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남성과 여성의 혈중지질과 치주염의 연관성에 관한 융합적 고찰 -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lood lipid and Periodontitis in Korean Men and Women -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1, 2021년, pp.111 - 118  

이세영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심선주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한국인의 혈중지질과 치주질환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최종 11,797명을 분석대상자로 하였다. 한국인 남성의 혈중지질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한 흡연과 거주지역을 층화하여 분석하였으며. 남성에서 비흡연자가 중성지방 경고 그룹은 OR(odds Ratio) 1.38 배(95% CI:1.09-1.76), 위험 그룹은 OR 1.49배 (95% CI:1.16-1.91)로 치주질환 연관성이 유의하게 나왔으며 흡연자에서도 중성지방 위험 그룹은 OR 1.76배 (95% CI:1.39-2.23) 높아 치주질환과 연관성이 나왔으며 도시지역 거주자 남성은 총콜레스테롤 위험 그룹은 OR 1.48배 (95%CI:1.14- 1.19), HDL 콜레스테롤은 위험 그룹이 OR 1.49배 (95% CI:1.16-1.19), 중성지방은 경고 그룹이 OR 1.14배 (95% CI:1.16-1.70), 위험 그룹은 OR 1.60배 (95% CI:1.32- 1.94) 치주질환 연관성과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결론적으로 남성의 혈중지질과 치주질환과는 흡연이나 거주지역에 따라 연관성이 있으며 특히 도시지역 남성의 전신질환과 치주질환 관련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향후 도시지역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2016-201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blood lipid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men and women, and selected the final 11,797 people as subjects of analysis. A stratified analysis of smoking and residential areas was con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신 질환과 구강 건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혈중 지질 수치와 성별에 따른 치주질환과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혈중지질과 치주질환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6- 2018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치주질환이며 독립변수는 남성 관련 건강요인으로서 흡연과 거주지역을 분석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 변수 및 건강 관련 행위는 혼란 변수로 보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 Huxley, S. Lewington & R Clarke. (2002). Cholesterol,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a review of published evidence from observational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emin Vasc Med, 2, 315-23. DOI: 10.1055/s-2002-35402 

  2. Who . Cardiovascular diseases(CVDs). (2013).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 A. Patel, F. Barzi, K. Jamrozik, T. H. Lam, H. Ueshima, G. Whitlock & M. Woodward. (2004). Serum triglycerides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Asia-Pacific region. Circulation, 110, 2678-86. DOI: 10.1161/01.CIR.0000145615.33955.83 

  4. P. L. Da Luz, D. Favarato & J. R. Faria-nato. (2008). High ratio of triglecerides to HDL-cholesterol ratio predicts extensive coronary disease. Clinics(Sao Paulo), 63(4), 427-432. DOI: doi.org/10.1590/S1807-59322008000400003 

  5. R. Boizel, P. Y. Benhamm, B. Lardy, F. Laporte, T. Foulon & S. Halimi. (2000). Ratio of triglycerides to HDL cholesterol is an indicator of LDL particle siz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normal HDL cholesterol level. Diabetes Care, 23(11), 1679-1685. DOI: 10.2337/diacare.23.11.1679 

  6. T. McIaughlin, G. Reaven, F. Abbasi, C. Lamendola, M. Saad, D. Waters et al. (2005). Is there a simple way to identify insulin resistant individuals at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Cardiol, 96, 399-404. DOI: 10.1016/j.amjcard.2005.03.085 

  7. R. S. Martin, A. C. Horacio, G. E. Walter, A. P. Carlos, A .I. Marcel et al. (2011). Relationships among insulin resistance, obesity, diagnosi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cardio-metabolic risk. Diab Vasc Res, 8, 109-116. DOI: 10.1177/1479164111403170 

  8. G. H. Leila, Z. Faramarz, H. Fatemeh & S. Morteza.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lipidemia and periodontal infection. Iran Red Crescent Med J, 16(2). DOI: 10.5812/ircmj.6577 

