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유역의 연안 해저지하수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 of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6 pt.1, 2021년, pp.1589 - 1597  

김대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  정한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안지역의 해저지하수 유출(SGD)은 하천과 함께 영양염류와 미량금속 등을 해양으로 유입시키는 주요 수송로 역할로써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육상의 연안지역인 낙동강 대권역 유역에 대해 1986년부터 2020년까지 35개년의 월별 SGD를 추정하고 계절적 변화와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SGD 산출지점인 낙동강 연안유역은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여 210개의 유역을 추출하였으며,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가장 높은 해상도의 전지구 모델인 FLDAS(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10 km recharge를 통해 추정한 낙동강 연안유역의 연평균 SGD는 466.7 m2/yr 로 나타났다. 낙동강 연안유역 SGD는 시계열적으로 큰 변동성은 없었으나 여름에 집중되던 SGD유출이 가을철로 주요유출 시기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간적으로는 큰 수계와 인접한 연안지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SGD 유출이 많고 1980년대 이후로 시간적 변화에 따라 다소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낙동강 지역의 강수패턴의 시기가 확대되며, 기저유량이 많은 지역의 집수량이 높은 데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SGD 특성을 탐구하기 위한 모델링 기법을 제시한 선행적 연구이며 우리나라 해저지하수 유출이 해양에 미치는 영향과 연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coastal areas is gaining importance as a major transport route that bring nutrients and trace metals into the ocean.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the seasonal changes and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through the modeling monthly SGD for 35 years fro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육상 연안유역을 대상으로 SGD를 추정하고 시공간적으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대 권역 중 낙동강 유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물수지 접근법을 이용한 모델링을 통해 SGD를 추정하고 계절적 변화 및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urnett, W.C., H. Bokuniewicz, M. Huettel, W.S. Moore, and M. Taniguchi, 2003. Groundwater and pore water inputs to the coastal zone, Biogeochemistry, 66(1/2): 3-33. 

  2. Burnett, W.C., P.K. Aggarwal, A. Aureli, H. Bokuniewicz, J.E. Cable, M.A. Charette, E. Kontar, S. Krupa, K.M. Kulkarni, A. Loveless, W.S. Moore, J.A. Oberdorfer, J. Oliveira, N. Ozyurt, P. Povinec, A.M.G. Privitera, R. Rajar, R.T. Ramessur, J. Scholten, T. Stieglitz, M. Taniguchi, and J.V. Turner, 2006. Quantifying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zone via multiple method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7(2-3): 498-543. 

  3. Cable, J.E., W.C. Burnett, and J.P. Chanton, 1997. Magnitude and variations of groundwater seepage along a Florida marine shoreline, Biogeochemistry, 38: 189-205. 

  4. Church, T.M., 1996. An underground route for the water cycle, Nature, 380(6575): 579-580. 

  5. Corbett, D.R., J.P. Chanton, W.C. Burnett, K. Dillon, C. Rutkowski, and J. Fourqurean, 1999. Patterns of groundwater discharge into Florida Bay, Limnology and Oceanography, 44: 1045-1055. 

  6. Dai, A. and K.E. Trenberth, 2002. Estimates of Freshwater Discharge from Continents: Latitudinal and Seasonal Variat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3(6): 660-687. 

  7. Haitjema, H.M. and S. Mitchell-Bruker, 2005. Are water tables a subdued replica of the topography?, Groundwater, 43(6): 781-786. 

  8. Heo, S.H. and K. Lee, 2005. Lee Feasibility Mapping of Groundwater Yield Characteristics Using Weight of Evidence Technique Based on GIS in the Pocheon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1(6): 493-5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wang D.W, and B.S. Koh, 2012. Temporal Variatio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SGD-driven Nutrient Inputs in the Coastal Ocean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4): 252-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wang, D.W., G. Kim, W.C. Lee and H.T. Oh, 2010. The role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nutrient budgets of Gamak Bay, a shellfish farming bay, in Korea, Journal of Sea Research, 64: 224-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elly, R.P. and S.B. Moran, 2002. Seasonal changes in groundwater input to a well-mixed estuary estimated using radium isotopes and implications for coastal nutrient budget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7: 1796-1807. 

  12. Kim G., J.W. Ryu, H.S. Yang, and S.T. Yun, 2005.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to the Yellow Sea revealed by 228Ra and 226Ra isotopes: Implications for global silicate fluxes,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37: 156-166. 

  13. Kwon, E.Y., G. Kim, F. Primeau, W.S. Moore, H.M. Cho, T. DeVries, J.L. Sarmiento, M.A. Charette, and Y.K. Cho, 2014. Global estimate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based on an observationally constrained radium isotope model,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1: 8438-8444. 

  14. Lee, J., 2017. Review of Remote Sensing Studies on Groundwater Resourc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3): 855-8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cNally, A., K. Arsenault, S. Kumar, S. Shukla, P. Peterson, S. Wang, C. Funk, C.D. Peters-Lidard, and J.P. Verdin, 2017. 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for sub-Saharan Africa food and water security applications, Scientific data, 4(1): 1-19. 

  16. Oberdorfer, J.A., M.A. Valentino, and S.V. Smith, 1990. Groundwater contribution to the nutrient budget of Tomales Bay, California, Biogeochemistry, 10(3): 199-216. 

  17. Sawyer, A.H., C.H. David, and J.S. Famiglietti, 2016. Continental patter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reveal coastal vulnerabilities, Science, 353(6300): 705-707. 

  18. Song, J.W., J. Kim, and T.H. Kim, 2018. Distribution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in Jeju Island, Ocean and Polar Research, 40(2): 77-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Taniguchi, M., W.C. Burnett, J.E. Cable, and J.V. Turner, 2002. Investig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Hydrological Processes, 16(11): 2115-2129. 

  20. Zektzer, I.S., V.A. Ivanov, and A.V. Meskheteli, 1973. The problem of direct groundwater discharge to the seas, Journal of Hydrology, 20(1): 1-36. 

  21. Zhou, Y., A.H. Sawyer, C.H. David, and J.S. Famiglietti, 2019. Fres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to the Near-Global Coas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46(11): 5855-5863. 

  22. Zhou, Y.Q., K.M. Befus, A.H. Sawyer, and C.H. David, 2018.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computing fresh groundwater discharge to continental coastlines: A multimodel comparison for the United States Gulf and Atlantic Coasts, Water Resources Research, 54: 8363-838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