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의 합성 및 전도성 페이스트 적용
Synthesis of SiO2/Ag Core-shell Nanoparticles for Conductive Paste Applic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2 no.1, 2021년, pp.28 - 34  

심상보 (창성나노텍(주)) ,  한종대 (창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수정된 Stöber 공정법과 물/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의 역 미셀에서 acetoxime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역 미셀 방법을 상호 조합하여 합성하였다. SiO2/Ag 코어-쉘은 UV-visible spectroscopy, XRD, SEM 및 TEM을 사용하여 구조, 형태 및 크기를 조사하였다. SiO2/Ag 코어-쉘의 나노입자 크기는 [물]/[DDBA]의 몰비(WR)의 값을 조절하여 제어할 수 있었다. SiO2/Ag 코어-쉘의 크기와 다분산성은 WR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비정질 SiO2 나노입자 위에 생성된 Ag 나노입자는 430 nm에서 강한 표면 플라즈몬 공명 (SPR) 피크를 나타내었다. SPR 피크는 나노입자 크기의 증가에 따라 장파장으로의 적색 이동을 나타내었다. 합성된 SiO2/Ag 코어-쉘을 분산시켜 70 wt% 조성의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법으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전도성을 조사하였다. SiO2/Ag 코어-쉘 페이스트로 코팅된 필름은 상용 Ag 페이스트에 비하여 높은 460~750 µΩ/sq 영역의 표면저항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O2/Ag core-shell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combining modified Stöber process and reverse micelle method using acetoxime as a reducing agent in water/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 reverse micells. The SiO2/Ag core-shells were studied for structure, morphology and size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Ag 나노입자의 형성은 UV-vis의 430 nm에서 나타나는 최대 흡수 띠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UV-vis 분광기를 이용한 SPR 흡수 띠의 분석으로 SiO2/ Ag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조사를 위한 편리하고 빠른 방법을 제시하였다.
  • Ag 전구체의 제조는 silver(I) oxide를 n-butyl amine과 ethythexyl carbamic acid의 혼합액과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전형적인 제조는 50 ℃로 유지된 14.
  • 열특성은 공기 중에서 10 ℃/min로 가열하며 열 중량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TG-TDA24, SETARAM) 로 분석하였다. SiO2/Ag 코어-쉘의 크기와 모양은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로 구리 그리드 위에 분산시켜 건조한 후 필드 방사 주사 전자 현미경법(FE-SEM/EDS, CZ/MIRA I LMH, TESCAN)과 투과 전자 현미경법(TEM, JEM-2010, JEOL)으로 조사하였다.
  • ,a 등[29]은 에틸렌글리콜에 분산된 3~80 nm 직경의 Ag 구형 나노입자의 크기 변화에 따른 SPR 흡수 띠의 위치는 410~ 470 nm 영역에서 입자크기의 증가에 따라 긴 파장으로 이동하는 적색 이동을 나타낸다고 고전적인 Mie 이론으로 계산하여 예측하였다. 또한 입자크기가 15~20 nm 영역에서 흡수세기의 최대치를 나타낸다고 예측하였으며, 4.1 nm의 Ag 입자로 측정한 SPR 흡수 특성으로 이들 결과를 입증하였다. Figure 3의 430 nm 영역의 SPR 흡수 특성은이들[29]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및 TGA로 조사하였다. 또한 합성된 SiO2/Ag 코어-쉘을 사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법으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표면저항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수정된 Stöber 공정법과물/dodecylbenzenesulfonic acid (DDBA)/cyclohexane의 역 미셀에서 acetoxime을 환원제로 사용하는 역 미셀 방법을 상호 조합하여 합성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역 미셀 방법을 이용하여 [물]/[계면활성제, DDBA] 의 몰비(RW)와 [Ag]/[Si]의 몰비(RS)가 조절된 조건에서 입자 크기가 다른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Ag 나노입자의 형성은 UV-vis의 430 nm에서 나타나는 최대 흡수 띠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UV-vis 분광기를 이용한 SPR 흡수 띠의 분석으로 SiO2/ Ag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조사를 위한 편리하고 빠른 방법을 제시하였다.
  • 상태로 분석하였다. 열특성은 공기 중에서 10 ℃/min로 가열하며 열 중량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TG-TDA24, SETARAM) 로 분석하였다. SiO2/Ag 코어-쉘의 크기와 모양은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로 구리 그리드 위에 분산시켜 건조한 후 필드 방사 주사 전자 현미경법(FE-SEM/EDS, CZ/MIRA I LMH, TESCAN)과 투과 전자 현미경법(TEM, JEM-2010, JEOL)으로 조사하였다.
