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구성원의 연구데이터 관리 인식 및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niversity Constituents on Research Data Management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8 no.4, 2021년, pp.173 - 198  

채현수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전정현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기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구성원의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대학구성원을 위한 효과적인 연구데이터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연구데이터 관리 및 공유의 주요 쟁점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리·공유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로부터 얻어낸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데이터에 대한 인식, 연구데이터 관리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연구데이터 공유·공개에 대한 인식 및 경험 측면의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연구데이터 관리 정책 및 서비스 개발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university constitu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and sharing then explore the critical factors for establishing effective research data management plans. The literature review enabled summarization of the significant issues regarding resea...

주제어

표/그림 (28)

참고문헌 (19)

  1. Cho, M. H., Kim, S. C., Kim, J. Y., & Song, S. K. (2019). Development of pilot service for sharing research data.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1132-1134. 

  2. Kim, E. J. & Nam, T. W. (2012). Factor analysis of effects on research data coll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9(2), 27-44. http://doi.org/10.3743/KOSIM.2012.29.2.027 

  3. Kim, H. H., Joung, K. H., & Kim, Y. H.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institutional repositories (dCollection) based on its current sta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4), 17-39. http://doi.org/10.3743/KOSIM.2006.23.4.017 

  4. Kim, H. R. & Jung, Y. M. (2010). Building and management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in Korean university.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3-202. 

  5. Kim, J. H. (2012). A study on university researchers' data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3), 433-455. http://doi.org/10.16981/KLISS.43.3.201209.433 

  6. Kim, J. H. (2014). A study on research data management services of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165-189. http://doi.org/10.14699/KBIBLIA.2014.25.3.165 

  7. Kim, M. J. & Kim, S. H. (2015).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haring of research data of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2), 313-334. http://doi.org/10.4275/KSLIS.2015.49.2.313 

  8. Kim, N. Y. & Chung, E. K. (2020). An investigation on data needs and data reuse behavior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7(4), 1-26. http://doi.org/10.3743/KOSIM.2020.37.4.001 

  9. Kim, S. T., Hahn, S. H., Lee, T. Y., & Kim, Y. (2010). A study on a model for using and preserving scientific dat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4), 81-93. http://doi.org/10.14699/KBIBLIA.2010.21.4.081 

  10. Lee, J. W.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institutional repository on the university's research competi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3), 49-72. http://doi.org/10.4275/KSLIS.2013.47.3.049 

  11. Lee, S. H. & Shim. W. S. (2009). Sharing and use of scientific data. KISTI Knowledge Report, No.5. 

  12. Lee, Y. B. & Kim, S. H. (2014). A comparative analysis of digital research data management policy in overseas universities. Proceedings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245-252. 

  13. Park, M., Ahn, I., & Kim, J. (2018). A study on use case of research data sharing in bio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1), 393-416. http://doi.org/10.14699/KBIBLIA.2018.29.1.393 

  14. Seoul National University (2020). Seoul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Ethics Guidelines. SNU R&DB Foundation. Available: https://snurnd.snu.ac.kr/?qnode/724 

  15. Shim, W. S., Ahn, H. Y., & Byun, J. Y. (2015).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collection and use of research data in the huma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155-183. http://doi.org/10.4275/KSLIS.2015.49.3.155 

  16. Yoon, C. M. & Kim, K. B. (2013). Legislation cases, management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on scientific data-focusing australi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6(1), 63-100. 

  17. Hedstrom, M. & Niu, J. (2008). Incentives for data producers to create "archive-ready" data: implications for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In Proceedings from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Research Forum (Vol. 30). San Francisco, CA: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18. UKRI (2016). Concordat on Open Research Data. Available: https://www.ukri.org/wp-content/uploads/2020/10/UKRI-020920-ConcordatonOpenResearchData.pdf 

  19. Yu, H. H. (2017). The role of academic libraries in research data service (RDS) provis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 Electronic Library, 35(4), 783-797. http://doi.org/10.1108/EL-10-2016-0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