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러지 질환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Allergic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1, 2021년, pp.502 - 510  

이선혜 (국립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러지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의 성별 차이를 생태학적 접근을 통해 실시하였다. 2015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알러지 질환을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대학생 1,862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남학생의 삶의 만족도는 알러지 질환정도, 주간 아침식사일수, 친구와의 네트워크, 친척과의 활동, 종교적 활동, 자연환경과 의료서비스 여건에 대한 만족도로 7.9% (Adj R2=.079, F=12.550, p<.001)을 설명하였다. 여학생은 주간 아침식사일수, 친척과의 활동과 자연환경만족도로 삶의 만족도 3.0% (Adj R2=.030, F=10.282, p<.001)을 설명하였다. 알러지 질환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아침식사와 자연환경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dentified to affection factors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college students with allergies by ecological approaches. This study was secondary analysis by using the 2015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CHS) raw data, it analyzed 1,862 college students with allergies. Mal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의 원시자료를이용하여알러지질환대학생의삶의만족도에대한영 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 차자료조사연구이다.
  • 본연구는알러지질환대학생의삶의만족도정도와영향요인을파악하기위한이차자료분석연구로써 보다건강한대학생활환경을구축하고알러지질환대 학생의삶의만족도향상에기여하고자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연구는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이용하여알러지대학생의삶의만족도에대한영향요인을성별로파 악하고자생태학적접근을시도하였다.공통적인영향 요인으로 개인 내적 환경 요인인 주간 아침식사일수가, 개인간환경에서는친척과의활동이, 지역사회환경은자연환경에대한만족도로나타나학생의주간아침식 사일수를파악하고개인간환경으로친척과의교류정 도에대한관심이요구되며캠퍼스내자연환경에대한 요구도 사정이 필요하다.
  • 이에 만성적 질환으로 알려진 알러지 질환을지닌대학생의삶의만족도에대한영향요인을파악함으로 써보다효과적인건강관리를위한건강정책및프로그 램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 U. Seong, S. D. Cho, S. Y. Park, J. M. Yang, D. H, Lim, J. H. Kim, & B. K. Son. Nationwide Survey o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ccording to Region and Age.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2(3),pp.224-231 . 2012. http://dx.doi.org/10.7581/pard.2012.22.3.224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llergy Disease Report. 2016. 

  3. M. R. Park, H. Y. Lee, S. I. Lee, J. H. Kim, K. M. Ahn. Positive conversion of specific IgE against house dust mite in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under 24 months of age.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4), pp.350-356. 2013. http://dx.doi.org/10.4168/aard.2013.1.4.350 

  4. J. Wang, E. Y. Kim, S. J. Park, H. Lee, K. Rhim. The Effects of Allergy Related Disease on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17(3), pp. 11-25. 2016. 

  5. Derebery, M. J., Berliner, K. I. Allerg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23(4), 393-399. 2000. 

  6. J. S. Park.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Childhood Asthma.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 22(1), pp.1-3. 2011. 

  7. J. M. Kim. The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 Adolescents with Allergic Dise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Vol.13(4), pp. 275-284. 2018. http://dx.doi.org/10.21097/ksw.2018.11.13.4.275 

  8. J. H. Kim, H. O. Kim, C. W. Park, C. H. Lee.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Atopic Dermatiti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49(11), pp.983-992. 2011. 

  9. Y. B. Kim. Essential components and strategies on the health promoting university to create healthy campus. Korean Jou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32(4), pp. 25-35. 2015. http://dx.doi.org/10.14367/kjhep.2015.32.4.25 

  10. J. A, Kim, The Experience of Stress in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7(1). pp.35-42. 2019. http://dx.doi.org/10.17703/IJACT.2019.7.1.35 

  11. I. Sabbah, H. Sabbah, R. Khamis, S. Sabbah, & N. Droubi.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in Lebanon : Lifestyles behaviors and socia-demographic predictors. Health. Vol.5(7A4), pp.1-12. 2013. 

  12. E. H. Hwang, M. H. Park. The Association between Total Sleep Time and Suicidal Ideation in Adults over the Age of 20. Journal of Contents. Vol.16(5), pp. 420-42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420 

  13. Y. A. Kim & Y. J. Je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Asthmatic Patients; Based on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3), pp. 639-647. 2017. DOI : 10.35873/ajmahs.2017.7.3.062 

  14. D. M. Kim, Y. R. Kim & K. H. Kim.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of Young Women according to Breakfast Frequency in Seoul. Korea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23(2), pp. 102-115. 2018. DOI.org/10.5720/kjcn.2018.23.2.102 

  15. B. H. Par k, Y. Oh.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in Integrated Changwon City: Using the Data of the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6(4), pp. 342-354. 2015. DOI : 10.12799/jkachn.2015.26.4.342 

  16. Y. W, Lee, The effects of SNS use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social connectednes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5(3)3. pp.215-227. 2019. http://dx.doi.org/10.17703/JCCT.2019.5.3.215 

  17. Y. O. Lim, & J. H. Moon.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Local Living Environment on Quality of Life. Social Science Research. Vol.36(3), pp. 77-99. 2020. DOI : 10.18859/ssrr.2020.8.36.3.77 

  18. S. Lee, C. H. Cheong, & J. A. Lee. The Relationships among Mental Wellness and Perception of Healthy Campus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26(6), pp. 804-815. 2019. DOI : 10.21086/ksles.2019.12.26.6.804 

  19. C. M, Park, & Y. B, Kim,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University Health Clinic.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27(2). pp.151-163. 201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