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물옵션을 활용한 새만금 수상태양광 투자사업의 수익성 분석
Real Options Analysis for the Investment of Floating Photovoltaic Project in Saemangeu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2 no.1, 2021년, pp.90 - 97  

김경석 (원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개발은 1987년부터 30년간 정부가 농업, 경제와 관광지역으로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국책사업이다. 우리나라는 원자력과 화력에 의존하던 전력원을 탄소저감을 위해서 친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민관사업으로 우리나라 최대규모인 4.6조원을 투자하여 2.1GW의 수상태양광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새만금 수상태양광 프로젝트가 성공하려면 경제적 타당성을 확인해야 한다. 본 연구는 수상태양광사업의 변동성 요소들(건설비용, 전기판매가격, 발전량과 유지관리비용)을 정의하고, 20년간 운영하는 동안 수익의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불확실성으로 수익이 악화가 예상될 때 포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는 포기옵션을 적용하여 프로젝트의 옵션가치를 구했다. NPV분석에 의하면 투자가 어려운 프로젝트가 옵션분석에 의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투자사업의 의사결정권자가 실물옵션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수상태양광프로젝트의 경제성분석에 불확실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emangeum Development is the largest national project in South Korea, which has been developed for an agricultural, economic and tourist area for 30 years from 1987. In order to convert power sources that used to depend on nuclear and thermal power to eco-friendly for carbon reduction, the governm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통적인 경제성분석방법인 순 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기법의 산정은 Eq. (2) 과같이 경제성평가를 수행할 프로젝트기간 동안의 이자율을 고려한 총수익에서 총비용을 차감하여 수익성을 검토한다. NPV값이 음의 수가 나오면 경제적 타당성이 없으며, 양수 즉, 0보다 큰 경우 경제적 타당성이 있다고 판단하며, NPV 값이 상대적으로 큰 값이 나올수록 수익성이 좋다.
  • 따라서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발전수익을 통해서 새만금지역의 다른 개발을 촉진하고자 한다. 셋째, 태양광은 어디든지 쉽게 설치가 가능하지만, 대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함으로 발생할 수 있는 지역주민의 민원이 주거지역과는 먼 해상에 설치가 가능함으로서 지역주민의 불만을 낮출 수가 있다.
  • 본 연구는 새만금사업 중 수상태양광사업의 사업 타당성을 경제적 측면에서 검토함에 있어서 수상태양광사업의 매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를 정의하고 변동성을 분석하여 유사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자들에게 투자결정에 있어서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수상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게 정책을 입안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지상태양광 발전프로젝트와는 다르게 해상태양광의 특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새만금사업 중 수상태양광사업의 사업 타당성을 경제적 측면에서 검토함에 있어서 수상태양광사업의 매출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를 정의하고 변동성을 분석하여 유사한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의사결정자들에게 투자결정에 있어서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수상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하고자 하는 중앙정부나 지방정부에게 정책을 입안하는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인 4.6조원을 투자하여 2.1GW 시설용량의 새만금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사업에 대한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20년 동안 운영하는 동안 프로젝트 매출 수익의 변동성을 계산하고, 실물옵션 기반 경제성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본 연구는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의 환경적 문제점 보다는 경제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투자의 착안점을 찾고자 한다.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을 본격으로 추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전력시장을 고려하여 수상태양광사업의 변동성을 분석하여 투자분석을 하고자 한다.
  • 원자력과 화력에 의존하던 우리나라 전력원을 탄소저감을 위한 친환경으로 전환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신재생에너지원 중 하나인 태양광발전소를 크게 만들고 새만금 지역에 관련 사업을 육성하고자 한다(SDIA, 2020). 둘째, 수상태양광의 경우 지상 태양광보다 높은 전기판매가격을 받을 수 있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수상태양광발전사업의 역사가 오래 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과 안전성 문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는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의 환경적 문제점 보다는 경제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투자의 착안점을 찾고자 한다. 수상 태양광발전사업을 본격으로 추진한지 얼마 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전력시장을 고려하여 수상태양광사업의 변동성을 분석하여 투자분석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4)를 활용하여 옵션값(포기옵션가치)을 계산하였다. 만약 포기하게 되면 수상태양광발전소으로 부터의 수익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물론 실제로는 기설치 된 시설물을 팔거나 사업을 양도하여 수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프로젝트 개요는 에 설명되었으며, 아직 정해지지 않은 일부 내용은 분석을 위해서 가정하였다.
  • 그간 여러 연구로 검증된 옵션분석기법 공식들과 이항격자모형을 본 프로젝트 사례에 적용하여 경제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일사량, 태양광 발전으로 인한 전기판매금액의 구성요소인 SMP, REC 와 인플레이션 등의 재무적 자료들은 과거 실제자료를 기반으로 가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지관리비용, 할인율, 무위험이 자율과 발전효율 등 관련 자료들은 태양광 사례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가정하였다. 설치 예정인 2.
  • 새만금 수상태양광사업에 적용한 물가상승률(3.4%), 할인율(10%), 무위험이자율(5%), 매년 필요한 운영 및 정비비용(매출액의 1.5%)은 과 같이 가정을 하였다.
  • 그러나 일조시간 내내 태양광발전을 할 수 있지는 않으며, 그늘, 먼지, 구름, 눈, 비의 기후적인 영향과 환경오염, 태양광발전시설의 효율 등에 의해서 발전할 수 있는 시간은 줄어든다. 새만금의 수상태양광의 경우 종합효율계수 0.7을 적용하여 4.33시간을 일조시간으로 가정하였으며, 발전량 계산과정의 설비 및 기계적인 효율은 0.75로 가정하였다. 수상 태양광에서 생산된 전력은 한국전력거래소를 통해서 판매를 하게 된다.
  • 무위험이자율은 1997 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나라 국고채3년물의 평균값 5%를 적용하였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운영 및 정비비용은 태양광발전의 경우 1% 유지관리비용을 적용하나(Kang et al., 2017), 본 사례연구의 경우 해상에서 정비작업이 이뤄짐을감안하여 연간 매출액의 1.5%로 가정하였다. 전기판매가격 SMP와 REC는 한국전력거래소 자료의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자료<Table 2>의 평균값을 구해서 적용했으며, REC는신재생에너지발전사업을 양성하고자 정부에서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보조금의 성격이다.
  • 프로젝트 기간은 새만금개발청이 계획하고 있는 설계 및 건설 기간 5년이다. 운영기간은 통상적으로 태양광모듈의 수명인 20년으로 태양광발전설비의 운영기간을 20년으로 가정하였다(Kang et al., 2017).
  •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할당제도를 통해 정부의 의지대로 많은 신재생에너지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곧 신재생에너지발전단가와 화석연료발전단가가 같아지는 시기가 도래하면 정부의 REC제도가 폐지가 예상됨에 따라 REC는 10년간만 지급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과거에도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로 생산한 전력을 정부가 고정된 가격으로 구입해주는 제도인 발전차액제도(Feed-in Tariff; FIT)를 재정부담으로 2011년 폐지한 경우가 있다.
  • 본 연구의 프로젝트 개요는 <Table 1>에 설명되었으며, 아직 정해지지 않은 일부 내용은 분석을 위해서 가정하였다. 투자금액(4조 6천억원)은 5년간 균등하게 매년 0.92조씩 투자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1GW의 시설용량을 기반으로 모의된 현금흐름을 활용하여 전통적인 경제성 분석 방법인 NPV값 계산하고, 발전사업 수익의 변동성을 산정하였다. 투자기간 5년을 포기할 수 있는 옵션권리를 가지는 있는 기간으로 가정하고, 포기옵션을 적용하여 프로젝트의 옵션 가치를 계산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옵션가치 분석결과 경제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8%를 적용한다(Cho & Lee, 2018). 하지만, 수상태양광의 성능감소율이 육상보다는 적다는 Park et al. (2019)연구가 있음을 고려하여 0.5%로 가정하였다. 프로젝트 기간은 새만금개발청이 계획하고 있는 설계 및 건설 기간 5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 S., and Lee, S. (2018). "Calculation of photovoltaic market potential and analysis of implementation cost considering regional economics."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Ulsan Metropolitan City. 