  9. AHN AY. (2004). The effects of atherosclerosis on periodontal disease and decision making mode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G. Thornton-Evans, P. Eke , L Wei, A. Palmer, R Moeti, S. Hutchins et al. (2009-2010). Periodontitis among adults aged >30 years-United States.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ttps://www.cdc.gov/MMWr/pdf/other/su6203.pdf#page131 

  11. B. Holtfreter, T. Kocher, T. Hoffmann, M. Desvarieux. (2010).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and treatment demands based on a German dental survey(DMS IV). J chin Periodontal, 37(3), 211-219. DOI: 10.1111/j.1600- 051X.2009.01517.x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Korea Cenert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gwon. Name of Web Site: http://www.mohw.go.kr 

  13. B. Bert & P. Position. (2005). Position paper: Epidemiology of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76, 1406-1419. DOI: 10.1902/jop.2005.76.8.1406 

  14. A. Sheiham & B. Nicolau. (2005). Evaluation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eriodontal disease. Periodontol 2000, 39, 118-131. DOI: 10.1111/j.1600-0757.2005.00115.x 

  15. E. Ponte, D. M. Tabaj, M. Maglion & M. Melato. (2010). Diabetes mellitus and oral disease. Acta Diabetol, 38(2), 57-62. DOI: 10.1007/s005920170014 

  16. T. Nagasawa, M. Noda, S. Katagiri et al. (2010).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and Diabetes-Importance of a Clinical Study to Prove the Vicious Cycle. Intern Med, 49(10), 881-885. DOI: 10.2169/internalmedicine.49.3351 

  17. T. Ferial, S. Mahmoud & S. Masoud. (2010). Association between chronic periodontitis and serum lipid levels. Acta Med Iran, 48(1), 47-50. 

  18. A. Moeintaghavi, A. Haerian-Ardakani, M. Talebi-Ard kani & I. Tabatabail. (2005). Hyperlipidemia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J contemp Dent Pract, 6(3), 78-85. 

  19. A. Jaramillo, G. I. Lafaurie, L. Y. Millan & C. M Ardila. (2013).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plasma level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Colombia Medica, 44(2), 80-86. 

  20. W. Losche, G. J. Marshal, D. A. Apatzidou, S. Krause, T. Kocher, D. F. Kinane et al. (2005).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2 and plasma lipids in patients with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32(6), 640-644 DOI: 10.1111/j.1600-051X. 2005.00725.x 

  21. J. O Jung, K. H Lee & H. J Youn. (2011). The correlation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11, 221-228. 

  22. Y. S Kim, J. H Jeon & H. H Min.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The 5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14, 805-812. 

  23. Y. M Kong & G. S Han. (2012).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types and periodontiti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 J Dent Hyg Sci. 12, 279-286. 

  24. H. E Shin, J. H Kim, Y. S Jung et al. (2014). Relation between rheumatold arthritis and periodontal desease: using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Acad Oral Health, 38, 232-237. 

  25. J. C. Escola-Gil, J Julve, B. A. Griffin, D. Freeman & V. F Blanci. (2015). HDL and lifestyle interventions. Handb Exp Pharmacol, 224, 569-592 DOI: 10.1007/978-3-319-09665-0_18 

  26. K. T. Tosheska & S. Topuzovska. (2017). High density lipoprotein metabolism and reverse cholesterol transport: strategies for raising HDL cholesterol. Anatol J Cardiol, 18(2), 149-154. DOI: 10.14744/AnatolJCardiol.20177608 

  27. S. M. Ban, K. J. Lee & J. O. Yang (2012).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in the obes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703-715. 

  28. Y. C. Cho, I. S. Kwon, J. Y. Park & M. W. Shin. (201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 checkup examines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 2317-2325. 

  29. C. J. Kim. (2013).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s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225-235. 

  30. J. M. Lee, Y. S. Kwon & K. S. Paek.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mong white collar workers in a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 12(8), 411-421. 

  31. B. C. Ahn, E. Hong & H. Joung. (2013). Regional Convergence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9(1),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