  • 전도성 페이스트의 적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된 SiO2/Ag 페이스트를 PET 필름(100 µm, TORAY)에 스크린 코팅을 하고, 코팅된 페이스트 막을 120 ℃에서 30 min 동안 건조시켜 SiO2/Ag 박막을 제조하였다. PET 필름 위에 코팅된 SiO2/Ag 박막의 표면 저항은 4-point probe (MCP T370, ROLESTA-AX)로 측정하였으며, 경도는 ASTM D3363 방법으로 측정(pencil hardness, VF2378, TQC)하였고 접착력은 ASTM D3359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전형적인 전도성 페이스트의 제조는 합성된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500 ℃에서 1 h 동안 소성한 후에 SiO2/Ag 코어-쉘이 70 wt% 되도록 적절한 양의 용매 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14.8 wt%), α-terpieol (10 wt%), 결합제 PVB (4 wt.%), 습윤제 BYK110 (1 wt.%) 및 BYK346 (0.2 wt.%)과 혼합하고 vortex mixer (VM-200, Thinky, Japan)로 2 min 동안 2,000 rpm으로 교반한 혼합물을 3-roll mill (80S, Exakt Tech, Germany)로 분산시켜 제조하였다.
  • 합성된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500 ℃에서 1 h 동안 소성한 후에 SiO2/Ag 코어-쉘이 70 wt%가 되도록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특성을 조사하였다. 계면활성제 DDBA에 대한 물의 몰비(RW)의 변화에 따른 페이스트의 표면저항을 Figure 8에 나타내었으며, Si에 대한 Ag의 몰비(RS)의 변화에 따른 페이스트의 표면저항은 Figure 9 에 나타내었다.
  • 합성된 SiO2/Ag 코어-쉘의 결정 특성을 X선 회절분석(XRD, Mini- Flex Ⅱ, Rigaku)의 Cu kα로 조사하였고, UV-Vis 분광 흡수 특성(UV 1601, Shimadzu)은 SiO2/Ag 코어-쉘을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콜로이드 상태로 분석하였다. 열특성은 공기 중에서 10 ℃/min로 가열하며 열 중량분석기(Thermo Gravimetric Analyzer, TG-TDA24, SETARAM) 로 분석하였다.
  • 합성된 SiO2/Ag 코어-쉘의 특성은 XRD, SEM, TEM, UV/Vis spectroscopy 및 TGA로 조사하였다. 또한 합성된 SiO2/Ag 코어-쉘을 사용하여 전도성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스크린 인쇄법으로 PET 필름에 코팅하여 표면저항을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SiO2 합성을 위하여 tetraethoxysilane (TEOS, Sigma-Aldrich, 99%), ammonium hydroxide (NH4OH, Junsei, 28%)를 사용하였으며, 은 전구체인 silver(I) 2-ethythexylcarbamate (AgL)의 제조에 silver(I) oxide (Ag2O, Sigma-Aldrich, 99%), n-butylamine (Junsei, 99%), 2-ethythexyl carbamic acid (TCI, 99%)를 사용하였다. 환원제로 acetoxime (TCI, 99%), 용제로 cyclohexane (Junsei, 99%), 계면활성제로 dodecylbenze- nesulfonic acid (DDBA, Junsei, 98%)를 사용하였고, 물은 삼정 화학사의 초순수를 사용하였다.
  • 환원제로 acetoxime (TCI, 99%), 용제로 cyclohexane (Junsei, 99%), 계면활성제로 dodecylbenze- nesulfonic acid (DDBA, Junsei, 98%)를 사용하였고, 물은 삼정 화학사의 초순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합성된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에 결합제로 polyvinylbutyral (PVB B-98, Sigma-Aldrich), 분산제로 BYK-Chemie사의 BYK-110와 BYK-346을사용하였고, 용제로 α-terpineol (TCI, 99%)와 diethylene glycol mon- obutyl ether (Butyl Carbitol, Junsei, 99%)를 사용하였다.
  • acid (TCI, 99%)를 사용하였다. 환원제로 acetoxime (TCI, 99%), 용제로 cyclohexane (Junsei, 99%), 계면활성제로 dodecylbenze- nesulfonic acid (DDBA, Junsei, 98%)를 사용하였고, 물은 삼정 화학사의 초순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합성된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도전성 페이스트의 제조에 결합제로 polyvinylbutyral (PVB B-98, Sigma-Aldrich), 분산제로 BYK-Chemie사의 BYK-110와 BYK-346을사용하였고, 용제로 α-terpineol (TCI, 99%)와 diethylene glycol mon- obutyl ether (Butyl Carbitol, Junsei, 99%)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PET 필름 위에 코팅된 SiO2/Ag 박막의 표면 저항은 4-point probe (MCP T370, ROLESTA-AX)로 측정하였으며, 경도는 ASTM D3363 방법으로 측정(pencil hardness, VF2378, TQC)하였고 접착력은 ASTM D3359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SiO2/Ag 코어-쉘은 제조된 SiO2 나노졸에 Ag 역 마이셀을 첨가하고환원제로 acetoxime을 사용하는 역 마이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전형적인 방법에서는 먼저 cyclohexane 100 mL에 0.
  • : 01-087-0717)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22, 23]. XRD 회절 피크로부터 Debye-Scherrer 공식을 사용하여[22, 23] SiO2/Ag 코어-쉘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크기를 계산하였으며, 이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 Xu, W.-J. Li, Y.-M. Wei, and X.-Y. Cui, Characterization of SiO 2 /Ag composite particles synthesized by in situ reduction and its application in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Mater. Des., 83, 745-752 (2015). 