  2.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2010). "Projected Costs of Generating Electricity."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aris, France. 

  3. Kang, S., Jeon, Y., Cho, S.H., Lee D., and Jeon, E.C. (2017). "Economic Evaluation of Unused Space PV System Using the RETScreen Model - A Case Study of Busan, Gangseo-gu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8(1), pp. 21-30. 

  4. Kim, K., and Oh, S. (2017). "Economic Assessment for Flood Control Infrastructure under Climate Change : A Case Study of Imjin River Basi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2), pp. 81-90. 

  5. Kim, K. (2017). "Review of Real Options Analysis for Renewable Energy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2), pp. 91-98. 

  6. KMA (2020). Climate Scenarios of Kore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Seoul, South Korea. 

  7. Kodulula, P., and C. Papudesu (2006). Project Valuation Using Real Options: A Practitioner's Guide, J. Ross Publishing Co., Fort Lauderdale, FL. 

  8. Korea Energy Agency (KEA) (2020). "RPS of Renewable Energy." https://www.knrec.or.kr/business/rps_guide.aspx, (Accessed Jul. 20, 2020). 

  9. Lee, S.H., and Cho, I.H. (2018).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policy change and market analysis." Korea Energy Economic Institute, Ulsan, South Korea. 

  10. Lee, S.H., Lee, N.H., Choi, H.C., and Kim, J.O. (2012). "Study on Analysis of Suitable Site for Development of Floating Photovolta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26(7), pp. 30-38. 

  11. Mayer, C., Breun, P., and Schultmann, F. (2017). "Considering risks in early stage investment planning for emission abatement technologies in large combustion plant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42, part1, pp. 133-144. 

  1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OTIE) (2019). "The world's largest floating photovoltaic business in Saemangeum" https://www.motie.go.kr/motie/ne/presse/press2/bbs/bbsView.do?bbs_seq_n161921&bbs_cd_n81, (Accessed Jul. 11, 2020). 

  13. Noh, T.H., and Lee, H.S. (2019).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on Project Fact Check.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KEI), Sejong, South Korea. 

  14. Park, J.H., Lee, H.D., Tae, D.H., Marito Ferreira and Rho, D.S. (2019). "A Study on Disposal Diagnosis Algorithm of PV Modules Considering Performance Degradation Rat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pp. 493-502. 

  15. REN21 (2020). Renewables 2020 Global Status Report. REN21 Secretariat, Paris, France. 

  16. Saemangeum Development and Investment Agency (SDIA) (2020). Introduction of Saemangeum, Available From:http://www.saemangeum.go.kr, (Accessed Jul. 11, 2020). 

  17. World Bank (2020).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and Data Files, Available From: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FP.CPI.TOTL.ZG., (Accessed Jul. 1, 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