한 考察, 建築士 1982-2, 대한건축사협회, pp.19-21 

  2. 강영경, 1990, 新羅 善德王의 知幾三事에 대한 一考察, 원우논총 8,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원우회, pp.187-210 

  3. 강재철, 1991, 선덕여왕지기삼사조 설화의 연구, 동양학 2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pp.57-95 

  4. 김기홍, 2000, 천년의 왕국 신라 창작과 비평사 

  5. 김용운, 1974, 瞻星臺小考, 역사학보 64, 역사학회, pp.95-114 

  6. 김상현, 1981, 萬波息笛說話의 形成과 意義, 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pp.1-27 

  7. 김영주, 2007, 公論圈으로서의 瞻星臺 연구, 언론과학연구 7-1,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pp.47-77 

  8. 김일권, 2010, 첨성대의 靈臺적 독법과 신라 왕경의 三雍제도 관점, 신라사학보 18, 신라사학회, pp.5-31 

  9. 김재관, 1981, 첨성대 토론 유감, 한국과학사회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9-150 

  10. 남천우, 1974, 첨성대에 관한 諸說의 검토, 역사학보 64, 역사학회, pp.115-136 

  11. 노용필, 2015, 한국 고대의 문선 수용과 그 역사적 의의, 역사학연구 58, 호남사학회, p.56 

  12. 맹성렬, 2017, 첨성대는 천문대인가?,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10,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955-964 

  13. 민영규, 1981, 瞻星臺偶得,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0-146 

  14. 박성래, 1980, 첨성대에 대하여, 한국과학사학회지 2-1, 한국과학사학회, pp.136-137 

  15. 박창범, 2009, 경주 첨성대,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 워크숍, 한국천문연구원 pp.47-60 

  16. 서금석, 2017, 천문대로서의 첨성대 異說에 대한 再論, 한국고대사연구 86, 한국고대사학회, pp.149-193 

  17. 서대석, 1997, 한국 신화의 역사적 전개, 구비문학연구 5, 한국구비문학회, pp.9-35 

  18. 서정화, 2019, 瞻星臺 축조 의의 一考察, 한국문화 8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pp.77-108 

  19. 신용철, 2007, 初期 新羅 佛塔觀에 대한 考察, 문화사학 27, 한국문화사학회, pp.447-465 

  20. 신종원, 1992, 안홍과 신라불국토설, 중국철학 3, 중국철학회, pp.167-189 

  21. 신종원, 1996, 三國遺事 善德王知幾三事條의 몇 가지 問題,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1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37-66 

  22. 옥나영, 2007, 관정경과 7세기 신라 밀교, 역사와 현실 63, 한국역사연구회, pp.249-277 

  23. 안지원, 1997, 신라 眞平王代 帝釋信仰과 왕권, 역사교육 63, 역사교육연구회, pp.65-98 

  24. 이기동, 1981, 선덕여왕대의 시대: 첨성대 논쟁에 덧붙여서,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5-146 

  25. 이동식, 1981, 사고의 심리학과 병리학, 한국과학사학회지 3-1, 한국과학사학회, pp.147-148 

  26. 이문규, 2004, 첨성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과학사학회지 26-1, 한국과학사학회, pp.3-28 

  27. 이상주, 2007, 우암의 화양구곡 '첨성대'에서의 '천문관측'설 및 선기옥형의 용도에 대한 검증 중원문화논총 11, 충북대학교, pp.93-119 

  28. 이용범, 1974, 瞻星臺 存疑, 진단학보 38, 진단학회, pp.27-48 

  29. 이용범, 1993, 續瞻星臺문제, 한국과학사상사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pp.32-69 

  30. 장윤성.장활식, 2009, 첨성대 ??井 가설, 한국고대사연구 54, 한국고대사학회, pp.463-502 

  31. 장효현, 2014, 景敎(Nestorianism)의 東方 傳播, 동방문학비교연구 2, 동방비교연구회, pp.11-30 

  32. 장활식, 2012, 첨성대 옛 기록의 분석, 신라문화 3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17-158 

  33. 장활식, 2013, 경주 첨성대의 방향과 상징성, 신라문화 4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111-154 

  34. 장활식, 2015, 해동고승전 釋안함전의 분석, 신라문화 4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243-277 

  35. 장활식, 2017, 첨성대 축조 발원자, 신라문화 4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pp.31-64 

  36. 장활식, 2020, 첨성대 축조연대의 추정, 한국학 43-1, 한국학 중앙연구원, pp.217-263 

  37. 전상운, 1964, 三國 및 統一新羅時代의 天文儀器, 고문화 3,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13-23 

  38. 정기호, 1991, 경관에 개재된 내용과 형식의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19-2, 한국조경학회, pp.23-31 

  39. 정연식, 2009a, 선덕여왕과 聖祖의 탄생, 첨성대, 역사와 현실 74, 한국역사연구회, pp.299-388 

  40. 정연식, 2009b, 첨성대의 기능과 형태에 관한 여러 학설 비판, 역사회보 204, 역사학회, pp.357-403 

  41. 정연식, 2010, 7세기 첨성대 건립과 천문이변 기록 증가의 관련설에 대한 비판, 역사회보 206, 역사학회, pp.311-335 

  42. 정진희, 2013, 고려 熾盛光如來 신앙 고찰, 정신문화연구 36-3, 한국학중앙연구원, pp.313-342 

  43. 조세환, 1998, 첨성대의 경관인식론적 해석, 한국조경학회지 26-3, 한국조경학회, pp.178-188 

  44. 최재영, 2013, 隋文帝의 正統性과 佛敎政策, 대구사학 111, 대구사학회, pp.91-116 

  45. 최종석, 1998, 신라 미륵신앙과 첨성대, 보조사상 27, 보조사상연구원, pp.191-229 

  46. 和田雄治, 1910, 慶州瞻星臺の記, 天文月報 2-11, 일본 천문학회, pp.121-124 

  47. 白鹿无涯, 2015, 蜀?之七?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