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내 조경전공 교육과정에 있어 새로운 컴퓨터 미디어 수업의 필요와 개선방향
The Need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New Computer Media Cl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in Univers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1, 2021년, pp.54 - 69  

나성진 (서브디비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0년 문명사회의 전반적 생활 방식은 종이와 같은 소모성 아날로그 미디어에서 데이터 공유에 기반한 디지털 미디어로, 유선에 기반한 미디어에서 무선의 언택트 미디어로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조경학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미디어의 교육과 활용이 시대의 변화에 적합하게 운용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조경 교육을 위한 새로운 컴퓨터 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조경은 도시를 연구 및 설계 대상으로 하는 분야로 사회 변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IT 혁명이 시작되고,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율주행차, 클라우드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의 디지털 인프라가 현대 사회를 기술적으로,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 데에 반해, 조경 교육이 그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가시적인 차이를 만들고 있다고 보기에는 분명한 근거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경 교육에서 컴퓨터 테크놀로지와 뉴 미디어의 활용 현황을 돌아보고, 새로운 시대에 적합한 교육과정의 대안적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우선 현대 조경 및 건축 전반의 컴퓨테이셔널 디자인의 동향에 대해 살펴 논의의 근거를 마련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조경학과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미디어 수업의 변화 양상과 현황을 선행 연구와 교과과정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국외 조경학과의 경우 1994년의 연구와 2020년의 현황 사이에 컴퓨터 관련 과목의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그 종류가 다양해진 반면, 국내 조경학과의 경우 일부 교과목이 변경된 것 외에 별다른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국내 조경 교육과정이 디지털 시대의 변화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조경학과가 컴퓨터 미디어와 관련해 지향해야 할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여러 실천적 대안을 검토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20, civilized society's overall lifestyle showed a distinct change from consumable analog media, such as paper, to digital media with the increased penetration of cloud computing, and from wired media to wireless media. Based on these social changes, this work examines whether the use of comput...

주제어

참고문헌 (38)

  1. Huh, S.(2001) Survey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computer software i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9(3): 81-89. 

  2. Hwang, K.(1983) Agenda for landscape architecture education in Korea: Its structure and major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1(1): 1-10. 

  3. Kim, S.(1994) Contents and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2): 2167-2175. 

  4. Kim, A.(2015) Issues of learned-centered studio class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39-156. 

  5. Kullmann, K.(2014) Hyper-realism and loose-reality: The limitations of digital realism and alternative principles in landscape design visualization.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9(3): 20-31. 

  6. Lee, M. and J. Pae(2018) Photo-fake conditions of digital landscape representation. Visual Communication 17(1): 3-23. 

  7. Lee, M.(2013) Condition of photo-fake.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303: 82-87. 

  8. Lee, M.(2018) Funtions and roles of digital landscape architectural draw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2): 1-13. 

  9. Lee, M.(2020) Transformation of discourse on uses of computer technology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8(1): 15-24. 

  10. Lee, S.(200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n View of Design Media with a Reference to Competition Entrie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Lim, J.(1999) The use of new instructional media and technologies in open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3(1): 115-134. 

  12. Lim, S.(2006) Experiment of mapping.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219: 114-117. 

  13. Lynn, G., ed.(1993) Folding in Architecture. Architectural Design 63(3/4). 

  14. M'Closkey, K.(2014) Structuring relations: From montage to model in composite imaging. In C. Waldheim, and A. Hansen, eds., Composite Landscapes: Photomontage and Landscape Architecture. Ostfildem: Hatje Cantz Verlag. pp. 116-131. 

  15. McHarg, I. L., A. H. Johnson and J. Berger(1988) A case study in ecological planning: The Woodlands, Texas. In I. L. McHarg and F. Steiner, eds., To Heal the Earth: Selected Writings of Ian L. McHarg. Washington, DC: Island Press. pp. 242-263. 

  16. Na, S.(2020a) Imagine with the beat, draw with pixels: The catcher in the rye and rhino ecosystem.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381: 108-113. 

  17. Na, S.(2020b) Imagine with the beat, draw with pixels: Big brother and the future of autodesk.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382: 102-109. 

  18. Na, S.(2020c) Imagine with the beat, draw with pixels: Lumion and V-ray. Environment & Landscape Architecture of Korea 384: 100-107. 

  19. Olin, L(2008) More than wriggling your wrist (or your mouse): Thinking, seeing, and drawing. In M. Treib, ed., Drawing/Thinking: Confronting an Electronic Ag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p. 82-99. 

  20. Oxman, R. and R. Oxman(2014) Theories of the Digital in Architectur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1. Pae, J.(2006) A study on the diagram as strategic media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2): 99-112. 

  22. Park, D.(2018) Architectural design based on computation. KIBIM Magazine 8(3): 18-25. 

  23. Ryu, J.(2019) Features and challenges of American millennials.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57(0): 217-222. 

  24. Walliss, J., and H. Rahmann(2016) Landscape Architecture and Digital Technology: Re-conceptualising Design and Making.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5. Walliss, J., Z. Hong, H. Rahmann and J. Sieweke(2014) Pedagogical foundations: Deploying digital techniques in design/research practice.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9(3): 72-83. 

  26. Zoh, K.(2006) A study on the mapping as a environmental design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ublic Design 1(2): 72-84. 

  27. http://blog.naver.com/onskuk 

  28. http://calslab.snu.ac.kr/snula 

  29. https://ced.berkeley.edu/academics/landscape-architecture-environmental-planning/programs 

  30. https://dpla.wisc.edu 

  31. https://enc.skku.edu/enc/graduate/grad_landscape_intro.do 

  32. http://lauos.or.kr 

  33. https://parametricmonkey.com/2016/06/20/bim-ecosystem 

  34. https://upc15p.wordpress.com/2015/03/07 

  35. https://www.design.upenn.edu/landscape-architecture 

  36. https://www.gachon.ac.kr/major/archi/02 

  37. https://www.gsd.harvard.edu 

  38. https://www.youtube.com/watch?vAYz5o2nHG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