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Model for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Duration of Urban Residential Housing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2 no.4, 2021년, pp.93 - 101  

김준상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김영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소규모 가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규모 가구를 위한 주거공급 정책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정부에서는 소규모 가구를 위한 도시형 생활주택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오고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공동주택, 일반 업무시설과 동일하게 분양 및 임대 사업이므로 발주자는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적정공사기간을 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대규모 건축물의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이 존재하나 도시형 생활주택과 같은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적정 공사기간 산정 모델은 부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획단계에서 발주자가 적정 공사기간을 산정할 수 있는 다중 회귀분석 기반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사기간 산정 모델을 개발 및 검증하는 것이다. 개발된 모델에 입력되는 독립변수연면적, 수도권, 지하층수, 지상층수, 주 건축물 수, 강원권의 총 6개이며, 개발된 모델의 수정된 결정계수(Ra2)는 0.547로 분석되었다. 개발된 모델의 성능은 RMSE의 경우 171.26일, MAPE의 경우 26.53%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발주자에게 신뢰성 있는 공사기간 산정 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small households (1 to 2 persons per household) in Korea gradually increases, so does the importance of housing supply policies for small households. In response to the increase in small households, the government has been continuously supplying urban housing for these households. S...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1)

  1. 김유준(2018), "건설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의 복합건축물 공사기간 예측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3. 박소현(2011),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4. 서해미(2015), "일반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한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의 개략공기 예측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5. 통계청(2018),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대전. 

  6. 신은영 외(2017), 「공공 건설공사 표준 공사기간 산정기준 연구」(2017년도 주요사업 연차보고서(정책지원사업)), 경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Lee, Alan. Ross, Ihaka and Chris, Triggs (2012), "Advanced Statistical Modelling", University of Auckland Paper STATS 330. 

  8. Chan, A. P. C. and D. W. M. Chan (2014), "A Benchmark Model for Construction Duration in Public Housing Develop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truction Management, 3(1): 1-14. 

  9. Durbin, J. (1950), "Testing for Serial Correlation in Least Squares Regreesion: I", Biometrika, 37(3): 409-428. 

  10. Dursun, O. and C. Stoy (2012),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Duration for Building Projects in Germany",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19(4): 444-468. 

  11. Love, P. E. D., R. Y. C. Tse and D. J. Edwards (2005), "Time-Cost Relationships in Australia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1(2): 187-1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