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행정구역별 토양 탄소 변화량 산정
Calculation of Soil Carbon Chang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Regard to Land Cover Change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2 no.3, 2021년, pp.37 - 43  

추인교 (Depart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성연정 (Depart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쉬크샤 바스톨라 (Department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정영훈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토지피복의 변화에 따른 토양 탄소의 변화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토양탄소 모형가운데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모듈을 사용하였다. 토지피복은 토양 탄소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인자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전역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0년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토양 탄소의 총량을 비교하였으며, 각 행정구역별(시도)의 변화량을 산정하였다. 대한민국의 토지피복 변화는 주로 시가 및 건조지역의 증가와 초지의 감소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토양 탄소의 변화를 나타냈다. 대한민국의 총 토양 탄소 변화량은 10년 사이 11.48(million t)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토양탄소량은 대부분의 시도에서 감소를 나타냈으나, 예외적으로 제주도는 토양탄소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를 제외한 시도 중 감소량이 제일 적은 시도는 서울로 나타났으며, 감소량은 0.033(million t)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가장 많은 감소량을 보인 시도는 경북으로 총 2.893(million t)이 감소하였다. 제주도는 유일한 총 토양 탄소 증가 지역으로 0.547(million t)이 증가하였으며, 10년 사이 농업지역이 2.1배 증가함을 보였다. 토양탄소의 경우 전국단위의 실측 자료 구축이 부족함을 보이며, 추후 다중 모형을 이용하여 연계분석을 통해 검증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soil carbon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Among the various soil carbon models, the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module was used. LULC is one of the leading factors affecting soil carb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total amoun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행정구역별 토지피복의 변화로 인한 토양 탄소의 변화량을 산정하여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개발 정도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가 토양 탄소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표는 개발 정도에 따른 토지 피복 변화가 토양 탄소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른 모델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구동이 간단한 InVEST(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모델의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모듈을 사용하여 2000년도와 2010년의 토지피복변화에 대한행정구역별 토양탄소량을 산정하고 각 산정된 값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이로 인해 토지피복의 변화와 토양 탄소 변화량의 상관성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번째는 Carbon Pool 사이의 이동하는 탄소는 추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C_above에 저장된 탄소는 벌목 시 C_dead로 이동이 된다.
  • 크게 3가지를 말하고 있다. 첫째로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모듈은 모든 토지피복 범례 중 해당 토지피복 범례 내에서 측정된 스토리지 레벨의 평균과 동일한 고정 스토리지 레벨에 있다고 가정을 한다. 이러한 가정하에 시간경과에 따른 탄소 저장량의 유일한 변화는 토지 피복 범례에서 다른 범례로 변동하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동엽, 이창환 (2005), 토양탄소의 저장과 지구온난화 방지, Report 2005-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p. 3-8. 

  2. 김충기, 황상일, 안소은, 이현우, 윤정호, 명수정, 홍현정, 김윤정, 이지민, 천정윤, 박윤선, 김시진, 이현규, 김강선, 김도균 (2018),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지도구축 시범사업 I, 환경부. 

  3.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Energy (2018), Carbon Credits (Carbon Farming Initiative - Measurement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in Agricultural Systems) Methodology Determination 2018, Authorised Version F2018L00089. 

  4. Bastola, S., Lim, K. J., Yang, J. E., Shin, Y. C. and Jung, Y. H. (2019),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and the impacts on soil carbon storage on the Bagmati Basin of Nepal,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0, No. 12, pp. 33-39. 

  5. Bastola, S., Lee, S. H., Shin, Y. C. and Jung, Y. H. (2020),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s on the ecosystem services: study on the bagmati basin of Nepal, Sustainability, Vol. 12, No. 19, 8186. 

  6. Choi, J. Y. and Lee, S. D. (2020), Change of carbon fixation and economic assessmen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unset provision,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 7, No. 2, pp. 126-133 (In Korean). 

  7. Falloon, P., Smith, P., Bradley, R. I., Milne, R., Tomlinson, R., Viner, D., Livermore, M. and Brown, T. (2006), RothCUK - a dynamic modelling system for estimating changes in soil C form mineral soils at 1-km resolution in the UK. 

  8. Kwon, S. S., Choi, S. H. and Lee, S. D. (2012), Estimation of spatial-temporal net primary productivity and soil carbon storage change in the capital area of South Korea under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21, No. 5, pp. 757-765. 

  9. LI, K., Wang, S. and Cao, M. (2004), Vegetation and soil carbon storage in China, Science in China Ser. D Earth Sciences 2004, Vol. 47, No. 1, pp. 49-57. 

  10. Lee, C. H., Kwak, S. Y., Kim, C. K., Bae, H. J., Suh, Y. W., Ahn, S. E., Kang, W. M., Kim, G. E. and Shin, J. W. (2016), An integra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valuation, 2016-0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 22-51 (In Korean). 

  11. Lee, T. H., Kim, S. W., Shin, Y. C., Jung, Y. H., Lim, K. J., Yang, J. E. and Jang, W. S. (2019), Development of soil organic carbon storage estimation model using soi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61, No. 6, pp. 1-8 (In Korean). 

  12.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0), 2050 Netzero, https://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ld148881562#7 

  13. Park, H. J., Shin, H. S., Roh, Y. H., Kim, K. M. and Park, K. H.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5, No. 1, pp. 16-33 (In Korean). 

  14. Roh, Y. H., Kim, C. K. and Hong, H. J. (2016), Time-series changes to ecosystem regulating services in Jeju : focusing on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and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 Vol. 24, No. 2, pp. 29-44 (In Korean). 

  15. Sharp, R., Tallis, H. T., Ricketts, T., Guerry, A. D., Wood, S. A., Chaplin-Kramer, R., Nelson, E., Ennaanay, D., Wolny, S., Olwero, N., Vigerstol, K., Pennington, D., Mendoza, G., Aukema, J., Foster, J., Forrest, J., Cameron, D., Arkema, K., Lonsdorf, E., Kennedy, C., Verutes, G., Kim, C. K., Guannel, G., Papenfus, M., Toft, J., Marsik, M., Bernhardt, J., Griffin, R., Glowinski, K., Chaumont, N., Perelman, A., Lacayo, M., Mandle, L., Hamel, P., Vogl, A. L., Rogers, L., Bierbower, W., Denu, D. and Douglass, J. (2018), InVEST +VERSION+ User's Guide, The Natural Capital Projext, Stanford University, University of Minnesota, The Nature Conservancy, and World Wildlife Fund. 

  16. Son, Y. W. and Lee, S. H. (2001), Relationship between landuse change and soil carbon and nitrog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ol. 90, No. 3, pp. 242-248 (In Korean). 

  17. Tallis, H. and Polasky, S. (2009), Mapping and valuing ecosystem services as an approach for conservation and naturalresource manage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 1162, No. 1, pp. 265-283. 

  18. Wiesmeier, M., Urbanski, L., Hobley, E., Lang, B., von Lutzow, M., Marin-Spiotta, E., van Wesemael, B., Rabot, E., LieB, M., Garcia-Franco, N., Wollschlager, U., Vogel, H. J. and KogelKnabner, I. (2019), Soil organic carbon storage as a key function of soils - A review of drivers and indicators at various scales, Journal of Geoderma, Vol. 333, No. 1, pp. 149-16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