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외선과 초음파 센서로 측정한 순천만 이산화탄소 변동
Carbon Dioxide Fluctuation in Suncheon Bay Measured by Infrared and Ultrasonic sensor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1, 2021년, pp.157 - 164  

김상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김민성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이경훈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권병혁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  윤홍주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순천만 갯벌에서 3차원 초음파풍속계로 바람과 기온을 측정하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증가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고, 기온이 감소하면 이산화탄소도 감소한다. 그러나 일몰 직후에는 광합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온이 감소함에도 이산화탄소 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갯벌이 해수로 덮이게 되는 고조기에는 기온 증가에도 불구하고 대기 난류가 강하게 나타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농도 변화에 미치는 갯벌 생태계의 광합성과 호흡 그리고 대기 난류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nd and temperature were measured with a three-dimensional ultrasonic anemometer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using an infrared sensor in the tidal flat of Suncheon Bay. In general,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creases, and as the tempera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공 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크리깅을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고조기에는 공간관측이 불 가하기에 약 4시간 동안 지점 관측을 수행하여 농도 변화를 수집하였다. 지점 관측은 2020년 11월 7일 12 시부터 16시까지 수행하였다
  • 공간관측은 일몰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18시와 일출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07시에 수행되었다. 공 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크리깅을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고조기에는 공간관측이 불 가하기에 약 4시간 동안 지점 관측을 수행하여 농도 변화를 수집하였다.
  • 국립해양조사원1)의 고조기 시간 예보 자료를 이용하여 갯벌 환경을 조사하였다. 관측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인 여호항(전남 고흥군 점암면 여호리)을 기준으로 고조기를 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조기에는 갯벌 근처에서, 저조기에는 무인 이동체(UGV: Unmanned Ground Vehicle)을 이용 해 갯벌 접근성을 높여서 이산화탄소와 미기상인자를 관 측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생태 인자와 미기상학 인자로 분석하였다.
  • 순천만 갯벌에서 고정관측 및 공간관측을 통해 이 산화탄소 농도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 인자와 미기상학 인자를 조사하였다. 기온이 증가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도 증가하지만, 갯벌 대기에서는 주변 환경에 따라 이와 반대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 그런 다음 FPI의 측정 파장이 기준 대역(흡수선 없음)으로 변경되고, IR 감지기는 완전한 광 투과를 확인한다. 이 두 신호의 비율은 가스의 빛 흡수 정도를 나타내며, 가스 농도에 비례하고 이 원리 로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조기에는 갯벌 근처에서, 저조기에는 무인 이동체(UGV: Unmanned Ground Vehicle)을 이용 해 갯벌 접근성을 높여서 이산화탄소와 미기상인자를 관 측하였다.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원인을 생태 인자와 미기상학 인자로 분석하였다.
  • 일출·일몰 시간의 이산화탄소 농도 분석, 고조기 전후의 이산화탄소 농도 분석 그리고 이산화탄소 플 럭스의 일 변화 분석이 수행되었다. Fig.
  • 1의 (a)와 (b)는 순천만 내 관측지의 위치와 공간관측 순서이고, (c)와 (d)는 관측 수행 중인 무인 이동체와 미기상인 자·이산화탄소 자동관측시스템이다. 일출과 일몰 직후 갯벌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측정을 위하여 UGV를 이용하여 스무 지점에서 각각 1분씩 측정을 수행하였다. 공간관측은 일몰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18시와 일출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07시에 수행되었다.
  • 일출과 일몰 후 바닷물이 빠져서 갯벌이 드러난 환 경 조건에서 UGV를 이용한 접지층 공간관측을 수행하였다. 일출시각과 일몰시각의 약 30분 뒤 관측을 시 작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일출과 일몰 직후 갯벌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측정을 위하여 UGV를 이용하여 스무 지점에서 각각 1분씩 측정을 수행하였다. 공간관측은 일몰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18시와 일출 직후인 2020년 11월 8일 07시에 수행되었다. 공 간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크리깅을 통해 이산화탄소 농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 관측 지역은 순천만(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농주리) 에 위치한 갯벌이다. 노을이 아름다워 찾는 사람이 많 고, 갯벌 주변에 산책로도 조성되었다.
  • 국립해양조사원1)의 고조기 시간 예보 자료를 이용하여 갯벌 환경을 조사하였다. 관측에서 가장 가까운 지역인 여호항(전남 고흥군 점암면 여호리)을 기준으로 고조기를 결정하였다
  •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와 기온 관측은 GMP343 관측기기를 이용하였다. GMP343은 프루브(Probe) 유 형의 장비로 이산화탄소 감지기, 전자장치 그리고 장 기간 야외 관측에 적합한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 고조기에는 공간관측이 불 가하기에 약 4시간 동안 지점 관측을 수행하여 농도 변화를 수집하였다. 지점 관측은 2020년 11월 7일 12 시부터 16시까지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2001: Synthesis Repor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pp. 397. 