  2. H. Misran, M. A. Salim, and S. Ramesh, Effect of Ag nanoparticles seeding on the properties of silica spheres, Ceram. Int., 44, 5901-5908 (2018). 

  3. S. Kalele, S. W. Gosavi, J. Urban, and S. K. Kulkarni, Nanoshell particles: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urr. Sci., 91, 1038-1052 (2006). 

  4. A. Sakthisabarimoorthi, S. A. Martin Britto Dhas, and M. Jose, Fabrication and nonlinear optical investigations of SiO 2 @Ag core-shell nanoparticles, Mat. Sci. Semicon. Proc., 71, 69-75 (2017). 

  5. J.-L. Gong, J.-H. Jiang, Y. Liang, G.-L. Shen, and R.-Q. Yu,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tags with Ag/SiO 2 core-shell nanostructures using reverse micelle technology, J. Colloid Interface Sci., 298, 752-756 (2006). 

  6. I. Devecia and B. Mercimekb, Performance of SiO 2 /Ag Core/Shell particles in sonocatal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Ultrason. Sonochem., 51, 197-205 (2019). 

  7. K. I. Dhanalekshmi and K. S. Meena,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g@TiO 2 and Ag@SiO 2 core-shell nanoparticles, Spectrochim. Acta A, 128 887-890 (2014). 

  8. J. Alimunnisa, K. Ravichandran, and K. S. Meena,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g@SiO 2 core-shell nanoparticles for antibacteri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J. Mol. Liq., 231 281-287 (2017). 

  9. J. H. Sohn, L. Q. Pham, H. S. Kang, J. H. Park, B. C. Lee, and Y. S. Kang, Preparation of conducting silver paste with Ag nanoparticles prepared by e-beam irradiation, Radiat. Phys. Chem., 79, 1149-1153 (2010). 

  10. E. B. Choi and J.-H. Lee, Dewetting behavior of Ag in Ag-coated Cu particle with thick Ag shell, Appl. Surf. Sci., 480, 839-845 (2019) 

  11. A. Slistan-Grijalva, R. Herrera-Urbina, J. F. Rivas-Silva, M. Avalos-Borja, F. F. Castillon-Barraza, and A. Posada-Amarillas,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in a polyvinylpyrrolidone (PVP) paste, and their optical properties in a film and in ethylene glycol, Mater. Res. Bull., 43, 90-96 (2008). 

  12. J. C. Flores, V. Torres, M. Popa, D. Crespo, and J. M. Calderon-Moreno, Preparation of core-shell nanospheres of silica-silver: SiO 2 @Ag, J. Non-Cryst. Solids, 354, 5435-5439 (2008). 

  13. Y. Xie, R. Ye, and H. Liu, 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s in reverse micelles stabilized by natural biosurfactant, Colloids Surf, A. Physicochem. Eng. Asp., 279, 175-178 (2006). 

  14. N. Hagura, W. Widiyastuti, F. Iskandar, and K. Okuyama, Characterization of silica-coated silver nanoparticles prepared by a reverse micelle and hydrolysis-condensation process, Chem. Eng. J., 156, 200-205 (2010). 

  15. J. Eastoe, M. J. Hollamby, and L. Hudson, Recent advances in nanoparticle synthesis with reversed micelles, Adv. Colloid Interface Sci., 128-130, 5-15 (2006). 

