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배양으로 Kalanchoe pinnata의 직접기관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호르몬 연구
Hormonal Study to Induce Direct Organ Differentiation of Kalanchoe pinnata by Tissue Cult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4, 2021년, pp.721 - 726  

김동균 (신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 세포는 각 세포가 발생을 통해 새로운 완전한 개체를 생산하는 전형성능이 있다. 이것을 응용하여 식물의 증식 방법으로 기내에서 호르몬을 처리하여 체세포 배 발생의 광범위한 적용으로 여러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 보다 규칙적인 세포 분열을 하는 무성생식이 가능한 식물인 Kalanchoe pinnata 에 cytokinin에 속하는 kinetin과 auxin에 속하는 호르몬들 중 picloram을 서로 조합하여 첨가한 뒤 8주 동안 처리한 후 전형성능을 실험하였다. 우리의 실험 결과로 잎 절편에서 발근 효과로는 picloram 농도가 0.1 mg/L에서 70%의 발생율을 보였다. kinetin과 picloram의 비율이 1:5-1:10의 농도차이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 되었다. auxin의 효과가 Kalanchoe 뿌리 발생에 필수적이라는 실험 결과이다. 경엽부 발생 효과로는 picloram 농도가 0.5 mg/L에서 60%의 발생율을 보였다. kinetin 농도는 0.5 - 1.0 mg/L이며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kinetin과 picloram의 비율이 1:1-1:2의 농도 차이가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 되었다. cytokinin과 auxin의 조합이 결정적으로 경엽부 발생에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결과이다. 호르몬의 조합으로 직접기관형성을 유도하여 기내에서 대량 증식을 유도하는 기술의 기초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nt cells have a totipotencial capacity, the ability of each cell to produce a new complete individual through development. By applying this, several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widespread applica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by processing hormones in vitro as a method of propagation of p...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15)

  1. Ikeuchi, M., Ogawa, Y., and Iwase, A., Sugimoto, K., Plant regeneration: cellular origins and molecular mechanisms. Development, 143, 1442-1451, 2016. 

  2. Horstman A, Bemer M., and Boutilier K., A transcriptional view on somatic embryogenesis. Regeneration,4:201-216, 2017. 

  3. Krikorian, A. D., and Simola, L. K., Totipot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Harry Waris. Physiologia Plantarum,105, 348-355, 1999. 

  4. Guha, S., and Maheshwari, S. C., Development of embryoids from pollen grains of Datura in vitro. Phytomorphology, 17,454-461,1967. 

  5. Arnold S., Sabala I., Bozhkov P., Dyachok J., and Filonova L., Developmental pathways of somatic embryogenesis.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69: 233-249, 2002. 

  6. Feher, A., Somatic embryogenesis-stress induced remodeling of plant cell fate. BBA Gene Regulation Mechanisms, 1849, 385-402, 2015. 

  7. Jung Y, Chung Y, and Kim D,, Screening of Genes Which are able to Affect Kalanchoe Vegetative Reproduction. Journal of Life Science 21(6) 865~874, 2011. 

  8. Miguel, C." and Marum, L., An epigenetic view of plant cells cultured in vitro: somaclonal variation and beyond.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62, 3713-3725, 2011. 

  9. Williams, E. G. and Maheswaran, G., Somatic embryogenesis - factors influencing coordinated behavior of cells as an embryogenic group. Annals of Botany, 57, 443-462,1986. 

  10. Buchheim J.A., Colnurn S.M., and Ranch J.P., Maturation of soybean somatic embryos and the transition to plant growth. Plant Physiology. 89:768-775, 1989. 

  11. Garces HMP, Connie EM, Champagne B, Townsley T, Park S, Malho R, Pedroso MC, Harada JJ,and Sinha, NR., Evolution of asexual reproduction in leaves of the genus Kalanchoe. PNAS. 104: 15578-15583, 2007. 

  12. Baldwin, J..T Jr Kalanchoe: The Genus and its Chromosom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25: 572-579, 1938. 

  13. Park,J., Kim,J.S. and Kim,D., The change of somatic cell embryogenesis in Kalanchoe pinnata because of agar concentration in stimulating root stress. J Plant Biotechnol 44:320-324, 2017. 

  14. Kim, D., Overexpression of the Metal Transport Protein1 gene (MTP1) in Arabidopsis Increased tolerance by expression sit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5(3), pp.327-332, 2019 

  15. Koltunow A.M. and Grossniklaus U., A Developmental Perspective. Annu. Rev. Plant Biol, 54, 547-57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