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대상 식사조사를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marriage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4 no.1, 2021년, pp.76 - 94  

김정현 (배재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오연 (동아대학교 대학원 건강과학과) ,  이민준 (연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으로 한국에 이주한 다문화여성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SQ-FFQ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SQ-FFQ는 결혼이주여성 대상 선행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의 SQ-FFQ 및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다소비, 다빈도 식품목록과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식품들을 고려하여 41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10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SQ-FFQ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재현성 및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과 대전 일부 지역의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방문한 35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SQ-FFQ (2회) 및 3일 식사 기록지를 조사한 후 1, 2차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간의 영양소 섭취량 차이 및 SQ-FFQ와 3일 식사기록 간의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1-2주간격으로 조사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에너지와 다량영양소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비타민 A, 리보플라빈, 칼슘, 칼륨의 경우 1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보다 2차 조사의 평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약간 높았다. 1차 및 2차 조사에서 도출된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동일 영양소 섭취량 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0.453-0.885). 식품섭취빈도 조사와 3일 식사기록의 결과 비교를 통한 타당도 검증 결과, 식사 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에너지, 탄수화물, 탄수화물, 비타민 C, 티아민, 엽산, 비타민B12, 칼슘, 나트륨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차 식품섭취빈도조사와 식사기록법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는데, 식물성 지방이 0.602로 가장 높았고, 총 섭취 에너지, 탄수화물, 지방, 티아민의 상관계수도 0.512-0.599로 다른 영양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나트륨 등의 영양소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결혼이주 다문화여성의 식생활 및 영양소 섭취실태를 파악하고자 개발된 자기기입식 SQ-FFQ는 신뢰성이 검증된 조사도구이며 에너지와 주요 영양소의 섭취 상태를 추정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최종 3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도출된 것으로 향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일부 영양소의 섭취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조사식품 항목에 대한 조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며, 특히, 미량영양소의 경우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정성적인 조사를 병행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식품 및 영양소 섭취량 산출을 위한 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성을 위한 근거자료들이 더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married 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SQ-FFQ consisting of 41 food items was se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frequently c...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40)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Yearly Statistics on Multicultural Families [Interne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2018 [cited 2020 Jan 24].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3&bbtSn704742. 

  2. Kim YK, Choi HM, Kim KH, Sung SM. The chan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3. Kim HR, Yeo JY, Jeo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4. Willett WC.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5. Willett WC, Hu FB.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7; 16(1): 182-183. 

  6. Jang BS. Study on dietary statu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9. 

  7. Kim JM, Lee NH. Analysis of the dietary life of im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05-418. 

  8. Kwak DW. Research to ingestion of food and an attitude from food and drink of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Daejeon: Woosong University; 2009. 

  9. Lee S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female immigrants to Korea in multi-cultural famili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0. Ko HJ.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marriage-immigrant females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University; 2010. 

  11. Cha SM, Bu SY, Kim EJ, Kim MH, Choi MK.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 Korean Diet Assoc 2012; 18(4): 297-307. 

  12. Jeong MJ, Jung EK, Kim AJ, Joo N. Nutrition knowledge and need for a dietary education program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Gyeongbuk region. J Korean Diet Assoc 2012; 18(1): 30-42. 

  13. Kim JM, Lee HS, Kim MH.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2012; 45(2): 159-169. 

  14. Lee JS.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6): 807-815. 

  15. So JS, Han SR.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589-602. 

  16. Kim DY. An analysis of dietary patterns of multicultural housewive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3. 

  17. Yoon SH, Sim JS, Kwon S, Oh K. Development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Korean J Nutr 2013; 46(2): 186-196. 

  18. Asano K, Yoon JH, Ryu SH.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2014; 19(4): 317-327. 

  19. Hwang JY, Lee H, Ko A, Han CJ, Chung HW, Chang N. Dietary changes i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KoGES follow-up study. Nutr Res Pract 2014; 8(3): 319-326. 

  20. Jung SO, Yang SJ. Types of dietary accultur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factor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J Korean Data Anal Soc 2015; 17(5): 2675-2689. 

  21. Kim JH. A study on the dietary patterns affecting acculturation among marriage migrant women in urban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Assoc 2015; 27(4): 173-189. 

  22. Yang EJ. Dietary behavior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J Nutr Health 2016; 49(3): 179-188. 

  23. Kim HW, Kim MH, Kim JM. Analysis of food adaptation and dietary behavior of marriage migrant women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type in Dongducheon City. J Digit Converg 2018; 16(4): 205-219. 

  24. Kim SH, Choi HN, Hwang JY, Chang N, Kim WY, Chung HW,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in Korea: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Nutr Res Pract 2011; 5(3): 260-265. 

  25. Talegawkar SA, Kandula NR, Gadgil MD, Desai D, Kanaya AM. Dietary intakes among South Asian adults differ by length of residence in the USA. Public Health Nutr 2016; 19(2): 348-355. 

  26. Ngongalah L, Rankin J, Rapley T, Odeniyi A, Akhter Z, Heslehurst N. Dietary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urs in African migrant women living in high 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and framework synthesis. Nutrients 2018; 10(8): E1017. 

  27. Barrett-Connor E. Nutrition epidemiology: how do we know what they ate? Am J Clin Nutr 1991; 54(1 Suppl): 182S-187S. 

  28. Kim JH. Development of program for food and nutrition improvement through analyzing dietary intake and patterns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31. Yun SH, Shim JS, Kweon SH, Oh KW. Development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Korean J Nutr 2013; 46(2): 186-196. 

  3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inal Report of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cited 2020 Jun 23].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 

  33. Yum J, Lee 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ish-bas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olescents. Nutr Res Pract 2016; 10(4): 433-441. 

  34. Kim DW, Song S, Lee JE, Oh K, Shim J, Kweon S, et al.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n FFQ developed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Public Health Nutr 2015; 18(8): 1369-1377. 

  35. Bae YJ, Choi HY, Sung MK, Kim MK, Choi MK.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ary nutrient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Nutr Res Pract 2010; 4(2): 121-127. 

  36.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et al.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2007; 61(12): 1435-1441. 

  37. Yang YJ, Kim MK, Hwang SH, Ahn Y, Shim JE, Kim DH. Relative validities of 3-day food records and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Nutr Res Pract 2010; 4(2): 142-148. 

  38. Na YJ, Lee S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nutritional status in Korean adults. Nutr Res Pract 2012; 6(5): 444-450. 

  39. Shim JS, Oh KW, Suh I, Kim MY, Sohn CY, Lee EJ, et al.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484-494. 

  40. Kim SH, Lee JS, Hong KH, Yeom HS, Nam YS, Kim JY, et al. Development and relative validity of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for Korean adults. J Nutr Health 2018; 51(1): 103-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