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만 한강 하구에서의 염 수송 메커니즘
Mechanisms of Salt Transport in the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3 no.1, 2021년, pp.13 - 29  

이혜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종욱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최재윤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윤병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우승범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해수의 유동에 관한 3차원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경기만 한강 하구에서의 염 수송에 대한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수치모델의 모의 기간은 갈수기와 홍수기를 포함하는 2020년 1월 20일부터 9월 20일까지 약 245일이며, 모델 결과와 관측 자료의 비교를 통해 해수의 유동 및 염분 변화에 관한 수치모델의 재현성을 입증하였다. 한강 하구에서 염의 교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염하수로의 북단과 남단 지역에 대해서 염 수송량(FS)을 산출하였다. 염 수송에 대한 발생 기작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FS를 담수 유입에 의한 염의 이류 수송(QfS0), 수평 및 수직적인 유속 차이에 의한 염의 확산 수송(FE), 조석 변동성을 가진 유속과 염분의 위상 차이에 의한 염의 수송(FT)으로 분해하였다. 갈수기와 홍수기의 월 평균 염 수송량에 의하면, 두 기간 모두 외해로부터 한강 하구 지역으로 유입되는 염의 대부분은 FT에 의하여 강화도 남부 수로를 통해 수송된다. 반면에, 한강 하구로부터 외해로 유출되는 염의 대부분은 QfS0에 의하여 영종도 동부 수로를 통해 수송된다. 한강 하구에서 평균적인 염의 수송은 갈수기 동안 FT에 의하여 한강 하구의 상류 방향으로 수송되며, 홍수기 동안 QfS0에 의하여 외해 방향으로 수송된다. 결과적으로, 경기만 한강 하구에서의 염 수송은 외해 방향의 수송을 발생시키는 QfS0와 한강 상류 방향의 수송을 발생시키는 FT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3-D hydrodynamic model is applied in the Han River Estuary system, Gyeonggi Bay,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salt transport. The model run is conducted for 245 days (January 20 to September 20, 2020), including dry and wet seasons. The reproducibility of the model about variation of current ve...

주제어

참고문헌 (15)

  1. Bowen, M.M. and Geyer, W.R. (2003). Salt transport and the time-dependent salt balance of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08(C5), 3158. 

  2. Chen, C., Beardsley, R.C., Cowles, G., Qi, J., Lai, Z., Gao, G. and Ji, R. (2013). An unstructured grid, finite-volume community ocean model FVCOM user manual. SMAST (p. 404). UMA-SSD Technical Report-13-0701, University of Massachusetts-Dartmouth. 

  3. Chen, C., Liu, H. and Beardsley, R.C. (2003). An unstructured grid, finite-volume, three-dimensional, primitive equations ocean model: application to coastal ocean and estuarie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0(1), 159-186. 

  4. Chen, C., Qi, J., Li, C., Beardsley, R.C., Lin, H., Walker, R. and Gates, K. (2008). Complexity of the flooding/drying process in an estuarine tidal-creek salt-marsh system: An application of FVCO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Oceans, 113 (C07052). 

  5. Choi, N.Y., Yoon, B.I., Kim, J.W., Song, J.I., Lim, E.P. and Woo, S.B. (2012). The relation of cross-sectional residual current and stratification during spring and neap tidal cycle at Seokmo channel, Han River estuary located at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3), 149-158 (in Korean). 

  6. Gong, W. and Shen, J. (2011). The response of salt intrusion to changes in river discharge and tidal mixing during the dry season in the Modaomen Estuary, China. Continental Shelf Research, 31(7-8), 769-788. 

  7. Kim, C.K. and Park, K. (2012). A modeling study of water and salt exchange for a micro-tidal, stratified northern Gulf of Mexico estuary. Journal of Marine Systems, 96, 103-115. 

  8. Lee, D.H., Yoon, B.I. and Woo, S.B. (2017).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 and spring-neap variation of residual current and net volume transport at the Yeomha chan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9(5), 217-227 (in Korean). 

  9. Lee, D.H., Yoon, B.I., Kim, J.W., Gu, B.H. and Woo, S.B. (2012). The cross-sectional mass flux observation at Yeomha channel, Gyeonggi Bay at spring tide during dry and flood seas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1), 16-25 (in Korean). 

  10. Lerczak, J.A., Geyer, W.R. and Chant, R.J. (2006). Mechanisms driving the time-dependent salt flux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36(12), 2296-2311. 

  11. Park, K., Oh, J.H., Kim, H.S. and Im, H.H. (2002). Case study: mass transport mechanism in Kyunggi Bay around Han River mouth, Kore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8(3), 257-267. 

  12. Wang, T., Geyer, W.R., Engel, P., Jiang, W. and Feng, S. (2015). Mechanisms of tidal oscillatory salt transport in a partially stratified estuary.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45(11), 2773-2789. 

  13. Willmott, C.J. (1981). On the validation of models. Physical Geography, 2(2), 184-194. 

  14. Yoon, B.I. and Woo, S.B. (2012). Relation of freshwater discharge and salinity distribution on tidal variation around the Yeomha channel, Han River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4(4), 269-276 (in Korean). 

  15. Yoon, B.I., Woo, S.B., Kim, J.W. and Song, J.I. (2015).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tidal regime using characteristics of astronomical tides, overtides and compound tides in the Han River estuary, Gyeonggi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7(3), 149-15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