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형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Planning Directions for Parks and Green Spaces in Future Industrial Complex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30 no.2, 2021년, pp.109 - 118  

이은엽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이현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김태균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최대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송영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changes such as those stemming from the onse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cted that industrial complexes will transform from being spacious structures into smaller, integrated complexes. Green parks, which are also a type of infrastructure within industrial complexes, als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 복합형으로 대표될 수 있는 미래형 산업단지에서 공원녹지가 새롭게 추구해야 할 계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산업단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요구를 고려한 미래형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조성 방향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도시첨단산업단지 등 새로운 유형의 복합형 산업단지를 조성하는데 있어 기반시설의 하나인 공원녹지가 지향해야 할 계획방향을 수립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새로운 산업단지는 대규모 공간을 활용하기 보다는 블록 또는 획지단위의 복합용도로 공간을 활용해 나갈 것이라는 점에서 획지단위의 수직형 공장과 블록형의 공장에 적합한 공원녹지 계획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산업단지 내 대표적 기반시설인 교통동선과 공원녹지 간의 연계 활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교통과 그린 인프라 간 최적의 조합조건도 파악해 보았다.
  • 3과 같이 6가지로 입체녹화 유형을 분류하고 가장 선호하는 유형을 설문 조사하였다. 또한, 새로운 산업단지는 대규모 공간을 활용하기 보다는 블록 또는 획지단위의 복합용도로 공간을 활용해 나갈 것이라는 점에서 획지단위의 수직형 공장과 블록형의 공장에 적합한 공원녹지 계획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또한, 산업단지 내 대표적 기반시설인 교통동선과 공원녹지 간의 연계 활용방안을 모색해보고자 교통과 그린 인프라 간 최적의 조합조건도 파악해 보았다.
  • 또한, 미래형 산단은 차도 보다는 보행로 중심으로 이동체계가 형성될 것으로 보여져 그린인프라는 보행축과 연결되어 단지 내 주요 공간 및 시설을 이어주는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보여 면적공원에서 선형공원으로 공원 형태가 변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전제하에 미래의 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조성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기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공원녹지에 대한 계획 방향을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미래형 산업단지의 경우 녹지비율이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나 현 수준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어 녹지조건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산업단지 내중요 공공시설의 하나인 공원녹지 역시 변화하고 있는 산업환경에 부합한 새로운 방향성 탐색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입지환경과 공간구조가 변화하고 있는 미래형 산업단지에 요구되는 공원녹지 계획방향을 산업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를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세부적으로는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비율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개선 필요성을 파악해 보았으며, 공원과복합시킬 수 있는 도입 시설을 살펴보고 획지단위의 수직형 공장에 적용 가능한 입체녹화 유형을 살펴보고자 Shin et al.
  • 환경변화에 대응한 미래의 계획 방향 도출을 위해서는 델파이기법, 시나리오 방식 또는 과거자료를 이용하여 추세를 예측해 보는 연구접근 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종사자들의 의식조사를 통해 미래형 산업단지에서 공원녹지가 지향해야 할 방향을 탐색하는데 사용자 요구를 반영시키고자 했다. 도시 내 복합형 산업단지의 공원녹지 계획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산업단지 종사자를 직접 조사하여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기업체 1, 502 개소를 대상으로 하여 온라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K. J., Choi, M. S., Kim, M. S., 2019,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social and economic evaluation models and methods of future new industrial complex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147-163. 

  2. Choi, D. S., Somg, Y. I., Kim, T. G., Lee, E. Y., Lee, H. J.,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ex system evaluating the location suitability for the future-oriented new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4(7), 58-69. 

  3. Kim, J. Y., Lee, G. H., Back, S. J., 2013, A Study on the standards of parks and green spaces in industrial complex structure advancement project,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7, 67-81. 

  4. Kim, T. G., Kim, S. J., 2018, A Plan to create a convergence R&D cluster in the city center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Gyeonggi Research Institute, Issue & Diagnosis, 329, 1-25. 

  5. Lee, B. M.,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Complex Industrial Park, Kyungwon University Master's Thesis, 35. 

  6. Lee, G. H., 2013, A Study on standards of public facilities in industrial complex renovation, Hans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103-104. 

  7. Lee, H. J., Kim, T. G., Choi, D. S., Lee, E. Y., Song, Y. I., 2017, Study on the new type of industrial complex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network-type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0(4), 522-535. 

  8. Lee, J. E., Cho, H. S., 2011, An Analysis of the specialist's preference for the model of park-based mixed-use districts in secur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via private developm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6), 1-11. 

  9. Lee, S. W., 2019, An Attempt to take off the image of an old industrial complex and transform it into an eco-friendly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451, 27-32. 

  10. Lee, W. H., 2020,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w spatial policies for industrial development : Looking into the application of platform approach, Journal of KARG., 26(3), 217-229.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for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nd supply system. 

  12. Park, H., 2016, The study of design strategy of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 centering on industrial complex,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AJMAHS)., 6(7), 439-449. 

  13. Park, J. W., 2019, Influence of future industrial environment change on circuit assembly technology, 2019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Welding and Joining Society, 73. 

  14. Park, K. J., Lee, M. H., 2020, Development of site selection planning factors for urban high-tech industrial complex, JKCA., 20(5), 595-608. 

  15. Seo, J. H., Kim, K. H., Jang, M. S., 2019, A Study on the visiting patterns and direction of developing on urban park in Dae-gu city, The Journal of the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3(1), 47-55. 

  16. Shin, K. S., Kim, W. P.,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esign components of 3D greenery system for eco-friendly indoor and outdoor space of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8(4), 275-284. 

  17. Yang, J. Y., Eum, K. C., 2011, A Study on the satisfaction rates of residents of industrial complexes within metropolitan Areas, korea real estate society journal., 29(1), 245-2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