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국가 R&D 연구성과 분석: NTIS와 Web of Science 데이터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R&D Performance by Gender: Focusing on NTIS and Web of Science Data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6 no.1, 2021년, pp.165 - 174  

최현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데이터 및 HPC 과학) ,  윤빛나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박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권오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국가 R&D 연구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Web of Science에 수록된 1990년부터 2018년까지 과학기술분야 SCI 등재 논문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2007년~2016년까지 10년간의 국가R&D 성과 논문을 매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평균 피인용 횟수, Time-lag, Impact factor의 세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성별에 따른 과학기술분야 연구성과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구성과의 전반적인 지형은 여전히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남녀 간의 주요 연구성과를 구성하는 주제분야의 차이 역시 매우 두드러졌다. 한편, 10개 주제분야를 대상으로 한 피인용 횟수와 Impact factor에서는 여성 연구자의 연구성과 피인용 횟수 및 Impact factor가 더욱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national R&D research outcom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mapping WoS SCI(E) papers from 1990to 2018 and NTIS R&D papers from 2007 t0 2016.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0년간의 방대한 양의 논문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녀 연구자 간의 국가 R&D 성과를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재 시행중인 여성 과학기술 연구자의 인력 활용 정책의 성과를 파악하고 추후 국가R&D 인력 확보·배치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다수의 남성과 소수의 여성이 공존하는 과학기술분야의 환경적 특성을 바탕으로, 연구과제 책임자의 성별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 국가 R&D 성과, 특히 논문 형태의 연구성과에 실제 차이가 존재하는지, 만약 존재한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과학계량학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학계량학(Scientometrics)이란 방대한 과학 문헌을 바탕으로 키워드분석, 인용분석, 저자분석 등정량적 기법을 활용하여 과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R. Cole and H. Zuckerman, "The Productivity Puzzle: Persistence and change in Patterns of Publication of Men and Women Scientist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 2, 1984, pp. 217-258. 

  2. H. Cho and Y. Kim, "Gendered Collaboration Network in Science and Technology Professions," Th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vol. 39, no. 6, 2005, pp. 119-158. 

  3. 'Ministry of Science and ICT, "Report on the Status of Women in Science, Engineering & Technology" Annual Report, Feb. 2020. 

  4. C. Park, "Gender, Cohort, and Organizational Factor Effects on Scientific Research Outcomes: Focused on Biochemists," Korea J. of Population Studies, vol. 30, no. 1, 2007, pp. 97-124. 

  5. M. Kim, "Scientometric Analysis through Centrality Analysis of Graph for Linkage Relation of Keyword for Elder's Rehabilitation and Healthcar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14, no.2, 2019. pp.447-452. 

  6. Y. Koo, "Analysis on Big data, IoT,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Keyword Network,"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15, no.6, 2020. pp.1137-1144. 

  7. L. Guiso, F. Monte, P. Sapienza, and L. Zingales, "Culture, Gender, and Math," Science, vol. 320, no. 5880, 2008, pp. 1164-1165. 

  8. S. J. Correll, "Gender and the career choice process: The role of biased self-assessments,." American j. of Sociology, vol. 106, no. 6, 2001, pp. 1691-1730. 

  9. D. Jang, J. Yang, and Y. Choi, "Comparison of Research Funding Scale and Research Performance Between Male and Female Researchers," The Korean J.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18, no. 3, 2009, pp. 97-124. 

  10. P. V. D. Besselaar and U. Sandstrom, "Gender differences in research performance and its impact on careers: a longitudinal case study," Scientometrics, vol. 106, no. 1, 2016, pp. 143-162. 

  11. Y. Xie and K. A. Shauman, "Sex Differences in Research Productivity: New Evidence about an Old Puzzl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3, no. 6, 1998, pp. 847-870. 

  12. M. Lee and C. Lee, "Developments of Evaluation System for Qualitative Performance Measurement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by Article Citation Method," J.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9, no. 4, 2016, pp. 768-798. 

  13. C. Park and B. Ku, "An Analysis of Distributed Lag Effects of Expenditure by Type of R&D on Scientific Produc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Program," J.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9, no. 4, 2016, pp. 687-7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