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류양식장 이전 후 저서다모류 군집 변화
Changes in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fter Fish Farm Relocation in the South Coast of Kore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7 no.7, 2021년, pp.943 - 953  

박소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선영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심보람 (국립수산과학원 자원환경과) ,  박세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기획과) ,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어류가두리양식장 시설의 재배치 이후 기존 양식장 아래 퇴적물의 회복상태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양식장 아래 퇴적물과 저서다모류 군집 조사를 수행하였다. 양식장 철거 이전인 2017년 10월에 사전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양식장 철거 이후인 2017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매달, 이후 2020년 10월까지는 2 ~ 3달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정점은 철거된 양식장 위치에 3개 정점(Farm1 ~ 3)과 양식시설물이 없는 주변 해역에 3개의 대조 정점(Con1 ~ 3)으로 선정하였다. 사전 조사에서 기존 양식장의 총유기탄소(평균 22.67 mg·g-1 dry weight)는 대조 정점(평균 13.68 mg·g-1 dry weight)보다 높았으나, 양식장 철거 이후 점차 감소하여 약 1년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저서다모류 군집은 여름철 기존 정점에서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였으며, 무생물 시기 이후 오염지시종인 Capitella capitata 단일종이 극우점하는 낮은 다양도의 군집으로 천이하였다. 다음해 여름철 무생물 시기 이전까지 종다양도가 증가하고 오염지시종의 비율이 감소하여 저서다모류 군집이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매년 반복되었다. 연구 지역은 양식장 아래의 지형학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매년 무생물 군집이 출현하고 있으나, 조사가 진행될수록 무생물 발생 기간은 짧아지고, 군집이 회복되는 과정은 빠르게 진행되었다. 어류 양식장의 이전 후 기존 양식장 정점의 퇴적물은 생물학적인 회복이 여전히 진행 중이며,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회복의 경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diment recovery after the relocation of fish cage farm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sediments and the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A preliminary survey was carried out in October 2017, before the relocation of the farms, and monthly surveys were conduc...

주제어

참고문헌 (32)

  1. Agudo-Gimenez, F., M. A. Piedecausa, J. M. Gutierrez, J. A. Garcia-Charton, A. Belmonte, and B. Garcia-Garcia(2012), Benthic recovery after fish farming cessation: a "beyond BACI" approach, Marine Pollution Bullutin, Vol. 64, pp. 729-738. 

  2. Beveridge, M. C. M.(1987), Cage aquaculture, Fishing News Books. 

  3. Black, K D., P. K. Hansen, and M. Holmer(2008), Salmon aquaculture dialogue, Working group report on benthic impacts and farm siting, pp. 1-54 

  4. Black, K. D.(2001), Environmental Impacts of Aquaculture. Sheffield Academic Press Ltd., UK. 

  5. Brooks, K. M.., A. R. Stierns, and D. Backman(2004), Seven year remediation study at the Carrie Bay Atlantic salmon(Salmo salar) farm in the Broughton Archipelago, British Columbia, Canada. Aquaculture, Vol. 239(1-4), pp. 81-123. 

  6. Brooks, K. M., A. R. Stierns, C. V. W. Mahnken, and D. B. Blackburn(2003), Chemical and biological remediation of the benthos near Atlantic salmon farms, Aquaculture Vol. 219, pp. 355-377. 

  7. Gao, Q. F., K. K. Cheung, S. G. Cheung, and P. K. S. Shin(2005), Effects of nutrient enrichment derived from fish farming activities on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a subtropical region of Hong Kong. Mar. Pollut. Bull. Vol. 51, pp. 994-1002. 

  8. Gowen, R. J. and N. B, Bradbury(1987), The ecological impact of salmonid farming in coastal waters: a review. Oceanogr. Mar. Biol. Annu. Rev, Vol. 25, pp. 563-575. 

  9. Gower, J. C.(1966), Some distance properties of latent root and vector methods used in multivariate analysis, Biometrika, Vol. 53(3-4), pp. 325-338. 

  10. Hall, P. O., L. G. Anderson, O. Holby, S. Kollberg, and M. O. Samuelsson(1990), Chemical fluxes and mass balances in a marine fish cage farm: I. Carbon.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61, pp. 61-73. 

  11. Huang, Y. C. A., S. C. Huang, H. J. Hsieh, P. J. Meng, and C. A. Chen(2012), Changes in sedimentation,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benthic macrofaunal assemblages around marine cage culture under seasonal monsoon scales in a shallow-water bay in Taiwan, J. Exp. Mar. Biol. Ecol, Vol. 422, pp. 55-63. 

