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
On the Studies of Koguryo Archaeology in North Korea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1, 2020년, pp.106 - 125  

강현숙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초록

1949년 안악3호분의 발굴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에서 조사한 고구려 고분과 성곽 등 많은 유적은 남한 고구려 고고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해방 이후부터 고고학 조사와 관련된 제도를 정비한 북한에서는 압록강 유역의 적석총과 안악3호분이나 덕흥리벽화분을 위시한 고분, 대성산성과 안학궁 등 평양과 지방의 성곽과 신원 도시유적 등을 조사하여 고구려 역사를 체계화하고 문화의 우수성을 밝혔다고 평가한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한의 고구려 고고학 조사와 연구는 '대동강문화'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되다보니 고고학 조사는 평양을 중심으로 한 서북한 일대에 치중되었고, 그 결과는 '고구려는 고조선을 계승한 천년 강성대국'이라는 대명제를 실증, 확증한다는 결론으로 귀결되고 있다. 이러한 주체적인 해석은 더욱 공고해져서 고구려 건국연대를 기원전 277년으로 소급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적석총의 등장은 기원전 3세기로, 고구려의 평양진출을 3세기대로, 평양은 4세기 이전에 부수도로서 위상을 갖추었다고 평가한다. 최근에는 평양 일원의 성곽은 층위적으로 고구려의 고조선 계승이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고구려의 기원전 277년 건국이나 고조선 계승의 고고학적 근거가 객관성을 담보했다고 보기 어렵다. 단군릉과 동명왕릉의 개건에서 드러나듯이 자칫 선택적 조사와 자의적인 해석이라는 비판의 소지가 있다. 때문에 남한에서의 고구려 고고학 연구는 북한의 발굴조사와 보고된 자료를 그대로 취신할 것인가, 또는 유적, 유물에 대한 해석을 그대로 인용할 것인가 등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남, 북한의 공동 조사와 학술교류가 필요한 이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1949 to the present day, many Koguryo sites have been excavated, in North Korea. It can also be said that archaeological surveys and studies in North Korea have triggered Koguryo archaeological studies in South Korea. However, since the 1990s, the excavation of Koguryo sites and archaeological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10)

  1. 강현숙, 1999, 고구려 적석총의 등장에 대하여, 경기사학 5 

  2. 강현숙, 2013, 고구려 고분 연구 

  3. 권기홍, 1995, 일본 규슈지방 벽화계고분 그림에 반영된 고구려적 성격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4. 권기홍, 1997, 규슈지방 고분시대의 무덤에 반영된 고구려적 성격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5. 김성철, 2004, 압록강, 두만강 이북지역의 고구려 유적들에 대하여, 력사과학 4 

  6. 김성철, 2005, 고구려 련결돌각담무덤의 류형과 변천, 조선고고연구 3 

  7. 김성철, 2006, 고국원왕릉(안악3호무덤)의 동수무덤설에 대한 비판, 조선고고연구 3 

  8. 김성철, 2007, (자료)압록강류역의 간구자 돌각담무덤, 조선고고연구 2 

  9. 김성철, 2009, 경신리1호무덤의 축조시기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10. 김성철, 2010, 고구려의 대형돌각담무덤의 류형과 변천, 조선고고연구 2 

  11. 김성철, 2011, 지안 위산무덤구역 540호무덤, 조선고고연구 2011-4 

  12. 김성철, 2012, 고구려왕릉급무덤의 릉원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13. 김성철, 2015a, 집암마선구무덤구역2100호무덤과 2378호무덤의 주인공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14. 김성철, 2015b, 집안일대 고구려왕릉급돌각담무덤에서 나온 고사리무늬기와막새의 제작시기, 조선고고연구 4 

  15. 김영일, 2014, 기와를 통하여 본 락사터의 년대와 성격, 조선고고연구 3 

  16. 김영희, 2014, 마선구2100호무덤의 축조시기에 대하여, 력사과학 4 

  17. 김인철, 2010, 고구려초기돌각담무덤의 의 부당성, 조선고고연구 4 

  18. 김일성종합대학출판부, 1976, 동명왕릉과 그 부근의 고구려유적 

  19. 김종혁, 1985, 수산리벽화무덤과 다까마쯔무덤, 력사과학 2 

  20. 남일룡.김경찬, 2001, 청암동토성에 대하여(2)(3), 조선고고연구 2000-1, 2001-2 

  21. 도유호, 1959, 고구려 석실봉토분의 유래와 서역문화의 영향, 문화유산 4 

  22. 동북아역사재단, 2011, 옥도리 고구려 벽화무덤 

  23. 동북아역사재단, 2013, 평양지역 고구려도성유적 

  24. 동북아역사재단, 2015, 황해도지역 고구려산성 

  25. 동북아역사재단, 2017, 평안도지역 고구려산성 

  26. 리광희, 1990, 고구려 무덤을 통하여 본 유약 바른 질그릇의 발생시기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27. 리광희, 2000, 동명왕릉 릉원 형식의 대외적 영향, 조선고고연구 3 

