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ecturer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on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Video Lectur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3, 2021년, pp.107 - 114  

태효하 (형태대학교 교육학과) ,  제혜금 (전주대학교 경영학과) ,  김보경 (전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이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형태대학교 18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DISC 행동유형을 분류한 후 교수가 출연과 마출연 동영상에 배정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이후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을 측정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가 출연하는 강의동영상을 학습한 집단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 출연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교수자 출연의 효과는 유의하였고, 학습자 행동유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둘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강의동영상은 교수자가 출연하는 것이 좋으며, 교수실재감을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행동유형의 상호작용효과를 고려하여 교수자 출연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learning flow and teaching presence according to the lecturer's appearance and students' behavioral patterns in video learning. For this experiment, 183 freshmen from Xingtai University in China were selected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강의 동영상 내 교수자의 출연 여부가 학습자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교수자 출연이 학습몰입과 교수실 재감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과 학습자 유형이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수립하는데 본 연구결과가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으로 본다.
  • 셋째,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 여부가 학습자 행동유형에 따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 첫째, 중국 대학생의 동영상 학습에서 교수자 출연 여부가 학습몰입과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 S. Kim & M. H. Lee (2019). Perception on Online Learning of Faculty Members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3), 845-867.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13.845 

  2. Y. J. Lee & K. L. Cho. (2018). Research on Learners' Experiences in K-MOOC: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4), 991-1017. http://dx.doi.org/10.17232/KSET.34.4.991 

  3. K. Chorianopoulos & M. N. Giannakos. (2013). Usability design for video lectures. In Proceedings of the 11th European Conference on Interactive TV and Video. ACM. 

  4. M. N. Llioudi, A. Lazakidou, & M. Tsironi. (2010).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better patient self management and self-efficacy,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Healthcare, 5(4), 327-339. DOI:10.1504/IJEH.2010.036205 

  5. P. Ayres & F. Paas. (2007). Making instructional animations more effective: a cognitive load approach,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21(6), 811-820. https://doi.org/10.1002/acp.1343 

  6. R Moreno, R. E. Mayer, H. A. Spires & J. C. Lester. (2001). The case for social agency in computer-based teaching: do students learn more deeply when they interact with animated pedagogical agents?. Cognition and Instruction, 19(2), 177-213. DOI: http://dx.doi.org/10.1207/S1532690XCI1902_02 

  7. J. L. Plass, R. Moreno & Brunken. (2010). R. (Eds.). Cognitive load theory.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http://dx.doi.org/10.1017/CBO9780511844744 

  8. S. Y. Shin. (2019). An analysis of difference in team-based learning composed based on DISC behavior patterns on learning attitude, team task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job strategy clas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Busan. 

  9. C. Gunawardena & F. Zittle. (1997). Social presence as a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in a computer mediated conferencing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1(3), 8-26. https://doi.org/10.1080/08923649709526970 

  10. C. Frechette & R. Moreno. (2010). The roles of animated pedagogical agents' presenc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multimedia learning environments. Journal of Media Psychology, 22(2), 61-72. https://doi.org/10.1027/1864-1105/a000009 

  11. P. C. Liu. (2019). A study on the effect of Mooc video presentation mode on learning effect. Xi'an Technological University. Master's thesis, Wuhan, China. 

  12. E. M. Cho & A. N. Han. (2010). The Effect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Online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6(1), 23-43. UCI: G704-000750.2010.16.1.006 

  13. Zh. L. Pi.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video announcer expression on learning effect and the mechanism. Central China Normal University, Master's thesis, Wuhan, China. 

  14. L. Li. (2019). The effect of teacher's hand gestures and eye-opening on learner's learning in teaching video. Central China Normal University, Master's thesis, Wuhan, China. 

  15. C. K. Friesen, J. Ristic & A. Kingstone. (2004). Attentional effects of counter-predictive gaze and arrow cu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0(2), 319-329. https://doi.org/10.1037/0096-1523.30.2.319 

  16. N. C. Kramer & G. Bente. (2010). Personalizing e-learning: the social effects of pedagogical agen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2(1), 71-87. https://doi.org/10.1007/s10648-010-9123-x 

  17. K. Y. Kim. (2005). study on the effects of lecturer's image on receiver's attitude and educational result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Seoul. 

  18. Z. L. Pi, Y. Zhang & J. M. Yang. (2019). Effects of teacher gestures on video learning and its cognitive neural mechanism. China audio visual education, 4, 103-110. DOI:10.3969/j.issn.1006-9860.2019.04.016 

  19. R. E. Mayer, K. Sobko & P. D. Mautone. (2003). Social cues in multimedia learning: role of speaker's voi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2), 419-425. https://doi.org/10.1037/0022-0663.95.2.419 

  20. T. Van Gog, I. Verveer & L. Verveer, 2014, Learning from Video Modeling Examples: Effects of Seeing the Human Model's Face. Computers & Education, 72(1), 323-327. DOI: 10.1016/j.compedu.2013.12.004 

  21. R. F. Kizilcec, J. N. Bailenson & C. J. Gomez. (2015). The instructor's face in video instruction: evidence from two large-scale field stud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7(3), 724-739. http://dx.doi.org/10.1037/edu0000013 

  22. B. D. Homer, J. L. Plass & L. Blake. (2008). The effects of video on cognitive load and social presence in multimedia learn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4(3), 786-797. https://doi.org/10.1016/j.chb.2007.02.009 

  23. Korea Educational Consulting Institute. (2002). DISC Instructor Course Textbooks and Manuals. Seoul: Korea Education Institute Consulting. 

  24. W. M. Marston (1979). Emotion of normal people. MN: Persona Press. 

  25. H. K. Cho (2017). Influence of DiSC profile of start-up learners on immersion on learning and start-up intention.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6. R. H. Zhu. (2016). A Study on the Most Effectiv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Students of DISC Behavior Styles. Tianjin Normal University, Master's thesis, Tianjin, China. 

  27. N. M. Shin, K. S. Kim & K. Y. Kim.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cyber-class flow model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3(4), 247-276. UCI: G704-000614.2005.43.4.008 

  28. D. R. Garrison & Z.E.H.R.A. Akyol. (2013). The community of inquiry theoretical framework, in Moore. M.G. and Diehl, W.C. (Eds),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Routledge, New York, 122-138. https://doi.org/10.4324/9780203803738.ch7 

  29. E. J. Lee. (2017). The effect of video types on learning outcome and teaching : presence in accordance with visual cue presentation.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0. H. S. Um. (2016). Impact of educational video types according to lecturer appearance and video segmentation on learning outcome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1. E. H. Koh. (2006). The Exploratory Empirical Study of Teaching Presence as a construct in Online Learning Context.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2(4), 263-287. UCI: G704-000750.2006.12.4.008 

  32. C. M. Chen & C. H. Wu. (2015). Effects of different video lecture types on sustained attention, emotion, cognitive load, and learning performance. Computers & Education, 80(1), 108-121. DOI: 10.1016/j.compedu.2014.08.015 

  33. B. G. Ahn. (2006).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 on Student Performance in the Introductory Economics Course. Journal of Korean Economic Development, 13(2), 137-158. UCIL: I410-ECN-0102-2009-320-00086883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