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화학 물질의 안자극 시험용 세포 기반 미세유체 칩의 제작 및 응용
Fabrication and application of cell-based microfluidic chip for eye-irritation test of chemical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34 no.6, 2021년, pp.275 - 283  

조수진 (공주대학교 화학과) ,  이석우 (공주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화학 물질의 급성 안자극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세포 기반 미세유체 칩의 개발과 응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포토리소그래피와 소프트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미세유체 칩을 제작하였으며, 칩은 배양 면적이 다른 3개의 세포 배양 구획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 기반 안자극 시험은 토끼 각막 상피 세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미세유체 칩에 배양된 세포에 화학 물질 수용액을 처리한 후 일정한 간격으로 세포를 관찰하고, 생존율 곡선을 기반으로 세포 사멸에 대한 속도 상수를 계산하였다. 세포-세포 사이의 연접, 세포-기판 사이의 부착, 초기 세포 수 변화가 세포 사멸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미세유체 칩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안자극 시험의 표준물질인 sodium dodecylsulfate (SDS) 수용액의 다양한 농도 조건에서 안자극 시험을 수행하였다. 화학 물질의 수용액에 300초 동안 노출시킨 세포의 생존율을 이용하여 안자극을 시험하였다. 최종적으로 미세유체 칩의 각 구획에 대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독성 점수(toxicity score, TS) 산출식을 얻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세포 기반 미세유체 칩은 화장품과 제약에 사용되는 화학 물질의 안자극 시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cell-based microfluidic chips for the performance of acute eye irritation tests due to chemicals and examined some of their applications. Microfluidic chips were fabricated by photolithography and soft lithography, and they had three compartments with different...

Keyword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포토리소그래피와 소프트리소그래피공정을 이용하여 미세유체 칩을 개발하고, 미세 유체 칩에 배양된 세포에 화학 물질의 수용액을 노출시킨후 세포의 거동을 분석하여 화학 물질에 대한 급성 안 자극을 평가할 수 있는 시험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세포로는 공인 시험법인 STE test에 사용하는 토끼 각막 상피 세포 SIRC (Statens Seruminstitut Rabbit Cornea) 세포를 사용하였고, 대상 화학 물질로는 안 자극 시험의 표준물질인 sodium dodecylsulfate (SDS) 를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안자극 평가를 위한 세포 기반 미세 유체 칩을 개발하고 칩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미세 유체 칩은 세포 배양 면적이 다른 3개의 세포 배양 구획과 세포 주입구/배출구, 약물 주입구/배출구로 구성되어 있어 배양되는 세포 개수의 상댓값이 서로 다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 R. Ferdowsian and N. Beck, PLoS ONE, 6(9), e24059 (2011). 

  2.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정책과, 화장품법 (법률 제14264호, 2016. 5. 29. 시행), 2016. 

  3. M. P. Vinardell and M. Mitjans, J. Pharm. Sci., 97(1), 46-59 (2008). 

  4. M. Lee, J.-H. Hwang and K.-M. Lim, Toxicol. Res., 33(3), 191-203 (2017). 

  5. K. R. Wilhelmus, Surv. Ophthalmol., 45(6), 493-515 (2001). 

  6. M. K. Prinsen, C. F. M. Hendriksen, C. A. M. Krul and R. A. Woutersen, Regul. Toxicol. Pharmacol., 85, 132-149 (2017). 

  7. A. Schrage, S. N. Kolle, M. C. R. Moreno, K. Norman, H. Raabe, R. Curren, B. van Ravenzwaay and R. Landsiedel, Altern. Lab. Anim., 39(1), 37-53 (2011). 

  8. J. Scheel, M. Kleber, J. Kreutz, E. Lehringer, A. Mehling, K. Reisinger and W. Steiling, Regul. Toxicol. Pharmacol., 59, 471-492 (2011). 

  9. Y. Takahashi, M. Koike, H. Honda, Y. Ito, H. Sakaguchi, H. Suzuki and N. Nishiyama, Toxicol. In Vitro, 22(3), 760-770 (2008). 

  10. K.-M. Jung, S.-H. Lee, Y.-H. Ryu, W.-H. Jang, H.-S. Jung, J.-H. Han, S.-H. Seok, J.-H. Park, Y. Son, Y.-H. Park and K.-M. Lim, Toxicol. In Vitro, 25(1), 403-410 (2011). 

  11. S. J. Shukla, R. Huang, C. P. Austin and M. Xia, Drug Discov. Today, 15(23-24), 997-1007 (2010). 

  12. R. Parboosing, G. Mzobe, L. Chonco and I. Moodley, Med. Chem., 13(1), 13-21 (2016). 

  13. S. C. McCormick, F. H. Kriel, A. Ivask, Z. Tong, E. Lombi, N. H. Voelcker and C. Priest, Micromachines, 8(4), 124 (2017). 

  14. Q. Wu, J. Liu, X. Wang, L. Feng, J. Wu, X. Zhu, W. Wen and X. Gong, BioMed. Eng. OnLine, 19(1), 9 (2020). 

  15. Y. Cong, X. Han, Y. Wang, Z. Chen, Y. Lu, T. Liu, Z. Wu, Y. Jin, Y. Luo and X. Zhang, Micromachines, 11(4), 381 (2020). 

  16. P. Cui and S. Wang, J. Pharm. Anal., 9(4), 238-247 (2019). 

  17. S. Syama and P. V. Mohanan, Trends Food Sci. Technol., 110, 711-728 (2021). 

  18. M. A. Garcia, W. J. Nelson and N. Chavez,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10(4), a029181 (2018). 

  19. Y. Shi, R. Li, J. Yang and X. Li, Int. J. Physiol. Pathophysiol. Pharmacol., 12(2), 70-78 (2020). 

  20. S. Reichl, J. Pharm. Pharmacol., 60(3), 299-307 (2008). 

  21. S. Orrenius, P. Nicotera and B. Zhivotovsky, Toxicol. Sci., 119(1), 3-19 (2011). 

  22. D. V. Krysko, T. V. Berghe, E. Parthoens, K. D'Herde and P. Vandenabeele, Methods Enzymol., 442, 307-341 (2008). 

  23. G. C. Forcina, M. Conlon, A. Wells, J. Yinuo Cao and S. J. Dixon, Cell Syst., 4(6), 600-610 (2017). 

  24. T. Tian, S. Cho and S. W. Rhee, BioChip J., 13(2), 142-150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