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상풍력터빈 확대기초의 재사용을 위한 보강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for Reuse of Onshore Wind Turbine Spread Footing Foundations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1 no.1, 2021년, pp.1 - 11  

송성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  정연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  박민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프라안전연구본부) ,  김정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건설혁신본부 국가BIM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육상풍력터빈의 리파워링 시 기존 기초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타워 직경 및 터빈 하중에 맞게 기존 기초를 재설계 및 보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터빈의 기초형식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확대기초의 재사용을 위해 기존 확대기초 위에 새로운 콘크리트 기초부를 증설하는 슬래브 확장 보강방법 및 앵커부 구조디테일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앵커부 구조디테일에 따른 보강된 확대기초의 하중저항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 앵커부 철근 유무에 따라 내력이 30 % 이상 증가하였다. (2) 앵커링에 부착된 Pile-sleeve는 앵커링과 콘크리트 사이의 전단슬립거동을 방지하여 회전강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3) Slab connector는 신?구 콘크리트 분리 방지 및 일체화 거동을 향상시켜 내력 및 변형능력 증가에 기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use existing onshore turbine foundations, it is important to redesign and reinforce the existing foundations according to the upgraded tower diameter and turbine load. In the present study, a slab extension reinforcement method and structure details of an anchorage part were examined i...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육상풍력발전 도입 초창기부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확대기초(spread footing)의 재사용을 위해 기존 확대기초 위에 새로운 콘크리트 기초부를 증설하는 보강 방법 및 앵커부 구조디테일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리고 신․구 콘크리트의 일체화 거동을 유도하기 위해 고안된 앵커부의 구조디테일 및 연결 재(connectors)를 실험변수로 정적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여 보강된 확대기초의 하중저항성능 및 거동을 평가하였다.
  • 경우 신․구 기초부의 일체화 거동이 중요하다. 연구에서는 신․구 기초부의 일체화 거동을 위해 고안한 앵커부의 구조디테일 및 연결재에 따른 하중성능저항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 대상 터빈은 2002년부터 가동하여 17년 정도 운영된 노후 터빈으로 현재 기존 터빈을 2 MW 이상의 신규 터빈으로 교체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앵커링 방식의 기존 확대기초를 보강하여 신규 터빈의 기초부로 재사용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기존 확대기초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증가된 신규 터빈용량에 맞춰 확대기초의 매스(mass)를 늘리거나 하중분담을 위한 별도의 보강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정적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전 실험체 모두 앵커부의 콘크리트 콘 파괴를 가정하여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CI 318-02 (2008).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CI 318-02) and commentary (ACI 318R-02). 

  2. Chen, J., Xu, Y. and Li, J. (2020).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strengthening method by circumferential prestressing to improve the fatigue life of embedded-ring concrete foundation for onshore wind turbine tower." Energies, Vol. 13, No. 3, pp. 1-17. 

  3. Connaghan, B., DeCristofaro, E., Soderlund, E., Thibodeau, M. and Wang, X. (2017). White paper: Wind project repowering, Sargent & Lundy, Chicago, USA. 

  4. DNV·GL (2016a). White paper on technical and contractual considerations in partial repowering of wind turbines, EAA-WP-07, Oslo, Norway. 

  5. DNV·GL (2016b). Lifetime extension of wind turbines, DNVGLST-0262, Oslo, Norway. 

  6. EN 1992-1-1 (2004). Eurocode 2: Design of concrete structures - part1-1: General rules and rules for buildings. 

  7. European Wind Energy Association (EWEA) (2016). Wind in power-2015 European statistics, Brussels, Belgium. 

  8. He, M., Bai, X., Ma, R., Huang, D. and Liu, H. (2018). "Field experimental study on the retrofit of cracked onshore wind turbine foundations using externally prestressed anchor bolts." Structural Concrete, Vol. 19, No. 3, pp. 864-875. 

  9. Jang, Y. I., Park, K. U. and Lim, H. J. (2019). "Study on the onshore wind power foundation design considering fatigue load." Yooshin Technical Bulletin, Vol. 23, pp. 57-65. 

  10.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SCE) (2010). Guidelines for structural design of supports for wind power facilities, Japan (in Japanese). 

  11. Jeong, Y. J., Song, S. H., Park, M. S. and Kim, J. S. (2019). "A study on structural retrofit methods of onshore wind structures for reuse during in-service or partial-repowering."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9 Convention, KSCE, pp. 622-623 (in Korean). 

  12. KDS 14 20 54 (2016). Anchoring to concrete (in Korean). 

  13. Kim, H. G., Kang, Y. H. and Kim, C. K. (2017). "Analysis of wind energy status and capacity factor of South Korea by EPSIS wind power generation data." Journal of Wind Energy, KWEA, Vol. 8, No. 2, pp. 21-27 (in Korean). 

  14. Stavridou, N., Efthymiou, E. and Baniotopoulos, C. (2015). "Verification of anchoring in foundations of wind turbine towers." American Journal of Engineering and Applied Sciences, Vol. 8, No. 4, pp. 717-729. 

  15. Svensson, H. (2012). Design of foundation for wind turbines, Master's Dissertation, Lund University, Lund, Sweden. 

  16.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EIA) (2016). Annual electric generator report, Washington, D.C., USA. 

  17. UL-4143 (2016). Outline of investigation for wind turbine generator life time extension (LTE). 

  18. Waldron, S., Smith, J., Taylor, K., McGinnes, C., Roberts, N. and McCallum, D. (2018). Repowering onshore wind farms: A technical and environmental exploration of foundation reuse, Carbon Landscape and Drainage Knowledge Exchange Network-led report, Construction Scotland Innovation Centre, Glasgow, Scotland. 

  19. Ziegler, L., Gonzalez, E., Rubert, T., Smolka, U. and Melero, J. (2018). "Lifetime extension of onshore wind turbines: A review covering Germany, Spain, Denmark, and the UK."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82, No. 1, pp. 1261-12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