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eni Balad' 포도 비가림 재배에서 부숙유기질비료 및 Urea 토양 시용에 의한 암모니아 배출량 및 과실 품질
Effects of Composted Organic Fertilizer and Urea Application to Soil on the Ammonia Emissions and Fruit Quality of 'Beni Balad' Grapevine in Rain Proof Cultivation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40 no.4, 2021년, pp.313 - 321  

문영지 (엠.원예기술연구소) ,  문병우 (엠.원예기술연구소) ,  김민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가림 시설에서 'Beni Balad' 포도재배 시 부숙유기질비료 및 Urea를 토양 시용에 의한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Urea는 처리 1일째부터 암모니아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일째에 peak를 이루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다른 처리와 큰 차이는 없었다. COF2 처리는 처리 후 1일째 peak를 보이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는 대조구와 비슷한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COF1 처리는 1일째 증가하여 완만한 곡선을 이루다가 15일째에 peak를 이루고 점차 감소하여 그 이후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140일간 암모니아 누적 배출량은 대조구 2.63, Urea 12.95, COF1 2.05, COF2 3.97 kg NH3-N ha-1 day-1 이었다. 토양내 무기성분 함량이 COF2에서 암모니아태 질소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수확시 엽병의 T-N 농도는 COF1 처리보다 COF2 처리가 0.1% 감소하였다. P와 K 농도는 COF1 처리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Ca와 Mg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과실품질은 Urea 처리는 과피의 경도, 가용성 고형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증가하였고, COF1 처리는 가용성고형물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산 함량은 전 처리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과중, 과방크기, Hunter L, a, b값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는 포도나무 Beni Balad 품종에서 Urea, 부숙유기질비료의 토양 시용 시 암모니아 배출량 산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mmonia is a causative substance for the fine particulate matters (PM2.5) and generates dust through atmospheric reactions. Agricultural sector accounts for 79.3% of ammonia emissions in Korea. Urea and composted organic fertilizer (COF) are used in the soil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

주제어

참고문헌 (18)

  1. Cho BS, Song MJ (2017) Distributions and origins of PM10 in Jeollabuk-do from 2010 to 2015.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3), 251-264. https://doi.org/10.5572/KOSAE.2017.33.3.251. 

  2. Kim MW, Kim JH, Kim KS, Hong SC (2021)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ants from agricultural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40(3), 211-218. https://doi.org/10.5338/KJEA.2021.40.3.25. 

  3. Singh R, Nye PH (1986) A model of ammonia volatilization from applied urea. 1. development of the model. European Journal of Soil Science, 37(1), 9-20. https://doi.org/10.1111/j.1365-2389.1986.tb00002.x. 

  4. Ahn JH, Song IH, Kang MS (2013). Correlation between raw materials and chemical contents of livestock compo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5(2), 37-45. https://doi.org/10.5389/KSAE.2013.55.2.037. 

  5. Ku HH (2020) Measurement of soil surface and plant canopy ammonia fluxes in red pepper field using dynamic chamber method.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3(4), 643-649. https://doi.org/10.7745/KJSSF.2020.53.4.643. 

  6. Schjoerring JK (1995) Long-Term quantification of ammonia exchange between agricultural cropland and the atmosphere. I. evaluation of a new method based on passive flux samplers in gradient configuration. Atmospheric Environment, 29(8), 885-893. https://doi.org/10.1016/1352-2310(95)00020-Y. 

  7. Andreas P, Guixin C, Rolf N, Jorg R, Xiaohui F, Zhaoliang Z, Marco R (2006) Calibration of a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ammonia volatilization in the field-comparative measurements in Henan Province, China. Nutrient Cycling in Agroecosystems, 74(3), 259-273. https://doi.org/10.1007/s10705-006-9003-4. 

  8. Hong SC, Kim JH, Kim MW (2021) Estimation of ammonia emission with compost application in plastic house for leafy perilla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40(3), 149-160. https://doi.org/10.5338/KJEA.2021.40.3.18. 

  9. Choi HM, Hyun JG, Kim YJ, Yoo GY (2019) Improvement of ammonia emission inventory estimation methodology for fertilizer applic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10, 237-242. https://doi.org/10.15531/KSCCR.2019.10.3.237. 

  10. David M, Loubet B, Cellier P, Mattsson M, Schjoerring JK, Nemitz E, Roche R, Riedo M, Sutton MA (2009) Ammonia sources and sinks in an intensively managed grassland canopy. Biogeosciences, 6(9), 1903-1915. https://doi.org/10.5194/bg-6-1903-2009. 

  11. Kang SB, Lee IB, Lim TJ, Park JM (2010) Effect of nitrogen fertigation by soil test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 L.) grapevine in field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9(1), 12-19. https://doi.org/10.5338/KJEA.2010.29.1.012. 

  12. Kim MS, Koo NM, Kim JG (2020) A comparative study on ammonia emission inventory in livestock manure compost application through a foreign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8(1), 71-81. https://doi.org/10.11626/KJEB.2020.38.1.071. 

  13. Beusen A, Bouwman A, Heuberger P, Van Drecht G, Van Der Hoek K (2008) Bottom-up uncertainty estimates of global ammonia emissions from global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 Atmospheric Environment. 42(24), 6067-6077. http://dx.doi.org/10.1016/j.atmosenv.2008. 03.044. 

  14. Park SY, Choi HY, Kang YG, Park SJ, Luyima D, Lee JH, Oh TK (2020) Evaluation of ammonia (NH 3 ) emissions from soil amended with rice hull bioch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7(4), 1049-1056. https://doi.org/10.7744/KJOAS.20200088. 

  15. Park JH, Park SJ, Seo YJ, Kwon OH, Choi SY, Park SD, Kim (2014) Effect of mixed treatment of urea fertilizer and zeolite on nitrous oxide and ammonia emission in upland soil.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7(5), 368-373. https://dx.doi.org/10.7745/KJSSF.2014.47.5.368. 

  16. Kim KY, Choi HL, Ko HJ, Kim CN (2006) Estimation of ammonia emission during composting livestock manure based on the degree of compost maturity. J Anim Sci & Technol (Kor), 48(1), 123-130. 

  17. Jang YK, Jung BJ, Kim J, Song KB, Kim HJ, Yoo HY (2010) Assessment of odor characterization and odor unit from livestock facilities by animal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1), 29-38. 

  18. Lee SL, Lee JH, Park JH, Hwang SW, Seo DC (2020) Characteristics of ammonia gas emission from soybean cultivation soil with biochar, fly ash and microorganisms. Korean J Soil Sci Fert, 53(4), 528-537. https://doi.org/10.7745/KJSSF.2020.53.4.5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