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과 대구·경북지역의 일부 다중이용시설에서 흡연실 설치와 금연구역 정책 준수 수준 파악
A Study on the Status of Indoor Smoking Rooms and Compliance with Indoor Smoke-free Policy in Some Public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7 no.1, 2021년, pp.78 - 86  

유다은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박지영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이기영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김승원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nstallation rates and status of indoor smoking rooms in public facilities and to determine the level of compliance level with smoke-free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Methods: A visiting survey was condu...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과 대구·경북지역에서 다중이용시설 1,206곳을 방문하여 업종별 실내흡연실 설치현황을 파악하였다. 실내흡연실을 설치한 곳은 업종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이용시설의 실내흡연실 설치현황을 파악하고, 실내흡연실이 설치된 시설에서 국민건강증진법의 금연구역 정책 준수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또한, 방문시간을 사전고지 시 다중이용시설에서 금연구역 내 흡연자의 유무 및 실내흡연실의 특성 등의 조사내용을 조작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전정보 없이 방문하였다. 두 번째 PM2.5, 니코틴 등 간접흡연 지표물질들을 이용하여 흡연실의 영향을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사된 다중이용시설 중 37%가 흡연실을 완전히 밀폐하지 않고 사용하고 있었고 심지어 어린이 및 청소년 출입이 가능한 PC방 46%에서 금연구역에서 흡연을 목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JH, Kim TH, Hwang YH, Lee KY. Indoor PM2.5 concentrations in personal computer (PC) room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moke-free regulations in Seoul. J. Odor and Indoor Environ. 2015; 14(1): 1-6. 

  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Health Effects of Secondhand Smoke.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tobacco/data_statistics/fact_sheets/secondhand_smoke/health_effects/index.htm [accessed 2020 Mar 26]. 

  3. Brennan P, Buffler PA, Reynolds P, Wu AH, Wichmann HE, Agudo A et al. Secondhand smoke exposure in adulthood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never smokers: a pooled analysis of two large studies. Int J Cancer. 2004; 109(1): 125-131. 

  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Respiratory Health Effects of Passive Smoking: Lung Cancer and Other Disorders. Available from: https://www.epa.gov/sites/production/files/2014-09/documents/passive_smoke.pdf [accessed 2020 Mar 26]. 

  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Geneva: WHO press; 2003. 

  6. Nelson PR, Conrad FW, Kelly SP, Maiolo KC, Richardson JD, Ogden MW. Composition of environmental tabacco smoke(ETS) from international cigarettes and determination of ETS-RSP: particulate marker ratios. Environment International. 1997; 23(1): 47-52. 

  7. Kim YJ, Lee KY, Kim SW. Comparison of PM2.5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smoke-free policy in some indoor sports facilities in Seoul. J Environ Health Sci. 2018; 44(3): 267-274. 

  8. Lee KY, Hahn EJ, Robertson HE, Whitten L, Jones LK, Zahn B. Air quality in and around airport enclosed smoking rooms. Nicotine & Tobacco Research. 2010; 12(6): 665-668.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Health Statistics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KCDC press; 2018. 

  10. Kim HJ, Lee KY. Compliance of Indoor Smoke-free Regulation in Internet Cafes of Seoul, Korea. JKSRNT. 2016; 7(1): 12-18. 

  11. Huss A, Kooijman C, Breuer M, Bohler P, Zund T, Wenk S et al. Fine particulate matter measurements in Swiss restaurants, cafes and bars: what is the effect of spatial separation between smoking and non-smoking areas?. Indoor Air. 2010; 20(1): 52-60. 

  12. Pion M, Givel MS. Airport smoking rooms don't work. Tobacco Control. 2004; 13(1): 37-40. 

  13. Guak SY, Lee BR, Xu S, Lee KY, Lee DH. Pilot study of difference of secondhand smoke exposure at smoking and non-smoking nightclubs. J Environ Health Sci. 2014; 40(1): 10-16. 

  14. Yeom JS, Hwang YH, Seo SY, Kim TH, Lee KY. Comparison of PM 2.5 Concentrations in smoking and non-smoking areas by division system in coffee shops. J Environ Health Sci. 2011; 37(1): 44-49. 

  15. Guak SY, Lee KY, Kim SR, Kim SC, Yang WH, Ha KC. Impact of the smoke-free law on second-hand smoke in computer game rooms. J Environ Health Sci. 2015; 41(1): 11-16. 

  16. Hwang JH, Lee KY. Determination of outdoor tobacco smoke exposure by distance from a smoking source. Nicotine Tobacco Research. 2014; 16(4): 478-484. 

  17. Lee SG. Smoke-free Regulation in England.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 161: 104-111. 

  18. European Commission. Overview of smoke-free legislation and its implementation in the EU.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