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정적재하시험 응답보정계수에 의한 교량 해석모델 보정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the Bridge Analytical Model Calibration with the Response Correction Factor Obtained from the Pseudo-Static Load Test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5 no.6, 2021년, pp.50 - 59  

한만석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수봉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초록

현재 공용중인 교량에 대한 재하시험으로 계측한 응답과 초기해석모델의 해석 응답을 비교하여 응답보정계수를 계산하고, 이 모델을 사용하여 내하율과 내하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응답보정계수는 계측 위치와 하중 조건에 따라 변동하는 값을 준다. 특히 초기해석모델이 교량의 거동에 합당하지 않은 경우, 그 변동 폭이 크며 보정된 모델에 의한 해석 응답이 계측된 응답과 동떨어진 결과를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의 다양한 하중 조건에서 동적 성분을 제거한 정적 응답을 얻기 위해 의사정적재하시험법을 적용하였다. 두 개의 유사한 PSC-I 거더교에서 정적 응답을 계측하고, 두 교량 각각에 대한 변위와 변형률에 대한 응답보정계수를 계산하였다. 초기해석모델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평균적으로 구한 응답보정계수로 보정한 모델의 해석 응답이 계측 응답과 오차범위 내에 들어오는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response correction factor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response measured by the load test on a bridge with the response analyzed in the initial analytical model. Then the load rating and the load carrying capacity are evaluated. However, the response correction factor gives a value...

주제어

표/그림 (24)

참고문헌 (10)

  1. Alampalli, S., Frangopol, D.M., Grimson, J., (...), Yang, D., Zhou, Y.E. (2021), Bridge Load Testing: State-of-The-Practice. Journal of Bridge Engineering, 26(3), 03120002. 

  2.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AASHTO) (2011), The Manual for bridge evaluation, 2nd ed. Washington, DC. 

  3. Armendariz, R.R., Bowman, M.D. (2018), Improved Load Rating of an Open-Spandrel Reinforced-Concrete Arch Bridge.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32(4), 04018035. 

  4. Kim, D.U. (2021),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ng bridge load carrying capacity for PSC girder bridge: using updated numerical models with measured data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cutoff of the external tendons.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South Korea. 

  5. Korea Concrete Institute (KCI) (2010), Guidelines and examples for safety assessment of operating concrete bridge. Seoul, South Korea. 

  6. Korea Infrastructure Safety and Technology Corporation (KISTEC) (2019), Detailed guideline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 safety inspection / diagnosis. Jinju, South Korea. 

  7. NCHRP (1998), Manual for bridge rating through load testing. Project 12-28(13)A. 

  8. Sanayei, M., Reiff, A.J., Brenner, B.R., Imbaro, G.R. (2016), Load Rating of a Fully Instrumented Bridge: Comparison of LRFR Approaches, Journal of Perform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30(2), 04015019. 

  9. Yoon, S.G. and Shin, S. (2019), Evaluation of bridge load carrying capacity of PSC girder bridge using pseudo-static load tes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4), 53-60. 

  10. 鋼橋技術?究? (2001). No.43 維持管理部?報告書, 平成13年5月.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