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부구조와 전파 입사각에 따른 원전용 디지털 모듈 보관 캐비닛의 차폐효과 분석
Shielding 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Digital Module Storage Cabinet for Nuclear Power Plants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and the Angle of EM wave Incidence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1, 2021년, pp.1 - 8  

윤상운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  장도영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  추호성 (홍익대학교 전자전기공학과) ,  김영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이준용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외부 전파원과 내부 디지털 모듈의 배치 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차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FEKO EM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캐비닛과 모듈을 모델링하였으며, 캐비닛의 유무에 따른 전계값을 통해서 차폐효과 분포를 도출하였다. 차폐효과는 2.4 GHz 주파수에서 캐비닛에 대한 입사각, 편파 그리고 모듈의 간격에 따라 관찰하였다. 결과 검증을 위해 차폐효과 측정용 다이폴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고 이를 활용해 캐비닛의 차폐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캐비닛 구조는 입사되는 전파의 편파가 지면에 수평하고, 디지털 모듈간의 간격이 넓을 때 더 높은 차폐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he cabinet shielding effectiveness (SE) including digital modules for nuclear power plants is analyzed depending on the internal structure and electromagnetic (EM) wave incidence angle. To analyze the SE, the cabinet and modules are modeled using the FEKO EM simulation tool. The SE 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캐비닛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전계 분포를 모두 확인하고 두 값의 비율을 통해서 차폐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WI-FI, Bluetooth, ZigBee[10-12] 등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인 2.4 GHz 주파수에서 분석하였으며, 송신안테나는 캐비닛의 전면부로부터 d = 1 m 거리에 위치하였고, 내부 전계 분포는 캐비넷 바닥면으로부터 h = 0.2 m 높이에서 확인하였다. 입사되는 전자파의 방향은 캐비닛의 정면방향으로 제한하지 않고 0° ~ 180° 까지 변화하며 관측하였고, 편파 조건 또한 지면에 수직한 편파와 지면에 수평한편파로 경우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 캐비닛 구조에 의한 차폐효과 값을 얻기위해 먼저 디지털 모듈만 배치하여 모듈 내부에 입사되는 전계값을 획득하였다. 그 다음 캐비닛 내부에 디지털 모듈을 배치하여 모듈 내부 전계값을 얻고 두번의 측정으로 얻은 전계값의 비율을 통해 차폐효과값을 도출했다. 차폐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캐비닛의 유무를 제외한 모든 외부 환경은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 캐비닛 및 내부에 배치된 디지털 모듈의 형상 모델링 및 차폐효과 분석은 FEKO EM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9], 캐비닛 내부의 디지털 모듈 배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사용되는 실제 모듈의 배치 위치를 반영하였다. 또한 전자파의 입사방향을 캐비닛의 정면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입사 방향과, 편파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 그림 5(b)는 모듈간의 간격 gm변화함에 따라 나타나는 캐비닛 내부 평균 차폐효과를 보여준다. 모듈의 간격은 24 mm부터 120 mm까지 24 mm 간격으로 증가시키면서 분석하였다. 모듈의 간격이 24 mm로 가장 좁은 배치일 때 –17.
  • 본 논문에서는 실원전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의 전자파 차폐효과를 전파가 입사되는 방향과 내부 디지털 모듈의 배치의 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전파원의 편파에 따라 차폐효과를 분석한 결과 수직편파의 경우는 전파의 입사각에 따라 –14.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원전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모듈을 포함하는 캐비닛에 대하여 캐비닛 내부구조 배치와 전자파의 입사각에 따른 차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캐비닛 및 내부에 배치된 디지털 모듈의 형상 모델링 및 차폐효과 분석은 FEKO EM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9], 캐비닛 내부의 디지털 모듈 배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사용되는 실제 모듈의 배치 위치를 반영하였다.
  • 결과에 따르면 철제 캐비닛을 활용해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전파 차폐효과는 디지털모듈의 간격이 넓고 입사파의 편파가 지면에 수평할때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들을 측정을 통해 검증하기 위해 정합밸런, 다이폴 방사체, SMA 커넥터를 사용하여 2.4 GHz 주파수에 동작하는측정 안테나를 제작하였다. 측정위치 1에서는 정면 방향에서 전자파가 입사될 때 가장 낮은 –14.
  • 2 m 높이에서 확인하였다. 입사되는 전자파의 방향은 캐비닛의 정면방향으로 제한하지 않고 0° ~ 180° 까지 변화하며 관측하였고, 편파 조건 또한 지면에 수직한 편파와 지면에 수평한편파로 경우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 4 GHz) 높은 위치에 배치되었다. 캐비닛 구조에 의한 차폐효과 값을 얻기위해 먼저 디지털 모듈만 배치하여 모듈 내부에 입사되는 전계값을 획득하였다. 그 다음 캐비닛 내부에 디지털 모듈을 배치하여 모듈 내부 전계값을 얻고 두번의 측정으로 얻은 전계값의 비율을 통해 차폐효과값을 도출했다.