  2. J. Guarini, F. Blanchard, Ph. Gros, and S. Harrison, "Modelling the mud surface temperature on intertidal flats to investigate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the benthic microalgal photosynthetic capacity,"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vol. 153, 1997, pp. 25-36. 

  3. L. Zhou, G. Zhou, and Q. Jia, "Annual cycle of CO 2 exchange over a reed (Phragmites australis) wetland in Northeast China," Aquatic Botany, vol. 91, 2009, pp. 91-98. 

  4. D. Kim, "Greenhouse gas(CH 4 , CO 2 , N 2 O) emissions from estuarine tidal and wetland and their characteristics," J.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3, 2007, pp. 225-241. 

  5. D. Kang, S. Kim, B. Kwon, and I. Kim, "Observations of variations in soil organic carbon and carbon dioxide in the constructed wetland at Goheung Bay," J.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ol. 20, 2008, pp. 58-67. 

  6. D. Kang, B. Kwon, and P. Kim, "CO 2 respiration characteristics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coastal ecosystem in Suncheon Bay,"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vol. 19, 2010, pp. 217-227. 

  7. D. Kang, B. Kwon, H. Yu, P, Kim, and G. Kim,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of CO 2 fluxes between surface and atmosphere in foreshore, paddy field and woods sites," J.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vol. 20, 2011, pp. 963-975. 

  8. D. Kang, B. Kwon, and P. Kim, "Variation analysis of CO 2 concentrations at sunset before and after of summer season at the foreshore," J.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vol. 23, 2014, pp. 399-407. 

  9. Y. So, D. Kang, B. Kwon, and P. Kim, "Seasonal variations of CO 2 concentration and flux in vegetation and non-vegetation environments on the Muan tidal flat of Hampyong Bay," J. of Wetlands Research, vol. 21, 2019, pp. 257-266. 

  10. M. Kim, B. Kwon, and H. Yoon, "Estimation of Surface Layer Heat Flux Using the UHF Sensor Installed on UAV,"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3, no. 1, 2018, pp. 265-275. 

  11. D. Kang, W. Jo, Y. Yun, H. Yu, S. Jang, D. Kim, J. Park, Y. Song, and Y. Choi, "Research for Carbon Dioxide Fluctuation using Drone above the Mud Flat and Reed Beds in the Suncheon Bay," J. of Environmental Sciences International, vol. 29, no. 7, 2020, pp. 703-713. 

  12. P. Kim, "Characteristics of heat and CO 2 fluxes on a tidal flat in Suncheon bay, Korea,"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012, pp. 86. 2 플럭스의 특성"입니다. 메일로 나왔던 논문 첨부드립니다. 

  13. V. Oyj, "User's Guide(Vaisala CARBOCAP Carbon Dioxide Probe GMP343)," Report, 2013, pp. 91. 

  14. B. Kwon, B. Benech, D. Lambert, P. Durand, and A. Druilhet, "Structure of the marine atmospheric boundary layer over an oceanic thermal front : SEMAPHORE experiment," J.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3, no. C11, 1998, pp. 25159-25180. 

  15. H. Guo, A. Noormets, B. Zhao, J. Chen, G. Sun, Y. Gu, B. Li, and J. Chen, "Tidal effects on net ecosystem exchange of carbon in an estuarine wetland," J.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149, 2009, pp. 1820-1828. 

  16. S. Kim, B. Kwon, K. Kim, P. Kim, M. Kim, W. Jo, and H. Yoon, "Case Study on the Mixed Layer Development using the UHF Radio Sounding,"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3, no. 1, 2018, pp. 253-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