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확률적 reduced K-means 군집분석
Probabilistic reduced K-means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4 no.6, 2021년, pp.905 - 922  

이승훈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  송주원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라벨 없이 진행되는 비지도 학습 중 하나인 군집분석은 자료에 어떤 그룹이 내포되어 있는지 사전 지식이 없을 경우에 군집을 발굴하고, 군집 간의 특성 차이와 군집 안에서의 유사성을 분석하고자 할 때 유용한 방법이다. 기본적인 군집분석 중 하나인 K-means 방법은 변수의 개수가 많아질 때 잘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군집에 대한 해석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고차원 자료의 경우 주성분 분석과 같은 차원 축소 방법을 사용하여 변수의 개수를 줄인 후에 K-means 군집분석을 행하는 Tandem 군집분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차원 축소 방법을 이용해서 찾아낸 축소 차원이 반드시 군집에 대한 구조를 잘 반영할 것이라는 보장은 없다. 특히 군집의 구조와는 상관없는 변수들의 분산 또는 공분산이 클 때, 주성분 분석을 통한 차원 축소는 오히려 군집의 구조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군집분석과 차원 축소를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De Soete와 Carroll (1994)이 제안한 방법론을 확률적인 모형으로 바꿔 군집분석을 진행하는 확률적 reduced K-means를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 차원 축소를 배제한 군집분석과 Tandem 군집분석보다 더 좋은 군집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고 군집 당 표본 크기에 비해 변수의 개수가 많은 자료에서 기존의 비 확률적 reduced K-means 군집분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확인했다. 보스턴 자료에서는 다른 군집분석 방법론보다 명확한 군집이 형성됨을 확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uster analysis is one of un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used for discovering clusters when there is no prior knowledge of group membership. K-means, one of the commonly used cluster analysis techniques, may fail when the number of variables becomes large. In such high-dimensional cases, it is co...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7)

  1. Arabie P and Hubert L (1994). Cluster analysis in marketing research, Advanced Methods in Marketing Research, 160-189, Oxford: Blackwell. 

  2. Choi Y and Baek I (2017). Implication and lesson for city reconstruction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Monthly Housing Finance Report(in korean version), 157, 22-35. 

  3. Dempster A, Laird N, and Rubin D (1977). Maximum likelihood from incomplete data via the EM algorithm,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39, 1-38. 

  4. De Soete G and Carroll JD (1994). K-means clustering in a low-dimensional euclidean space, New Approaches in Classification and Data Analysis, 212-219, Heidelberg: Springer. 

  5. Ding C, He X, Zha H, and Simon HD (2002). Adaptive dimension reduction for Clustering High Dimensional Data, Proc 2nd IEEE Intl Conf Data Mining, 147-154. 

  6. Ghahramani Z and Hinton GE (1996). The EM algorithm for mixtures of factor analyzers, Technical Report CRG-TR-96-1, University of Toronto, Canada. 

  7. Gilley OW and Pace RK (1996). On the Harrison and Rubinfeld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31, 403-405. 

  8. Harrison D and Rubinfeld DL (1978). Hedonic prices and the demand for clean air,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5, 81-102. 

  9. Milligan GW and Cooper MC (1985). An examination of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lusters in a data set, Psychometrika, 50, 159-179. 

  10. Rocci R, Gattone SA, and Vichi M (2011). A new dimension reduction method: factor discriminant K-means, Journal of Classification, 28, 210-226. 

  11. Roweis S (1998). EM algorithms for PCA and SPCA.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10 - Proceedings of the 1997 Conference, 626-632, Elsevier. 

  12. Lee S (2021). Probabilistic reduced K-means cluster analysi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Statistics, Korea University, Korea(in korean version). 

  13. Timmerman ME, Ceulemans E, De Roover K, and Van Leeuwen K (2013). Subspace K-means clustering, Behavior Research Methods, 45, 1011-1023. 

  14. Timmerman ME, Ceulemans E, Kiers HAL, and Vichi M (2010). Factorial and reduced K-means reconsidered,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54, 1858-1871. 

  15. Tipping ME and Bishop CM (1999a). Mixtures of probabilistic principal component analyzers, Neural Computation, 11, 443-482. 

  16. Tipping ME and Bishop CM (1999b). Probabilistic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61, 611-622. 

  17. Vichi M and Kiers HAL (2001). Factorial K-means analysis for two-way data, Computation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37, 49-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