  16. A. Ledo, F. Martinez, M. A. Lopez-Quintela, and J. Rivas, Synthesis of Ag clusters in microemulsions: A time-resolved UV-vis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study, Physica B, 398, 273-277 (2007). 

  17. D. Singha, N. Barman, and K. Sahu, A facile synthesis of high optical quality silver nanoparticles by ascorbic acid reduction in reverse micelles at room temperature, J. Colloid Interface Sci., 413, 37-42 (2014) 

  18. P. S. Popovetskiya and D.I. Beketovaa, Silver nanoparticles stabilized by AOT and Tergitol NP-4 mixture: Influence of composition on electrophoretic concentration, properties of concentrated organosols and conductivity of films, Colloids Surf. A, 568, 51-58 (2019). 

  19. M. Lismont, C. A. Paez, and L. Dreesen, A one-step short-time synthesis of Ag@SiO 2 core-shell nanoparticles, J. Colloid Interface Sci., 447, 40-49 (2015). 

  20. W. Stober and A. Fink, Controlled, growth of monodisperse silica spheres in the micron size range, J. Colloid Interface Sci., 26, 62-69 (1968). 

  21. K. Natte, T. Behnke, G. Orts-Gil, C. Wurth, J. F. Friedrich, W. Osterle, and U. Resch-Genger, Synthesis and characterisation of highly fluorescent core-shell nanoparticles based on Alexa-Dyes, J. Nanoparticles Res., 14, 680-697 (2012). 

  22. S. I. Mogal, V. G. Gandhi, M. Mishra, S. Tripathi, T. Shripathi, P. A. Joshi, and D. O. Shah, Single-step synthesis of silver-doped titanium dioxide: Influence of silver on structural, textural,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Ind. Eng. Chem. Res., 53, 5749-5758 (2014). 

  23. V. Sharma, D. Verma, and G. S. Okram, Influence of surfactant, particle size and dispersion medium on surface plasmon resonance of silver nanoparticles, J. Phys. Condens. Matter., 32, 145302-145304 (2020). 

  24. F. Ghanbary and A. Jafarian, Preparation an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silver doped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nd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modeling of photocatalytic activity, Aust. J. Basic & Appl. Sci., 5, 2889-2898 (2011) 

  25. R. Desai, V. Mankad, S. K. Gupta, and P. K. Jha, Size distribution of silver nanoparticles: UV-visible spectroscopic assessment, Nanosci. Nanotechnol. Lett., 4, 30-34 (2012). 

  26. O. A. Yeshchenko, I. M. Dmitruk, A. A. Alexeenko, A. V. Kotko, J. Verdal, and A. O. Pinchuk, Size and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surface plasmon resonance in silver nanoparticles, Ukr. J. Phys., 57, 266-277 (2012). 

  27. S. Peng, J. M. McMahon, G. C. Schatz, S. K. Gray, and Y. Sun, Reversing the size-dependence of surface plasmon resonances, Proc. Natl. Acad. Sci., 107, 14530-14534 (2010). 

  28. F. Ding, E. B. Guidez, C. M. Aikens, and X. Li, Quantum coherent plasmon in silver nanowires: A real-time TDDFT study. J. Chem. Phys., 140, 244705 (2014). 

  29. A. Slistan-Grijalva, R. Herrera-Urbina, J. F. Rivas-Silva, M. Avalos-Borja, F. F. Castillon-Barraza, and A. Posada-Amarillas, Classical theoretical characterization of the surface plasmon absorption band for silver spherical nanoparticles suspended in water and ethylene glycol, Physica E, 27, 104-112 (2005). 

  30. C. Petit, P. Lixon, and M. P. Pileni, In situ synthesis of silver nanocluster in AOT reverse micelles, J. Phys. Chem., 97, 12974-12983 (1993). 

  31. Y. Yu, Y. Jiang, Z. Tang, Q. Guo, J. Jia, Q. Xue, K. Wu, and E. Wang, Thickness dependence of surface plasmon damping and dispersion in ultrathin Ag films, Phys. Rev. B, 72, 205405 (2005). 

  32. J.-L. Gong, J.-H. Jiang, Y. Liang, G.-L. Shen, and R.-Q. Yu,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tags with Ag/SiO 2 core-shell nanostructures using reverse micelle technology, J. Colloid Interface Sci., 298, 752-756 (2006). 

  33. Z. Moradi, K. Akhbari, A. Phuruangrat, and F. Costantino,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ze and dispersion of metallic silver nanoparticles and morphologies of initial silver(I) coordination polymer precursor, J. Mol. Struct., 1133, 172-17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