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Technique - From the Experiment at the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30 no.1, 2021년, pp.1 - 12  

김가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송영근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방법 도입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DNA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은 기존의 현장조사 모니터링 방식에 비하여 교란이 적고 편의성이 높으며 조사에 대한 감도가 높아 급변하는 하천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으로 수족관 내 수조, 생태연못, 양식장에 서식하는 국내 대표적 담수어류종에 대해 7월부터 10월까지 3차례의 물 환경시료를 수집하여 환경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담수생태계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된 종에 대해 기 구축된 유전자생물종 DNA 염기서열 특성을 검토하고, 종 검출 여부 확인을 위해 채수된 16개의 환경시료를 Miya et al(2015)에서 제시된 환경DNA 분석 프로토콜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 어종 총 7목 11과 50종 중 7목 11과 45종(90%)이 검출되었다. 이는 환경DNA 기술과 기 구축된 어류종 DNA DB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조건에서도 단순한 채수 샘플링으로부터 국내 서식하고 있는 주요 민물고기 어종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실험 중 발생된 수족관 내 시료 오염, 불균질한 DNA 채집, 생물종 유전자정보 누락 등의 오차요인들을 분석하여 자연환경에서 적용 시 앞으로의 보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eDNA) technique. The research of DN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cology, since this is more sensitive of identify rather than traditional investig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de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수족관과 같이 제한된 공간에서 대상 종이 확실하게 파악된 경우에는 물 시료 내에 목표 종의 DNA조각이 반드시 있다고 가정할 수 있으므로 미 검출 시 검출 실패 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어 본 기술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족관과 같은 제한된 조건 내에서 환경DNA을 활용하여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종을 조사하였다. 어류종 조사 시 사용되는 MiFishprimer와 분석 프로토콜(Miyaetal.
  • 수족관은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에 소재하고 있는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으로 선정하였다. 본 민물고기 생태학습관 내 어류종이 담긴 수조에서 물 시료를 채집하여 시료 속의 어류종 DNA로부터 종의 유무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환경DNA로부터 검출된 결과 값과 시료를 채집한 수조의 어류 현황을 비교하여 종 탐지 가능성과 검출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랩스케일에서의 제어된 환경이라는 전제로써 수족관의 어종에 대해 실시된 연구이나, 환경 시료 내 미량의 DNA를 증폭하면서 예기치 않았던 외부요인들의 영향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족관 수조의 물은 인근 자연하천인 흑천으로부터 물을 끌어오고 있었으며, 다만 외부에서 유입될 수 있는 바이러스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여과 및 소독을 실시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 지역에서 채집한 환경 시료 속 DNA를 이용하여 종 탐지가 가능한 환경 DNA기술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환경DNA란 물, 토양, 공기 등 환경 시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생물종의 DNA를 말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족관과 같은 제한된 조건 내에서 환경DNA을 활용하여 국내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 종을 조사하였다. 어류종 조사 시 사용되는 MiFishprimer와 분석 프로토콜(Miyaetal. 2015) 을 사용하여 국내 어류종 다양성 검출 가능성과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또한 종 DB로 활용한 MiFishpipeline에서 제공하는 어류종 DNA정보로부터 대상 어류종이 검출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주요 출현 어종에 대해서는 시기를 달리하며 반복 채수하여 검출의 정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채수하는 시료 오염문제(contamination) 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주사기(30ml), 멸균 장갑, 멸균 보관팩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lice V, Francois P, Pierre T. 2009. DNA bar oding for ecologists.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4(2): 110-117. 

  2. Ficetola GF, Miaud C, Pompanon F, Taberlet P. 2008. Species detection using environmental DNA from water samples. Biology Letter 4(4): 423-425. 

  3. Ficetola GF, Coissac E, Zundel S, Riaz T, Shehzad W, Bessiere J, Taberlet P, Pompanon F. 2010. An in silico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DNA barcodes. BMC Genomics 11(434): 2-8. 

  4. Fukumoto S, Shimaru A and Minamoto T. 2015. A basin-scale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DNA assessment for rare endemic species and closely related exotic species in rivers: a case study of giant salamanders in Japan. Journal of Applied Ecology 52(2): 358-365. 

  5. Hopkins GW, Freckleton RP. 2002. Declines in the numbers of amateur and professional taxonomists: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imal Conservation 5: 245-249. 

  6. Kim HM, Kim SY, Park YS, Lee HJ, Kim KT, Kim Y, Kim HJ, Kawk MH, Lim TY, Park C, Song WK. 2020. Review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DNA (eDNA) investigation of terrestrial species in urban ecosystem.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3(2): 69-89. [Korean Literature] 

  7. Magoc T, Salzberg SL. 2011. FLASH: fast length adjustment of short reads to improve genome assemblies. Bioinformatics 27(21): 2957-2963. 

  8. Miya M, Sato Y, Fukunaga T, Sado T, Poulsen JY, Sato K, Minamoto T, Yamamoto S, Yamanaka H, S Araki H, Kondoh M, Iwasaki W. 2015. MiFish, a set of universal PCR primers for metabarcoding environmental DNA from fishes : detection of more than 230 subtropical marine species. Royal Society Open Science 2(7): p. 3-34. 

  9.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n Wiley, New York, p. 600. 

  10. Naiman R, Prieur-Richard A, Arthington A, Dudgeon D, Gessner M, Kawabata Z, Knowler D, O'Keefe J, Leveque C, Soto D, Stiassny M, Sullivan C. 2006. Challenges for freshwater biodiversity research : Science plan and implementation strategy. DIVERSITAS, Report No. 5. DIVERSITAS, Paris, pp. 13-15. 

  11. Rees HC, Maddison BC, Middleditch DJ, Patmore JR, Gough KC. 2014. The detection of aquatic animal species using environmental DNA - a review of eDNA as a survey tool in ecology. Journal of Applied Ecology 51: 1450-1459. 

  12. Song YK, Kim JH, Won SY, Park C. 2019. Possibility in identifying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mmunities using the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technique - with the preliminary results at urban ecological streams.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2(6): 125-138. [Korean Literature] 

  13. Thomsen PF, Willerslev E. 2015. Environmental DNA - An emerging tool in conservation for monitoring past and present biodiversity, Biological Conservation 183: 4-18. 

  14. Takahara T, Minamoto T, Yamanaka H, Doi H, Kawabata Z. 2012. Estimation of fish biomass using environmental DNA. PLoS ONE. 7(4): e35868(1)-e35868(9). 

  15. Takahara T, Minamoto T, Doi H. 2013. Using environmental DNA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an invasive fish species in ponds. PloS one. 8(2): e56584. 

  16. Wheeler Q, Raven P, Wilson E. 2004. Taxonomy: impediment or expedient. Science 303: 285. 

  17. Yamamoto S, Masuda R, Sato Y, Sado T, Araki H, Kondoh M, Minamoto T, Miya M. 2017.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reveals local fish communities in a species-rich coastal sea. Scientific Reports 7(40368): 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