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 전처리 기법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의 이상탐지 정확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Anomaly Detection Accuracy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s Based on Various Data Preprocessing Techniques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10 no.11, 2021년, pp.449 - 456  

박경선 (아주대학교 지식정보공학과) ,  김강석 (아주대학교 사이버보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침입 탐지 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은 보안을 침해하는 이상 행위를 탐지하는 기술로서 비정상적인 조작을 탐지하고 시스템 공격을 방지한다. 기존의 침입탐지 시스템은 트래픽 패턴을 통계 기반으로 분석하여 설계하였다. 그러나 급속도로 성장하는 기술에 의해 현대의 시스템은 다양한 트래픽을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은 한계점이 명확해졌다. 이런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을 적용한 침입탐지 방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의 트래픽을 시뮬레이션 장비에서 생성한 NGIDS-DS(Next Generation IDS Dataset)를 이용하여 이상(Anomaly) 탐지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전처리 기법에 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전처리패딩(Padding)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를 사용하였고, 정상 데이터 비율과 이상 데이터 비율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AE(Adversarial Auto-Encoder)를 적용한 오버샘플링 기법 등을 적용하였다. 또한, 전처리된 시퀀스 데이터의 특징벡터를 추출할 수 있는 Word2Vec 기법 중 Skip-gram을 이용하여 탐지 정확도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비교실험을 위한 모델로는 PCA-SVM과 GRU를 사용하였고, 실험 결과는 슬라이딩 윈도우, Skip-gram, AAE, GRU를 적용하였을 때,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a technology that detects abnormal behaviors that violate security, and detects abnormal operations and prevents system attacks. Exist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s have been design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or anomaly detection techniques for traffic patterns, b...

주제어

표/그림 (19)

참고문헌 (19)

  1. Y. Lee, "Design and analysis of multiple intrusion detec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11, No.6, pp.619-626, 2016. 

  2. W. Haider, J. Hua, J. Slaya, B. P. Turnbull, and Y. Xieb, "Generating realistic intrusion detection system dataset based on fuzzy qualitative modeling," Journal of Network and Computer Applications, Vol.87, No.1, pp.185-192, 2017. https://doi.org/10.1016/j.jnca.2017.03.018 

  3. N. V. Chawla, K. W. Bowyer, L. O. Hall, and W. P. Kegelmeyer, "SMOTE: synthetic minority over-sampling technique," Journal of Artificial Inteligence Research(JAIR), Vol.16, No.1, pp.321-357, 2002. 

  4. A. Makhzani, J. Shlens, N. Jaitly, L. Goodfellow, and B. Frey, "Adversarial autoencode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San Juan, Puerto Rico, 2016, http://arxiv.org/abs/1511.05644 

  5. S. Kim and S. Park, "Multi-class classification of database workloads using PCA-SVM classifier," Journal of KIISE: Database, Vol.38, No.1, pp.1-8, 2011. 

  6. K. Cho, B. van Merrienboer, C. Gulcehre, D. Bahdabau, F. Bougares, H. Schwenk, and Y. Bengio, "Learning phrase representations using RNN encoder-decoder for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MNLP, Doha, Qatar, pp.1724-1734, 2014. 

  7. Y. Cheong, K. Park, H. Kim, J. Kim, and S. Hyun, "Machine learning 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s for class imbalanced datase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ol.27, No.6, pp.1385-1395, 2017. https://doi.org/10.13089/JKIISC.2017.27.6.1385 

  8. M. Lee, "LSTM model based on session management for network intrusion detec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20, No.3, pp.1-7, 2020. https://doi.org/10.7236/JIIBC.2020.20.3.1 

  9. M. Shahriar and N. Haque, "G-ID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ssist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IEEE 44th Annual Computers, Software, and Applications Conference (COMPSAC), pp.376-385, 2020. https://doi.org/10.1109/COMPSAC48688.2020.0-218 

  10. R. Corizzo, E. Zdravevski, M. Russell, A. Vagliano, and N. Japkowicz, "Feature extraction based on word embedding models for intrusion detection in network traffic," Journal of Surveillance, Security and Safety, Vol.1, pp.140-150, 2020. https://doi.org/10.20517/jsss.2020.15 

  11. B. Min, J. Ryu, D. Shin, and D. Shin, "Improved network intrusion detection model through hybrid feature selection and data balancing,"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Vol.10, No.2, pp.65-72, 2021. https://doi.org/10.3745/KTSDE.2021.10.2.65 

  12. J. Lee and K. Park, "GAN-based imbalanced data intrusion detection system," Personal and Ubiquitous Computing, Vol. 25, pp.121-128, 2021. https://doi.org/10.1007/s00779-019-01332-y 

  13. D. M. Reddy and N. V. S. Reddy, "Effects of padding on LSTMs and CNNs," arXiv:1903.07288v1, 2019. https://arxiv.org/pdf/1903.07288.pdf 

  14. D. Senthil and G. Suseendran, "Efficient time series data classification using sliding window technique based improved association rule mining with enhanced support vector machine,"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UAE), Vol.7, No.2, 2018. https://doi.org/10.14419/ijet.v7i2.33.13890 

  15. T. Mikolov, G. Corrado, K. Chen, and J. Dean,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Representations, AZ, USA, pp.1-12, 2013. http://arxiv.org/abs/1301.3781 

  16. M. A. Turk and A. P. Pentland, "Face recognition using eigenfaces," Proceedings of IEEE Computer Society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Maui, HI, USA, pp.586-591, 1991. https://doi.org/10.1109/CVPR.1991.139758 

  17. C. Cortes and V. Vapnik, "Support-vector networks," Machine Learning, Vol.20, No.3, pp.273-297, 1995. https://dx.doi.org/10.1007%2FBF00994018 

  18. S. Jo, H. Sung, and B. Ahn,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VM and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intrusion detection,"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7, No.2, pp.703-711,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703 

  19. G. Nicole and J. Alfred, "Are GRU cells more specific and LSTM cells more sensitive in motive classification of text?," Frontiers in Artificial Intelligence, Vol.3, 2020. https://doi.org/10.3389/frai.2020.000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