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샌드댐 설치에 따른 물공급 개선 효과 예비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n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of Sand Dam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1 no.1, 2021년, pp.29 - 37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이정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물공급 소외지역인 산간 최상류 지역을 위한 현지 적응형 물공급 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수원의 확보와 최적이용 방안 및 연계 가능한 수원과의 결합이 관건이다. 특히 유역 최상류에 위치한 산간지역에는 계곡수와 복류수를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 유출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의 가뭄발생지역을 대상으로 샌드댐을 활용한 물공급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방법은 기존 수원 하부에 모래저류조를 가상으로 설치하여 현재 취수량을 고려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추가로 샌드댐에서 취수가능한 양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샌드댐을 기존 수원의 4배 크기로 적용한 경우 수면경사와 수리전도도의 변화에 따라 배수량이 크게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a local adaptive water supply system for upper mountainous regions, which provide a margin of water supply. This can be done through the process of securing a water source, planning for optimal use, and combining it with a water source that can be linked. In particular,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9). 연구에서는 강원도 춘천의 상습가뭄지역을 선정하고 이 지역에 샌드댐을 활용한 물공급 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방법은 기존 수원 하부에 모래저류조를 가상으로 설치하여 현재 취수량을 고려한 모델링을 수행하고 추가로 샌드댐에서 취수가능한 양을산정 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 특히 유역 최상류에 위치한 산간지역에는 계곡수와 복류수를 통해 공급되는 지하수 유출량을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은 계곡수와 복류수 인공함양 기술인 샌드댐(Sand storage dam)을 이용하여 물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샌드댐이란 계곡이나 하천의 불투수성 기반암 위에 댐이나 보 등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와 같은 투수성 재료를 채운 후, 그 공극에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로 제체가 부분적으로 지상에 노출된 지하댐의 한 종류이다(Aerts et al.

가설 설정

  • 모래저류조내 채움재의 투수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차수벽으로 둘러쌓인 영역의 수평 수리전도도는 주변 수리전도도의 1, 2, 5, 10배 값을 부여하였다. 수평방향으로 수리전도도는 등방성인 것으로 가정하였고, 연직 방향 수리전도도는 수평수리전도도의 1/10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erts, J., Lasage, R., Beets, W., de Moel, H., Mutiso, G., Mutiso, S. and de Vries, A. (2007). "Robustness of sand storage dams under climate change." Vadose Zone Journal, Vol. 6, No. 3, pp. 572-580. 

  2. Baurne, G. (1984). "Trap-dams: Artificial subsurface storage of water." Water International, Vol. 9, No. 1, pp. 2-9. 

  3. Chung, I. M. (2020). Sand dam technology for water supply marginalized area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Zine, Vol. 2020, No. 8 (in Korean). 

  4. De Trincheria, J., Wibbing, J., Leal Filho, W. and Otterpohl, R. (2016).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prevent, restore and rehabilitate silted-up sand storage dams in arid and semi-arid areas." Proceedings of the 7th Rural Water Supply Network Forum 'Water for Everyone', Abidjan, pp. 1-14. 

  5. Ertsen, M. and Hut, R. (2009). "Two waterfalls do not hear each other. Sand-storage dams." sc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Keny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Vol. 34, No. 1-2, pp. 14-22. 

  6. Hatem, A. (2016). "Experimental investigation about the effect of sand storage dams on water qu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Sciences and Technology, Vol. 28, No. 2, pp. 485-491. 

  7. Hoogmoed, M. (2007). Analyses of impacts of a sand storage dam on groundwater flow and storage: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Kitui district, Kenya, Master Thesis, VU University Amsterdam, Netherlands, pp. 20-28. 

  8. Hut, R., Ertsen, M., Joeman, N., Vergeer, N., Winsemius, H. and van de Giesen, N. (2008). "Effects of sand storage dams on groundwater levels with examples from Keny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Vol. 33, No. 1-2, pp. 56-66. 

  9. Jadhav, M. V., Shaikh, A. P., Gite, B. E. and Yadav, A. P. (2012). "Sand dam reservoir -Need of semi arid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Vol. 2, No. 6, pp. 1690-1694. 

  10. Kim, G. B., Chung, I. M. and Ha, G. C. (2020). "GW-SMART research project." Water Journal, July, 2020, pp. 32-39 (in Korean). 

  11. Lasage, R., Aerts, J. C. J. H., Verburg, P. H. and Sileshi, A. S. (2015). "The role of small scale sand dams in securing water supply under climate change in Ethiopia."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for Global Change, Vol. 20, No. 2, pp. 317-339. 

  12. Lasage, R., Aerts, J., Mutiso, G. C. M. and de Vries, A. (2008). "Potential for community based adaptation to droughts: Sand dams in Kitui, Keny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33, pp. 67-73. 

  13. McDonald, M. G. and Harbaugh, A. 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USGS Water 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Chap. A1, Book 6, pp. 528. 

  14. Quilis, R. O., Hoogmoed, M., Ertsen, M., Foppen, J. W., Hut, R. and de Vries, A. (2009). "Measuring and modeling hydrological processes of sand-storage dams on different spatial scale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Vol. 34, No. 4-5, pp. 289-298. 

  15. Quinn, R., Rushton, K. and Parker, A. (2019). "An examination of the hydrological system of a sand dam during the dry season leading to water balances." Journal of Hydrology X, Vol. 4, 100035. 

  16. Ryan, C. and Elsner, P. (2016). "The potential for sand dams to increase the adaptive capacity of East African drylands to climate change." Regional Environmental Change, Vol. 16, pp. 2087-2096. 

  17. Stern, J. H. and Stern, A. (2011). Water harvesting through sand dams, ECHO Technical Note No. 70, Available at: http://edn.link/q9xrkd (Accessed: July 29, 2020). 

  18. The Water Project (2020). Vinya wa Mwau Sand Dam Project, Available at: https://thewaterproject.org/community/projects/kenya/new-sanddam-in-kenya-4390 (Accessed: July 30, 2020). 

  19. Villani, L., Castelli, G., Hagos, E. Y. and Bresci, E. (2018). "Water productivity analysis of sand dams irrigation farming in northern Ethiopia." Journal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Vol. 112, No. 1, pp. 139-160. 

  20. Yifru, B., Kim, M. G., Chang, S. W., Lee, J. W. and Chung, I. M. (2018). "Numerical modeling of the effect of sand dam on groundwater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8, No. 4, pp. 529-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