  28. 리광희, 2003, 고구려의 금속제관모와 관모장식에 대한 간단한 고찰, 조선고고연구 2 

  29. 리광희 박준호, 2013, 고구려성에 대한 새로운 연구방법, 조선고고연구 1 

  30. 리순진, 1994, 강원도철령유적에서 발굴된 고구려기마모형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31. 리승혁, 1985, 장수산성의 축조형식과 년대, 력사과학 2 

  32. 리영식, 2011, 고구려돌각담무덤배수시설의 류형과 변천, 조선고고연구 4 

  33. 리인동, 2001, 고구려자의 크기 기준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 

  34. 리정남, 2007, 덕산토성발굴보고, 조선고고연구 3 

  35. 리주현.한은숙, 2009, 총론, 조선고고학총서1,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36. 리철영, 2008, 고구려남평양의 위치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37. 리호, 2011, 고구려청호동토성에 대한 지도학적 고찰, 조선고고연구 3 

  38. 리화선, 1989, 고구려평양성외성안의 리방의 형태와 규모, 그 전개에 대하여, 력사과학 1 

  39. 발굴보고, 2007, 함주군 신하리 집자리유적발굴보고(1)(2), 조선고고연구 1, 2 

  40. 박양진, 1998, 북한 고고학의 몇 가지 특징, 인문학연구 25-2,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1. 박윤원, 1963, 안악3호분은 고구려 미천왕릉이다, 고고민속 2 

  42. 박준호.박철진, 2009, 대화궁 건축에 쓰인 단위자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 

  43. 박준호, 2015, 고구려산성에서의 물 보장 체계, 조선고고연구 2 

  44. 박진욱, 1988, 쏘련 싸마르칸드 아흐라샤부궁전지 벽화의 고구려 사절도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45. 박진욱, 1992, 덕흥리벽화무덤의 주인공과 유주의 소속 문제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46. 박철, 2016, 표대유적제1지점에서 발굴된 고구려시기 39호집자리, 조선고고연구 3 

  47. 박황식, 1965 (론문) 미천왕무덤(안악3호)의 건축 구성에 대하여, 고고민속1 

  48. 백종오, 2008, 북한의 고구려 유적 연구 현황 및 성과, 정신문화연구 31-1, 한국학중앙연구원 

  49.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편, 조선고고연구, 2000-2016 

  50. 석광준, 2000, 고구려 고고학의 새로운 성과, 古代史シンポジウム, 財團法人 朝鮮?學會 

  51. 손수호, 1997, 상왕가촌벽화무덤의 성격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52. 손수호, 2001, 고구려 고분연구 

  53. 손영종, 1979, 612년 살수전투와 관련한 력사지리 문제에 대하여91)(2), 력사과학 2,3 

  54. 손영종, 1987, 덕흥리벽화무덤의 주인공의 국적문제에 대하여, 력사과학 1 

  55. 손영종, 1991, 고구려 건국년대에 대한 재검토, 력사과학 1990-1 

  56. 손영종, 1993, 5-7세기 고구려의 서방과 북방령역에 대하여(1)(2), 력사과학 1993-2,3,4 

  57. 손영종, 1996, 고구려 왕세계와 왕호에 대한 왜곡을 비핀함(1)(2), 력사과학 1996-1,2 

  58. 손은철, 2006, 덕흥리벽화무덤과 관련한 그릇된 견해에 대한 비판, 조선고고연구 3 

  59. 심수범, 2010, 1-2세기 고구려왕릉급무덤들에서 나온 기와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60. 안병찬, 1982, 새로 발굴한 고구려의 다리, 력사과학 3 

  61. 양시은, 2016, 북한학계 고구려 고고학의 최근 연구동향, 통일고고학을 위한 연구 현황과 과제 진단, 2016년도 한국고고학회 학술회의 자료집 

  62. 오철민, 2011, 고구려장성의 분포상태와 그 특징, 조선고고연구 4 

  63. 오철민, 2012, 고구려장성의 축조형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64. 장철만, 2011, 몽골에서 새로 알려진 고구려의 성과 벽화무덤에 대하여, 민족문화유산 1 

  65. 장철만, 2012, 안변군 과평리에서 새로 알려진 기마모형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66. 전제헌, 1994, 정릉사 행국건물의 평면복원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67. 전준현, 1980, 612년 고구려-수전쟁의 기본전선과 봉황성계선에서의 승리, 력사과학 2 

  68. 전주농, 1957,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악기연구(1), 문화유산 1 

