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파괴 분석을 활용한 조선왕릉 태릉 석조물의 손상특성 분석
Deterior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Stone Properties in the Taereung Royal Tomb of the Joseon Dynasty using Nondestructive Analysi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3 no.2, 2020년, pp.222 - 241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최명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태종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전유근 (한국문화재재단 국제교류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왕릉 태릉은 중종의 계비인 문정황후의 무덤으로 다양한 종류의 석조물(석물 24기, 봉분석재 144개)이 배치되어 있다. 이 석조물은 모두 중조립질의 흑운모화강암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석조물의 주요 손상양상은 물리적 손상과 생물오염으로 확인되며 이 중에서 박리박락(145기), 입상분해(138기), 보수물질(156기)과 함께 생물오염인 조류(154기), 지의류(165기), 선태류(97기)가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다. 특히 생물학적 손상(조류)이 가장 심각한 상태(3등급 이상이 전체 석물의 94%)로 즉각적인 보존처리가 요구되며 부분적으로는 박리박락과 입상분해 등도 중장기적인 보존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에코팁 경도와 초음파탐사 결과, 석재의 약 70%이상이 물성이 상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분광 분석에서도 봉분석재 표면의 80% 이상에서 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부분에는 P(인), S(황), Cl(염소), Ca(칼슘)이 높게 검출되었다. 이는 태릉이 수백 년 동안 야외에 위치하고 있어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요인 등에 의해 풍화작용을 받아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릉 석조물 중 물리적 풍화등급이 높은 석물은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강화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생물은 석재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건식 및 습식 세정으로 제거해야 한다. 또한 보존처리 이후 생물의 재발생을 지연하기 위해서는 봉분에 흘러내린 토사를 정기적으로 정리해줄 필요가 있고 장기적으로 보존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ereung Royal Tomb from the Joseon Dynasty is the tomb of Empress Munjeong, the second queen of King Jungjong, and it contains various types of stone artifacts. All of these stone artifacts were constructed using coarse- to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The major types of deterioration of the...

주제어

표/그림 (18)

참고문헌 (19)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조선왕릉 종합학술보고서III, pp.446-533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초음파탐사를 이용한 석조문화재 풍화도 비파괴 평가기법, pp.18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비파괴 기술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pp.22-29 

  4. 문화재보존과학센터, 2016,조선왕릉 석조문화재 보존상태 조사보고서II, pp.353-430 

  5. 김명신, 이경재, 김종엽, 허지연, 2015, 조선왕릉 태릉(태릉)의 역사경관림 변화와 관리방안 한국조경학회지43, pp.56-72 

  6. 김지영, 조영훈, 이찬희, 2013, 경복궁 석조조형물의 재질 및 손상특성 분석 보존과학회지 29, pp.407-420 

  7. 박동석, 엄태건, 표기만, 이한영, 최종희, 2008, 태.강릉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 pp.61-69 

  8. 양희제, 김사덕, 이찬희, 최석원, 2004, 익산 미륵사지 석탑의 해체과정과 구성부재의 훼손도 평가 보존과학회지 16, pp.77-88 

  9. 오정현, 김사덕, 이찬희, 이태종, 2016, 구리 현릉 능상석물의 표면 손상특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32, pp.353-364 

  10. 이미혜, 이명성, 전유근, 이태종, 2015, 조선왕릉 태조 건원릉 내 석물의 훼손 특성 분석 문화재 48, pp.62-73 

  11. 이정은, 이찬희, 이명성, 2006, 경주 분황사석탑의 풍화훼손도 평가와 보존과학적 진단 보존과학회지 18, pp.19-32 

  12. 전유근, 이명성, 김유리, 이미혜, 최명주, 최기현, 2015, 석조문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하이퍼스펙트럴 이미지분석의 활용 보존과학회지 31, pp.395-402 

  13. 최종희, 이창환, 황규만, 김규연, 2017, 조선왕릉의 능제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 pp.43-55 

  14.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1,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연구-경북지역 석조문화재 현황 및 보존방안 연구, 문화재청, pp.1-1068 

  15. Brown, E.T.,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ISRM suggested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18, pp.109 

  16. Fookes, P.G., Dearman, W.R., Franklin, J.A., 1971, Some engineering aspects of rock weathering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4, pp.139-185 

  17. Hobbs, P.V., Fletcher, Neville H., 1975, Ice Physics Physics Today 28, pp.71-72 

  18. Iliev, I.G., 1966, An attempt to estimate the degree of weathering of intrusive rocks from their physical-mechanical propertie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Rock Mechanics 1, pp.109-114 

  19. Lee, M.S., Kim, Y., Choie, M.,, Yoo, J.H., Ahn, Y.G., 2020, Material and Deteriora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Inscribed Stones of Naksan Mountain Area of the Hanyangdoseong(Seoul City Wall),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6, pp.60-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