  12. Johannessen, P. J., H. B. Botnen, and O. F. Tvedten(1994), Macrobenthos: before, during and after a fish farm. Aquaculture Research, Vol. 25, pp. 55-66. 

  13. Jung, R. H., S. P. Yoon, J. N. Kwon, J. S. Lee, W. C. Lee, J. H. Koo, Y. J. Kim, H. T. Oh, S. J. Hong, and S. E. Park(2007), Impact of fish farming in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2(3), pp. 159-169. 

  14. Karakassis I., E. Hatziyanni, M. Tsapakis, and W. Plaiti(1999), Benthic recovery following cessation of fish farming: a series of successes and catastrophe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184, pp. 205-218. 

  15. Karakassis, I., M. Tsapakis, E. Hatziyanni, K.N. Papadopoulou, and W. Plaiti(2000), Impact of cage farming of fish on the seabed in three Mediterranean coastal areas, ICES J. Mar. Sci. Vol. 57, pp. 1462-1471. 

  16. Kutti, T., P. K. Hansen, A. Ervik, T. Hoisaeter, and P. Johannessen(2007), Effects of organic effluents from a salmon farm on a fjord system. II. Temporal and spatia patterns in infauna community composition, Aquaculture Vol. 262, pp. 355-366. 

  17. Lee, H. W., J. H. Bailey-Brock, and M. M. McGurr(2006), Temporal changes in the polychaete infaunal community surrounding a Hawaiian mariculture operation, Mar. Ecol. Prog. Ser., Vol. 307, pp. 175-185. 

  18. Liao Y., Q. Liu, L. Shou, Y. Tang, Q, Liu, J. Zeng, Q. Chen and X. Yan(2022), The impact of suspended oyster farming on macrobenthic community in a eutrophic, semi-closed bay: Implications for recovery potential, Aquaculture, Vol. 548. 

  19. Lim, H. S. and J. S. Hong(1997), Ecology of the macrozo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30(2), pp. 175-187. 

  20. Macleod, C. K., N. A. Moltschaniwskyj, and C. M. Crawford (2006), Evaluation of short-term fallowing as a strategy for the management of recurring organic enrichment under salmon cage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2, pp. 1458-1466. 

  21. NIFS(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2020), Http://www.nifs.go.kr. 

  22. MOF(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3), Korean Standard Method of Examination for Marine Environment. Sejong-si, Korea, pp. 1-516. 

  23. Norkko, A., R. Rosenberg, S. F. Thrush, and R. B. Whitlatch (2006), Scale-and intensity-dependent disturbance determines the magnitude of opportunistic response, Journal of Excre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Vol. 330, pp. 195-207. 

  24. Park, S., S. Kim, B. R. Sim, S. J. Park, H. C. Kim and, S. P. Yoon(2021), Changes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polychaetes after the shellfish farm cessation in Tongyeong ba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 27(5), pp. 605-617. 

  25. Pearson, T. H. and R. Rosenberg(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aphy Marine Biology Annual Review, Vol. 16, pp. 229-311. 

  26. Pereira, P. M., K. D. Black, D. S. McLusky, and T. D. Nickell(2004), Recovery of sediments after cessation of marine fish farm production, Aquaculture, Vol. 235(1-4), pp. 315-330. 

  27. Pohle, G., B. Frost, and R. Findlay(2001), Assessment of regional benthic impact of salmon mariculture within the Letang Inlet, Bay of Fundy.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Vol. 58(2), pp. 417-426. 

  28. Seo, J. Y., H. S. Lim, and J. W. Choi(2015),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7(4), pp. 295-315. 

  29. Shannon, C. 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1-125. 

  30. Sim, B. R., H. C. Kim, S. Kang, D. I. Lee, S. Hong, S. H. Lee, and Y. Kim(2020), Geochemical indicators for the recovery of sediment quality after the abandonment of oyster Crassostrea gigas farming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 53(5), pp. 773-783. 

  31. Tomassetti, P., E. Persia, I. Mercatali, D. Vani, V. Marussso, and S. Porrello(2009), Effects of mariculture on macrobenthic assemblages in a western Mediterranean site, Mar. Pollut. Bull., Vol. 58, pp. 533-541. 

  32. Zhulay, I., K. Reiss and H. Reiss(2015), Effects of aquaculture fallowing on the recovery of macrofauna communities, Mar. Pollut. Bull., Vol. 97(1-2), pp. 381-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