  69. 전주농, 1963a, 다시한번 안악의 왕릉을 론함-미천왕릉설의 타당성을 증명함, 고고민속 2 

  70. 전주농, 1963b, 전동명왕릉부근 벽화무덤, 고고학자료집 3 

  71. 정백운, 1957, 조선고대무덤에 관한연구(1)(2), 문화유산 2,3 

  72. 정경일, 2016, 최근 북한학계에서 이룩한 고구려 고고학 성과, 선사와 고대 47, 한국고대학회 

  73. 정영성, 2011a, 고구려 첨성대터 유적에 반영된 천문학적 성격, 민족문화유산 3 

  74. 정영성, 2011b. 새로 건설되는 평양민속공원에서 발굴된 고구려건축지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4 

  75. 정영진, 2016, 연변대학과 북한 사회과학원의 고대유적 공동조사 발굴 성과와 과제, 통일고고학을 위한 연구 현황과 과제 진단, 2016년도 한국고고학회 학술회의 자료집 

  76. 정지향, 2016,집안고구려왕릉급무덤들에서 발견된 기와의 용동, 조선고고연구 4 

  77. 정찬영, 1961, 고구려 적석총에 관하여, 문화유산 5 

  78. 정찬영, 1967, 고구려초기 묘제의 유래, 고고민속 4 

  79. 조중공동고고학 발굴대 1966, 중국 동북지방의 유적 발굴 보고(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80. 주영헌, 1959, 고구려벽화분의 편년기준에 관하여, 문화유산 6 

  81. 주영헌,1960, 고구려벽화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 내용의 변화 발전(I)(II), 문화유산 2,3 

  82. 주영헌, 1962, 고구려적석무덤에 관한 연구, 문화유산 2 

  83. 주영헌, 1963, 고구려 봉토무덤의 기원과 그 변천, 고고민속 3 

  84. 주영헌, 1965, 고구려 벽화무덤의 구조 형식과 벽화 내용의 변화 발전, 고고민속 4 

  85. 朱英憲, 1986, 德興里高句麗壁畵古墳, 講談社 

  86. 지승철, 2001, 고구려 서해안 성방어체계, 력사과학 4 

  87. 차달만 2012, 적두산성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1 

  88. 차영남, 2006, 고구려 과 일본 의 호상관계 문제에 대한 간단한 고찰, 력사과학 1 

  89. 채희국, 1959, 고구려석실봉토분의 기원에 관하여, 문화유산 3 

  90. 채희국, 1979a, 612년 살수전투와 관련한 력사지리문제에 대하여(1), 력사과학 2 

  91. 채희국, 1979b, 살수전투와 관련한 력사지리문제에 대하여(2), 력사과학 3 

  92. 채희국, 1980, 고구려 수도의 변천과 봉황성-환도에 대하여, 력사과학 2 

  93. 최승택, 1991, 장수산성의 축조년대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3 

  94. 최승택, 2009, 장수산일대의 남평양도시유적에서 새로 고구려시기의 유적유물 발굴, 조선고고연구 4 

  95. 최승택, 2010, 연변지역장성, 조선고고연구 4 

  96. 최승택, 2011, 일부고구려벽화무덤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조선고고연구 2 

  97. 최승택, 2012, 고구려의 남방진출과정과 평양천도의 력사적 배경, 조선고고연구 4 

  98. 최승택, 2015, 황해도지역의 고구려유적분포에서 주목되는 몇 가지 문제, 조선고고연구 4 

  99. 최응선, 2012, 새로 발굴된 식물원지구 돌칸흙무덤, 조선고고연구 4 

  100. 최종택, 2015, 통일시대의 한국고고학, 고고학과 현대사회, 제39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자료집 

  101. 최종택, 2019, 평양성발굴의 성과와 과제, 평양성의 역사, 역사도시 서울-평양학술대회발표집 

  102. 최창빈, 1985, 신원에서 고구려시기의 큰 도시유적발견, 력사과학 4 

  103. 최창빈, 1990, 4세기말-5세기초 고구려의 국남7성과 국동6성에 대하여, 력사과학 3 

  104. 최충성, 2012, 황해도일대 고구려성의 분포정형과 지방성 방위체계, 조선고고연구 4 

  105. 최희림, 1978, 고구려 평양성 백과사전출판사 

  106. 한인호, 1981, 정릉사건축의 평면구성에 대하여, 력사과학 2 

  107. 한창균, 2013, 북한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보 79 

  108. 한철준, 2007, 고구려평양성에서 외방의 리방체계, 조선건축 2 

  109. 허철준, 1986, 정릉사의 평면복원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고찰, 력사과학 2 

  110. 中國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縣博物館, 2005, 集安高句麗王陵, 文物出版社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