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수종 및 임상별 현실림의 재적생장량 곡선 추정
Growth Curve Estimation of Stand Volume by Major Species and Forest Type on Actual Forest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0 no.4, 2021년, pp.648 - 657  

윤준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배은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활용하여 임상별 및 주요 수종별 재적생장량을 추정하고, 연평균생장량(MAI)과 연년생장량(CAI) 등을 도출하여 벌기령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적생장 추정을 위하여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였다. 도출된 임상별 재적추정식에서는 침엽수림이 가장 높은 생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종별 추정식은 침엽수종(3종) 중에서는 일본잎갈나무가, 그리고 활엽수종(3종)에서는 굴참나무가 가장 높은 생장이 예측되었다. 그리고 이들 추정식은 적합도지수가 일본잎갈나무 0.32, 굴참나무가 0.21 등으로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재적 추정식의 적용 가능성을 알 수 있는 잔차도 분석에 있어서는, 일부 30년 이상의 임령에서 추정식의 추정치가 과소 추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부분 0을 중심으로 잔차가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식이 우리나라 현실림의 수종들에 대한 재적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정된 재적을 이용하여 연평균생장량을 계산한 결과, 침엽수림 중 중부지방 소나무 34년, 일본잎갈나무 35년, 리기다소나무 31년일 때 MAI가 최대시기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활엽수림에 있어서는 굴참나무 32년, 상수리나무 30년, 신갈나무 29년일 때가 최대시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MAI와 CAI를 계산하여, 이들이 만나는 지점을 재적수확 최대 벌기령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산림청이 제시한 기준 벌기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정책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volume growth by forest type and major species using the national forest resource inventory and to predict the final age of maturity by deriving the mean annual increment (MAI) and the current annual increment (CAI). We estimated the volume growth using the C...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조사되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결과를 이용하여 임상별, 주요 수종별 생장곡선의 변화 패턴을 생장모델을 이용하여 제시하고, 연년생장량의 변화 등을 구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요 수종별 재적수확 최대 벌기령을 추정함으로서 산주의 산림경영상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근간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 중 중부지방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리기다소나무, 그리고 활엽수는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을 대상으로 국가산림자원조사를 활용하여 재적생장 패턴을 알아보고, 또한 이를 이용하여 연편균 생장량 및 벌기령까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재적생장을 표현할 수 있는 현재의 몇 가지 수학식을 적용한 결과, 이 식이 재적생장 패턴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 적합도지수 값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very, T.E. 1967. Forest measurement. McGraw Hill Co. New York. pp. 290. 

  2. Bertalanffy, L.V. 1951. An outline of general system theory. British Journal for the Philosophy of Science 1(2): 134-165. 

  3. Byun, W.H., Lee, W.K. and Bae, S.W. 1996. Forest growth. Yuchenco. pp. 399. 

  4. Chapman, D.G. 1961. Statistical problems in population dynamics. In Proc. Fourth Berkly Symposium on Mathematical Statistics and Probability. Univ. Calif. Press, Berkly. 

  5. Clutter, J.L., Fortson, J.C., Pienaar, L.V., Brister, G.H. and Bailey, R.L.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pp. 333. 

  6. Hamilton, G.J. 1988. Forest meansureation handbook. For. Comm. Booket No39, HMSO, London. pp. 274. 

  7. Korea Forest Service. 2011.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Volume 41. 

  8. Korea Forest Service. 2016. Data base of national forest inventory. Inner information. 

  9. Lee, K.H., Chung, Y.G. and Son, Y.M. 1996. Forest growth and yield prediction model. National Institution of Forest Science. Research Report No. 127. pp. 139.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5. Development of dynamic growth model in major species. Inner information. 

  1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8. Guidline of forest measurement and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New research book, No. 113. pp. 191. 

  12. Park, T.S. et al. 1992. Forest Management. Hwangmunsa. pp. 426. 

  13. Richards, F.J. 1959. A flexible growth function for empirical use.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10(2): 290-301. 

  14. Reineke, L.H. 1927. A modification of Bruce's method of preparing timber yield tables. Journal of Agricultural Research 35(9): 843-856. 

  15. Schumacher, F.X. 1939. A new growth curve and its application in timber yield studies. Journal of Forestry 37: 819-820. 

  16. Son, Y.M., Kim, S.W., Lee, S.J. and Lim, J.S. 2014. Estimation of stand yield and carbon stock for Robinia pseudoacacia stand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2): 264-269. 

  17. Son, Y.M., Kang, J.T., Hwang, J.S., Park, H. and Lee, K.S. 2015.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and yield in Cryptomeria japonica stand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3): 421-426. 

  18. Thomasius, H. 1963. The lay-out and assessment of forest investigations in areas of varying site quality. Arch. Forstw 12(6): 542-567. 

  19. Vanclay, J.K. 1994. Modelling forest growth and yield: Applications to mixed tropical forest.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pp. 312. 

  20. Weiskittel, A.R. et al. 2011. Forest growth and yield modeling. Wiley-Blackwell. UK. pp. 4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