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중증도 분류도구를 이용한 구급차별 중증도 분석
Analysis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by type of ambulance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5 no.3, 2021년, pp.71 - 80  

박정제 (포항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appropriateness of the Korean-type severity classification by ambulance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43,561 emergency patients who were brought to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via ambulance between January 1, 2015 and De...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14)

  1. Do BS, Park HJ, Wang SJ, Heo T, Chung SP.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system. Seoul: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7. 20-23. 

  2. Sim SB, Choi JH, Kim BS, Oh JS, Kim SH, Park YS et al. Healthcare process patterns with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2012;37(4):111-24. https://doi.org/10.7737/JKORMS.2012.37.4.111 

  3. Kim BW, Yoon YI. Developing the data analysis-based emergency room congestion predictive model for the resolution of overcrowded emergency room.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18;29(5):1201-14. https://doi.org/10.7465/jkdi.2018.29.5.1201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mergency medical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201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8 

  6. Lee KH. How to developed and use the KTAS. 2013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13;2:417-24. 

  7. Lee WS, Lee SH, Jang TC, Kim GM, Seo YW, Ko SH. Appropriateness of triage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J Korean Soc Emerg Med 2020;31(3):323-9. 

  8. Park JB, Lim TH. Understand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J Korean Soc Emerg Med 2017;28:547-51. 

  9. Lee BS. clinical evaluation of two triage tool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2002, Seoul, Korea. 

  10. Choi HJ. Analysis of triage results of patients admitted with 119.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chunhyang University 2020, Asan, Korea. 

  11. Cha MI. A comparison study of triage results between prehospital and hospital set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7, Incheon, Korea. 

  12. Park JJ, Kim DS, Han SM, Wang SW. Analysis of severity of emergency patients using Korean triage system by type of ambulances used. J of Wellness 2020;15:535-43. https://doi.org/10.21097/ksw.2020.05.15.2.535 

  13. Huh YJ, Oh Ml, Kim SH, Han SH, Pak YS. Comparison of KTAS results by triage classifier. J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0;10(4):98-103.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4.098 

  14. Yoon KR, Lee EH. Analysis of reclassification type using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of emergency patients. J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9;21(1):451-62. https://doi.org/10.37727/jkdas.2019.21.1.4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