대상 데이터

  • 안테나는 SMA 포트를 통해 급전된다. 급전부로부터 불균일하게 흐르는 전류에 의한 패턴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 주파수인 2.4 GHz에서 동작하는 정합밸런 (Mini-Circuit사의 CD542)을 사용하였다. 정합밸런은 회로기판위에 다이폴 소자와 함께 놓여진다.

이론/모형

  • 측정결과와 비교하였다. 캐비닛 및 내부에 배치된 디지털 모듈의 형상 모델링 및 차폐효과 분석은 FEKO EM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9], 캐비닛 내부의 디지털 모듈 배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사용되는 실제 모듈의 배치 위치를 반영하였다. 또한 전자파의 입사방향을 캐비닛의 정면 방향으로 입사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입사 방향과, 편파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A. Scerbo, S. N. Satpute, J. Y. Donkin, and R. A. Reister, "Safety system augmentation at Russian nuclear power plants," IEEE Trans. Nucl. Sci. vol. 44, 1997, pp. 1022-1026. 

  2. J. Chen, J. Klein, Y. Wu, S. Xing, R. Flammang, M. Heibel, and L. Zuo, "A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system for powering wireless sensors in nuclear power plants," IEEE Trans. Nucl. Sci. vol. 63, 2016, pp. 2738-2746. 

  3. V. Agarwal, J. W. Buttles, L. H. Beaty, J. Naser, and B. P. Hallbert, "Wireless online position monitoring of manual valve types for plant configuration management in nuclear power plants," IEEE Sensors J. vol. 17, 2017, pp. 311-322. 

  4. J. Choo, C Jeong, and J. Choo, "Transverse electric scattering of open cabinet in nuclear power plants," IEEE Antennas Wirel. Propag. Lett., vol. 15, 2016, pp. 1206-1207. 

  5. H. H. Park and H. J. Eom, "Electromagnetic penetration into 2-D multiple slotted rectangular cavity: TM-wave,"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48, no. 2, 2000, pp. 331-333. 

  6. J. Choo, J. E. Park, H. Choo, and Y. H. Kim,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aused by parasitic electric-line current on a digital module in a closed cabinet," IEEE Access, vol. 7, 2019, pp. 59806-59812. 

  7. H. Herlemann and M. Koch, "Measurement of the transient shielding effectiveness of shielding cabinets," Advances in Radio Science, vol. 6, 2008, pp. 293-298. 

  8. D. Senic, A. Sarolic, and V. Roje, "GTEM cell setup and method for measuring shielding effectiveness of resonant enclosures," Int. Symp.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Europe, 2011, pp. 192-197. 

  9. FEKO EM Simulation Software, Altair Engineering Inc., 2020. [Online]. Available: http://www.altair.co.kr. 

  10. D.-H. Ryu and T.-W. Choi, "Development of the Compact Smart Device for Industrial IoT," J. of 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ciences, vol. 13, no. 4, 2018, pp. 751-756. 

  11. J.-C. Lee, Y.-J. Jang, and T.-H. Hwang, "Smart Flying-Disc Monitoring System with IoT Technology," J. of 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ciences, vol. 14, no. 5, 2019, pp. 991-1000. 

  12. S.-S. Park, S.-W. Kwak, and J.-M- Yang, "Implementation of Wireless Measurement System for Tire Deformation," J. of 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ciences, vol. 15, no. 4, 2020, pp. 671-6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