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esoporous 막 제조를 위한 급냉법에 의한 역 열유도상전이공정
Formation of Mesoporous Membrane by Reverse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RTIPS) Process Using Flash Freezing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31 no.1, 2021년, pp.67 - 79  

염충균 ((주)세프라텍) ,  김지원 ((주)세프라텍) ,  박희영 ((주)세프라텍) ,  박성은 ((주)세프라텍) ,  이기윤 (충남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이규호 (한국화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냉법에 의한 역 열유도상전이(RTIPS) 공정을 사용하여 mesoporous polystyrene (PS), polyethersulfone (PES) 막을 제조하였다. 급냉법에 의한 RTIPS 공정은 급냉 및 승온 시 도포 용액 내 용매 분자들의 결정 생성 및 성장을 통해 나노 규모의 상전이를 야기시켜 mesoporous 기공들을 형성된다. 시차주사열량계(TA: DSC) 사용해 측정된 사용 용매 dimethylformamide (DMF)와 여러 고분자 함량의 고분자용액들에 대한 엔탈피 변화와 주사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측정한 고분자함량에 따른 제조된 막 구조, 그리고 비표면적 분석기(BET) 사용하여 측정한 고분자 함량에 따라 제조된 막의 기공크기분포 및 표준편차 분석을 통해 RTIPS 공정 시 상전이 거동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soporous polystyrene (PS) and polyethersulfone (PES) membranes have been fabricated by reverse-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RTIPS) process, using flash freezing. The mesoporous pores can be created by the nano-scaled phase separation induced by the formation and growth of solvent crystals i...

주제어

참고문헌 (12)

  1. P. J. Flory, "Thermodynamics of high polymer solutions", J. Chem. Phys., 9, 660 (1941). 

  2. M. L. Huggins, "Solution of long-chain compounds", J. Chem. Phys., 9, 440 (1941). 

  3. M. G. Buonomenna, A. Fogoli, J. C. Jansen, and E. Drioli, "Preparation of asymmetric PEEKWC flat membranes with different microstructures by wet phase inversion", J. Appl. Polym. Sci., 92, 576 (2004). 

  4. W.-L. Chou and M.-C. Yang, "Effect of coagulant temperature and composition on surface morphology and mass transfer properties of cellulose acetate hollow fiber membranes", Polym. Adv. Technol., 16, 524 (2005). 

  5. D. R. Lloyd, K. E. Kinzer, and H. S. Tseng, "Microporous membrane formation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I. Solid-liquid phase separation", J. Membr. Sci., 52, 239 (1990). 

  6. H. Matsuyama, T. Maki, M. Teramoto, and K. Asano, "Effect of polypropylene molecular weight on porous membrane formation by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J. Membr. Sci., 204, 323 (2002). 

  7. S. Samitsu, R. Zhang, X. Peng, M. R. Krishnan, Y. Fujii, and I. Ichnose, "Flash freezing route to mesoporous polymer nanofibre networks", Nat. Commun., 4, 2653 (2013). 

  8. M. Liu, Y.-M. Wei, Z.-L. Xu, R.-Q. Guo, and L.-B. Zhao, "Preparation of characterization of polyethersulfone microporous membrane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with low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 system", J. Membr. Sci., 437, 169 (2013). 

  9. N. N. Smirnova, L. Y. Tsvetkova, T. A. Bykova and Y. Marcus, "Thermodynamic properties of N,N-dimethylformamide and N,N-dimethylacetamide", J. Chem. Thermodyn., 39, 1508 (2007). 

  10. J. H. Hollomon and D. Turnbull, "Nucleation", Prog. Metal Phys., 4, 333 (1953). 

  11. J. H. Hollomon, and D. Turnbull, "Nucleation", Prog. Metal Phys., 4, 333 (1953). 

  12. G. Darko, S. Chigome, S. Lillywhite, Z. Tshentu, J. Darkwa, and N. Torto, "Sorption of toxic metal ions in aqueous environment using electro-spun polystyrene fibers incorporating diazole ligands", Water. SA., 39, 39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